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HAPTER 1 교육과정의 개념과 발전
1. 교육과정의 개념 = 13
1) 교육과정의 이이 = 13
2) 교육과정의 정의 = 14
3) 교육과정의 성격 = 20
4) 교육과정의 구성요소 = 22
5) 교육과정의 개념 모형 = 26
2. 교육과정의 변천 = 30
1) 20세기 이전의 교육과정 발전 = 30
2) 20세기 이후의 교육과정 발전 = 32
3)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변천사 = 38
1) 군정기 = 38
2)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의 생성 = 39
CHAPTER 2 교육과정의 유형
1. 교과중심 교육과정 = 53
1) 기본 견해 = 53
2) 교과중심 교육과정의 유형 = 54
3) 교과중심 교육과정의 특징 = 55
4) 교과중심 교육과정의 장단점 = 56
2. 경험중심 교육과정 = 57
1) 기본 견해 = 57
2) 경험중심 교육과정의 유형 = 58
3) 경험중심 교육과정의 특징 = 60
4) 경험중심 교육과정의 장단점 = 61
3. 학문중심 교육과정 = 62
1) 기본 견해 = 62
2)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특징 = 63
3)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장단점 = 65
4. 인간중심 교육과정 = 66
1) 기본 견해 = 66
2) 인간중심 교육과정의 유형 = 67
3) 인간중심 교육과정의 특징 = 69
4) 인간중심 교육과정의 장단점 = 71
5. 공식적 교육과정과 영 교육과정 = 72
1) 공식적 교육과정의 기본 견해 = 72
2) 영 교육과정 = 77
6. 실제적 교육과정과 잠재적 교육과정 = 79
1) 실제적 교육과정 = 79
2) 잠재적 교육과정 = 85
CHAPTER 3 교육과정의 철학적 기초
1. 교육과정의 철학적 기초 = 93
1) 철학의 개념 = 93
2) 철학하는 태도 = 94
3) 철학하는 방법 = 94
4) 철학의 영역 = 95
5) 철학적 태도 탐색의 목적 = 98
6) 철학적 태도의 성향 = 100
2. 주요 교육철학의 이론 = 105
1) 20세기 전기의 교육철학 = 105
2) 20세기 후기의 교육철학 = 112
CHAPTER 4 교육과정의 사회학적 기초
1. 사회변화와 교육과정 = 123
2. 현대사회의 특성과 교육과정 = 124
1) 사회의 다원화와 급속화 = 125
2) 과학ㆍ기술의 통합과 급속화 발달 = 125
3) 정보ㆍ지식의 폭발적 증가 = 127
4) 다양한 직업의 등장과 직업 간의 상호작용의 증가 = 127
5) 여유시간, 성인, 여성 지위 등 증가 = 128
3. 사회적ㆍ교육적 현안 = 129
1) 모든 학생을 위한 교육 = 130
2) 학업에 재능이 있는 학생에 대한 관심 = 132
3) 교과에 대한 관심 = 136
4) 불우한 학생에 대한 관심 = 138
5) 확장된 우선 사항: 새로운 불우 아동집단 = 140
6) 학교 수준의 개혁 = 142
7) 협약학교 운동 = 144
4. 교육적 변화를 위한 개혁 = 148
CHAPTER 5 교육과정의 심리학적 기초
1. 행동주의 심리학 = 155
1) 학습이란? = 155
2) 행동주의 학습이론의 태동 = 156
3) 행동주의에 기초한 학습이론 = 157
4) 관찰학습과정 = 162
5) 자기조절 = 163
6) 인지적 행동 수정 = 163
7) 사회학습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 164
8) 학습에 대한 행동주의이론의 원리 = 165
2. 인지심리학 = 167
1) 인지심리학의 개념 = 167
2) 인지심리학과 신경과학 = 169
3) 기억이란? = 172
3. 현상학과 인본주의 심리학 = 178
1) 현상학이란? = 178
2) 현상학이론의 인간관 = 178
3) 현상학이론의 주요 개념 = 180
4) 인본주의 심리학 = 182
4. 학습자와 교육과정 = 190
5. 학습자의 성장ㆍ발달 특성 = 191
1) 인지발달이론 = 191
2) 발달과업이론 = 192
3) 도덕발달이론 = 194
4)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 197
CHAPTER 6 교육과정의 구성과 목표설정
1. 교육과정의 구성원리 = 205
1) 최소 필요량의 원리 = 205
2) 지역성의 원리 = 206
3) 사회와 개인의 융화원리 = 206
4) 계속 발전성의 원리 = 207
5) 시대성의 원리 = 207
2. 교육목표의 설정 = 208
1) 교육목표의 기능 = 208
2) 교육목표 설정의 원리 및 절차 = 209
3) 교육목표 진술의 기준 = 211
4) 교육목표의 분류 = 214
CHAPTER 7 교육과정의 선정과 조직
1. 교육내용의 의미 = 225
1) 교과로 보는 견해 = 225
2) 학습경험으로 보는 견해 = 227
3) 지식의 구조로 보는 견해 = 228
2. 교육내용 선정의 원리 및 방법 = 232
1) 교육내용 선정의 원리 = 232
2) 교육내용의 선정방법 = 235
3. 교육내용의 조직원리 및 방법 = 238
1) 교육내용의 조직원리 = 238
2) 교육내용의 조직방법 = 240
CHAPTER 8 단원의 구성
1. 단원의 개념과 유형 = 245
1) 단원의 개념 = 245
2) 단원의 유형 = 245
2. 단원의 계획과 전개 = 248
1) 단원의 계획 = 248
2) 단원의 전개 = 249
CHAPTER 9 교수-학습과정
1. 교수-학습의 개념 = 255
1) 교수 = 255
2) 학습 = 256
3) 교수-학습의 차이점 = 257
4) 교수-학습의 원리 = 258
5) 교수-학습의 성립요소 = 261
2. 교육과정과 교수의 관계 = 264
1) 이원적 모형 = 265
2) 연결적 모형 = 266
3) 내포적 모형 = 266
4) 순환적 모형 = 267
3. 교수이론 = 268
1) Bruner의 교수이론 = 268
2) Cronbach의 적성-처치 상호작용 모형 = 271
3) Carroll의 학교학습 모형 = 274
4) Gagne의 수업이론 = 276
5) Glaser의 교수 모형 = 278
6) Ausubel의 유의미 학습 = 279
7) Flanders의 수업모형 = 281
4. 교수-학습방법의 유형 = 282
1) 고전적 교수-학습방법 = 283
2) 지력개발 교수-학습방법 = 283
3) 상호작용 촉진 교수-학습방법 = 284
4) 개별화 교수-학습방법 = 285
5) 공학적 교수-학습방법 = 286
6) 치유적 교수-학습방법 = 286
CHAPTER 10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
1. 교육과정 개발 = 291
1) 교육과정 개발의 의미 = 291
2) 교육과정 개발의 기본적인 고려사항 = 292
3) 교육과정 개발에서 고려되는 구성요소 = 293
4) 교육과정 개발의 참여자 = 300
2. 교육과정 운영 = 303
1) 교육과정 운영의 분권화 = 303
2) 교육과정 운영의 기본 원리 = 304
CHAPTER 11 교육과정이론의 유형
1. 전통주의 = 309
2. 개념-경험주의 = 311
3. 재개념주의 = 314
CHAPTER 12 교육과정 사회학
1. 지식사회학 = 321
2. 경제적 재생산이론 = 322
3. 문화적 재생산 이론 = 326
4. 헤게모니이론 = 330
CHAPTER 13 교육과정 평가
1. 교육과정 평가의 현황 = 337
1) 교육과정 평가의 현황 = 338
2) 교육과정 평가의 전망 = 340
2. 교육과정 평가의 목적과 본질 = 342
1) 교육과정 평가의 목적 = 343
2) 교육과정 평가의 본질 = 348
3. 교육과정 평가의 기능 = 351
4. 교육과정 평가의 기능 = 361
1) 기본 모형 = 362
2) 심화 모형 = 367
5. 교육과정 평가의 일반적 절차 = 368
1) 평가의 목적 확인 = 368
2) 평가영역과 내용의 선정 = 369
3) 평가방법의 결정 = 369
4) 평가도구의 선정 및 개발 = 369
5) 평가시행을 위한 계획 수립 = 370
6) 평가 환경의 구축 = 370
7) 자료의 수집 = 371
8) 자료의 분석 = 371
9) 평가결과의 해석 = 371
10) 평가결과의 보고 = 372
11) 평가결과의 활용 = 372
6. 교육과정 평가의 과제 = 373
1) 수행평가의 개념 = 373
2) 수행평가의 필요성 = 374
3) 수행평가의 방법 = 376
참고문헌 = 381
찾아보기 = 3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