목차
서문 = 6
1장 러일간 영토 분쟁의 역사 = 11
Ⅰ. 러일간 분쟁 4도(러: 남쿠릴섬, 일: 북방영토 또는 북방 4도) = 13
Ⅱ. 러일간 역사적 국경구분 = 15
Ⅲ. 제2차 세계대전 종전 결과 = 25
2장 스탈린시대(1926∼1953) = 29
Ⅰ. 쿠릴섬에 대한 국제합의 = 29
Ⅱ.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 39
Ⅲ.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에서 쿠릴섬의 지위 결정과정 = 42
Ⅳ. 냉전의 시작과 영토문제 미해결 = 57
3장 후르시초프시대(1953∼1964) = 63
Ⅰ. 후르시초프집권과 국교교섭 재개 = 63
Ⅱ. 소일 협상의 배경 = 64
Ⅲ. 1955-56년 소일 정상화 협상 = 69
Ⅳ. 쿠릴섬에 대한 미국의 입장 변화 및 압력 = 89
Ⅴ. 외교관계 회복과 영토문제 미해결 = 93
4장 보레즈네프시대(1964∼1982) = 99
Ⅰ. 1960년대 미일안보조약과 소일관계 악화 = 99
Ⅱ. 북방영토에 대한 일본의 정의 = 101
Ⅲ. 모스크바의 외교적 목표들: 60년대 말에서 70년대 초 = 104
Ⅳ. 다나카수상의 모스크바 방문과 소일 공동성명 = 107
Ⅴ. 소일 재 대립의 시대 = 113
Ⅵ. 소련 군부의 압력 = 115
5장 고르바초프시대(1952∼1991) = 121
Ⅰ. 1980년대 소련의 대일 전략 = 122
Ⅱ. 고르바초프의 대일 노선과 그 변화 = 124
Ⅲ. 1991년 4월 도쿄 양국 정상회담 준비와 그 결과 = 137
Ⅳ. 고르바초프의 일본방문 = 139
6장 옐친시대(1992∼1999) = 149
Ⅰ. 새로운 러일관계 = 150
Ⅱ. 옐친의 5단계 영토해결 방식 = 158
Ⅲ. 옐친집권 1기 러일 영토문제 = 160
Ⅳ. 옐친집권 2기 러일 영토문제 = 173
Ⅴ. 1990년대 일본의 영토문제에 대한 기본입장과 정책변화 = 183
7장 푸틴시대(집권 1기: 2000∼2004) = 191
Ⅰ. 푸틴의 대일 정책과 영토문제의 기본입장 = 191
Ⅱ. 푸틴집권 1기 러일 영토문제 = 197
Ⅲ. 영토문제 해결의 부정적인 국내요인 = 209
8장 푸틴시대(집권 2기: 2004∼2008) = 221
Ⅰ. 러일 영토문제 해결을 위한 푸틴정부의 2도 반환 제안 = 223
Ⅱ. 푸틴의 2도 반환에 대한 러일의 국내 반응 = 226
Ⅲ. 아베 수상 취임 전후 영토문제 관련 양국관계 = 236
Ⅳ. 아베시대의 대러 외교 = 244
Ⅴ. 아베시대의 러시아에 대한 새로운 제안 = 251
Ⅵ. 러시아의 반응 = 254
9장 메드베데프시대(2008∼2012) = 263
Ⅰ. 러일 관계의 전략적 사고 = 264
Ⅱ. 러일 정상회담 = 270
Ⅲ. 영토문제에 대한 새로운 구상 = 280
Ⅳ. 러시아 지도자로서 첫 분쟁섬 방문 = 295
Ⅴ. 분쟁섬 실효지배 강화를 위한 러시아의 조치 = 300
Ⅵ. 영토문제에 대한 입장변화 = 312
Ⅶ. 양국관계 개선의 어려운 점 = 318
10장 푸틴시대(집권 3기: 2012∼) = 323
Ⅰ. 아베 정부의 대러정책 = 325
Ⅱ. 러-일 영토문제의 전개: 공식 및 비공식 제안표 = 331
Ⅲ. 윈ㆍ윈 방식 = 345
Ⅳ. 무승부의 해결방안 = 355
11장 러일 영토문제의 해결을 위한 길 = 361
참고문헌 = 367
색인 = 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