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29098 | |
005 | 20150327115703 | |
007 | ta | |
008 | 150325s2015 ggkad b 001c kor | |
020 | ▼a 9788926868478 ▼g 9335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52.63 ▼2 23 |
085 | ▼a 352.63 ▼2 DDCK | |
090 | ▼a 352.63 ▼b 2015 | |
100 | 1 | ▼a 김창수 ▼g 金昌洙 ▼0 AUTH(211009)31219 |
245 | 1 0 | ▼a 관료제와 시민사회 = ▼x Bureaucracy & civil society : ▼b 비판과 협력의 이중주 / ▼d 김창수 지음 |
246 | 3 1 | ▼a Bureaucracy and civil society |
250 | ▼a 개정판 | |
260 | ▼a 파주 : ▼b 한국학술정보, ▼c 2015 | |
300 | ▼a 291 p. : ▼b 삽화, 도표 ; ▼c 25 cm | |
504 | ▼a 참고문헌(p. 259-289)과 색인수록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52.63 2015 | 등록번호 11173347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52.63 2015 | 등록번호 15134400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52.63 2015 | 등록번호 11173347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52.63 2015 | 등록번호 15134400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이 책에서 관료제란 시민사회와 기업 부문에 대비되는 ‘정부와 행정’을 의미한다. 입법, 행정, 사법을 구성하는 정부 중에서도 특별히 ‘행정’에서 계층제와 규칙을 바탕으로 하는 관료제의 특징을 포괄하고 있기 때문에 <관료제와 시민사회>라 하였다. 사회, 정치, 경제 그리고 행정학의 기초지식을 습득하여 정부와 사회를 어느 정도 이해한 대학 2학년 이상의 학생들에게 이 책을 권하고 싶다.
왜 <관료제와 시민사회>인가?
관료제와 시민사회,
왜 이 두 가지 개념을 함께 논의해야 하는가?
관료제가 능률적이고 민주적이라서 국민에게 사랑받는 존재라면 전혀 문제될 것이 없다. 그러나 관료제가 낭비적이고 국민에게 억압적인 기구로 작동한다면 시민사회에는 큰 부담이 아닐 수 없다. 시민사회 역시 관료제에 대해서 무책임한 비난만 일삼는다면 관료제도 난감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관료제는 독자적인 영역으로 이해될 수 없고, 시민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논의되어야 한다. 시민사회가 깨어 있어 적절하게 관료제를 통제하고 길들이지 못하면 관료제는 어긋나게 작동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 ‘관료제’란 시민사회와 기업 부문에 대비되는 ‘정부와 행정’을 의미한다. 입법, 행정, 사법을 구성하는 정부 중에서도 특별히 ‘행정’에서 계층제와 규칙을 바탕으로 하는 관료제의 특징을 포괄하고 있기 때문에 <관료제와 시민사회>라 하였다. 사회, 정치, 경제 그리고 행정학의 기초지식을 습득하여 정부와 사회를 어느 정도 이해한 대학 2학년 이상의 학생들에게 이 책을 권하고 싶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목차 개정판 서문 = 4 머리말 = 8 제1부 관료제의 이론적 구조 제1장 관료제의 의미와 가치관 = 20 제1절 관료제의 두 얼굴 = 20 제2절 관료제의 의미와 변화 = 24 제3절 관료제와 관료에 대한 시각 = 27 제4절 관료제의 가치와 가치갈등 = 31 제2장 정부와 관료제 = 51 제1절 정부의 필요성 = 51 제2절 정부구조론 = 60 제3절 한국정부 관료제의 구조 = 70 제4절 정부와 행정의 행위자 = 76 제3장 관료제 이론가 = 79 제1절 고전 이론가 = 79 제2절 베버의 관료제론 = 89 제3절 베버의 관료제론에 대한 비판 = 96 제2부 시민사회의 이론과 역사 제4장 자유주의와 시민사회 = 112 제1절 정부의 한계 = 112 제2절 자유민주국가의 토대 = 115 제3절 시민과 시민사회 = 118 제4절 시민사회의 의미와 경험 = 121 제5장 사회계약론과 시민사회 = 127 제1절 홉스의 사회계약론 = 127 제2절 로크의 사회계약론 = 128 제3절 루소의 사회계약론 = 131 제4절 롤즈의 사회계약론 = 133 제5절 평가 = 134 제6장 시민사회의 역동성 = 137 제1절 사회의 구성 = 137 제2절 시민사회와 시민단체(NGO) = 140 제3절 사회적 기업 = 145 제4절 새로운 사회운동(신사회운동) = 154 제3부 관료제와 시민사회의 비판과 협력 제7장 관료제와 시민사회를 보는 눈 = 164 제1절 다원주의 시각 = 164 제2절 기술관료제 시각 = 169 제3절 조합주의의 견해 = 171 제4절 마르크스주의의 견해 = 173 제5절 관료제와 민주주의의 딜레마와 조화 가능성 = 176 제8장 관료제와 시민사회의 협력적 패러다임 = 181 제1절 고객지향 패러다임의 성과와 방향 = 181 제2절 고객지향 패러다임의 한계와 정부-시민 관계의 위상 변화 = 185 제3절 새로운 거버넌스와 사회자본 = 189 제4절 관료제와 시민사회 그리고 국가공동체 = 196 제9장 비영리기관의 품질관리 경험과 교훈 = 199 제1절 서론 = 199 제2절 이론적 배경 = 201 제3절 비영리기관의 품질관리 경험 = 210 제4절 정책적 함의와 교훈 = 220 제5절 결론 = 223 제10장 한국 관료제의 트릴레마 = 225 제1절 서론 = 225 제2절 관료제의 트릴레마와 지속가능한 국가발전 = 227 제3절 관료제 비판과 트릴레마 = 235 제4절 관료제와 효율성 그리고 민주주의의 조화 가능성 모색 = 244 제5절 결론 = 257 참고문헌 = 259 색인 = 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