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 발전연구의 어제, 오늘, 미래
냉전체제하 이데올로기 경쟁과 수출용 학문으로서의 발전이론 = 1
개발연대하 발전연구 및 발전실제의 이모저모 = 4
세계화 시대 발전연구의 지향점 = 6
제1장 발전의 진면목 찾기
발전의 유사상표에 속지 말자 = 9
발전의 진면목 찾기 = 15
한국 발전의 현주소는 어디쯤인가? = 20
발전의 반면교사: 경제대국이지만 생활빈국, 반주권 국가인 일본 = 30
발전의 진면목을 보여주는 나라, 노르웨이 = 41
제2장 발전이론의 계보와 대안
제3세계에 주어진 발전 교과서: 서구 발전이론인 근대화론 = 45
근대화론의 첫 번째 대안 교과서: 남미의 종속이론 = 51
발전이론의 살 길: 종속이론을 넘어 발전의 다양성 탐구하기 = 55
두 번째 대안교과서 찾기: 현대 발전이론들의 발전전략적 함의 = 56
제3장 세계화의 이해와 세계화 흐름 관리하기
세계화의 명과 암 = 71
자본 세계화의 방식: 터보, 카지노, 카우보이 자본주의 = 80
IMF 관리체제하의 구조조정과 그 정치, 경제, 사회적 비용 = 86
세계화의 흐름 제대로 관리하기: 관리적 세계화 = 92
세계화 시대의 정언명령: 국부, 국질, 국격 = 99
제4장 발전의 역사적 기원과 전개
국가발전의 이상과 현실 = 103
제국의 기원과 시민의 논리 = 105
문명의 타협과 공존 = 107
세계를 호령한 강국의 부침 = 110
문명을 선도한 패권의 변화 = 113
제5장 근대화를 선도한 강대국의 부상과 시련
근대화를 구현하는 다양한 방법 = 117
자타 공인 세계 최강국 미국의 발전 공과에 대한 성찰 = 119
영국 행정의 기원과 진화 = 128
제조업 이후를 준비하는 유럽의 교훈 = 139
쇠락하는 서유럽의 맹주 독일과 프랑스 = 141
인민의 집, 스웨덴 모델의 발전론적 함의 = 143
남유럽 부활의 길을 찾다 = 150
제6장 강소국이 주도한 대안적 발전의 역동성과 가능성
작지만 다부진 나라 스위스의 틈새 세계경영전략과 민주적, 생태적 탁월성 = 153
관리국가이자 국제적 허브, 싱가포르의 발전 경쟁력과 전망 = 159
오스트리아의 부침이 주는 교훈 = 166
유럽의 작은 거인 네덜란드의 더치 미라클 = 169
켈트 호랑이 아일랜드의 발전전략에 담긴 실용성과 진취성 = 174
중동의 강소국 아랍에미리트와 카타르 = 177
동아시아 고도성장의 동반자들이 주는 교훈 = 180
유대인 잔혹사 = 182
제7장 사회주의를 경험한 대륙규모 국가의 도전과 성과
사회주의 종주국의 체제전환과 국가능력 = 185
신흥 자원부국 러시아의 부상과 시련 = 189
슈퍼파워 중국의 귀환과 미래 = 192
민주주의 대국 인도의 저력과 한계 = 195
종속국가에서 해방국가로 변신한 브라질의 전력 = 199
제8장 지연된 근대화가 초래한 비서구의 좌절과 희망
저발전의 수렁에 빠진 필리핀의 비극 = 203
추락을 반복하는 불안한 나라 아르헨티나 = 208
인도차이나의 발전현실이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 = 213
제3세계의 저발전 원인에 관한 다양한 시각 = 216
저발전의 함정을 우회한 쿠바와 베네수엘라 = 218
주요국 발전전략의 교훈적 함의 = 222
제9장 한국적 발전의 역사적 경로: 역사속의 발전이야기
우리가 선도할 유라시아 구상의 양대 거점 = 225
만리장성의 영욕에서 배우는 교훈 = 228
대리석과 적벽돌 문화의 교훈 = 230
연변조선족자치주의 가치를 재발견하기 = 232
장면 정부의 발전론적 가치 = 235
제10장 나라경제의 체질 개선하기: 국부신장
방앗간 경제에서 벗어나 산업구조의 고도화를 도모할 때 = 239
기술 - 교육 - 고용의 트라이앵글 정책구조 = 243
산업의 동맥인 SOC의 확충과 에너지 공급원의 다각화 = 247
농업의 부활을 기대하며 = 249
물산업의 미래와 우리의 선택 = 251
제11장 살기 좋은 나라 만들기: 국질 제고
생활일류국의 조건 = 255
공정사회 구현을 위한 정의원칙 확대와 보편적 복지의 제도화 = 257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아동 및 노인문제 해결의 시급성 = 266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생활문화의 향유 = 269
종합정보센터이자 지역문화공간인 공공도서관의 활성화 = 276
환경보전과 생태윤리의 수용 및 실천 = 280
생태적 전환의 일환으로서 생태도시 만들기 = 285
안전사회로 가는 길 = 289
제12장 세계가 함께 하고 싶은 나라 만들기: 국격 완비
21세기 발전이념으로서의 코피티션 = 293
국제사회에서의 협력자 역할과 범지구적 가치 형성국가 되기 = 295
열정적 공중들로 조직된 좋은 나라 만들기 시민운동본부 = 298
제13장 한국적 발전의 제도적 성공기반: 시민민주주의와 공공개혁
공공마인드 강화가 국가혁신의 정도이다 = 303
시민 - 공무원간 우리 - 관계 회복과 심의민주주의의 활성화 = 305
시민의 홀로서기와 함께 서기: 도시복지공동체의 형성 = 314
관료제 길들이기 = 319
경영마인드를 넘어 공공마인드로 가야 = 321
정부 인사행정의 근본으로 돌아가기: 공적 자아를 찾아서 = 324
에필로그 : 총체적 발전력 강화의 논리와 전략
발전력 강화의 논리와 쟁점 = 329
외국의 발전사례에 대한 유형별 비교 = 336
한국식 발전전략과 공공개혁의 모색 = 345
참고문헌 = 357
찾아보기 = 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