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참발전 이야기 : 발전의 진면목을 향한 각국의 도전과 좌절, 한국의 좌표

참발전 이야기 : 발전의 진면목을 향한 각국의 도전과 좌절, 한국의 좌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도형 李都炯 김정렬 金正烈, 저
서명 / 저자사항
참발전 이야기 : 발전의 진면목을 향한 각국의 도전과 좌절, 한국의 좌표 / 이도형, 김정렬
발행사항
서울 :   박영사,   2015  
형태사항
xii, 378 p. ; 23 cm
ISBN
9791130301853
서지주기
참고문헌(p. 357-370)과 색인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29096
005 20150327113630
007 ta
008 150325s2015 ulk b 001c kor
020 ▼a 9791130301853 ▼g 0335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51 ▼2 23
085 ▼a 351 ▼2 DDCK
090 ▼a 351 ▼b 2015
100 1 ▼a 이도형 ▼g 李都炯 ▼0 AUTH(211009)68421
245 1 0 ▼a 참발전 이야기 : ▼b 발전의 진면목을 향한 각국의 도전과 좌절, 한국의 좌표 / ▼d 이도형, ▼e 김정렬
246 1 1 ▼a From distorted development to true development
260 ▼a 서울 : ▼b 박영사, ▼c 2015
300 ▼a xii, 378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357-370)과 색인수록
700 1 ▼a 김정렬 ▼g 金正烈, ▼e▼0 AUTH(211009)62283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 2015 등록번호 11173347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프롤로그 : 발전연구의 어제, 오늘, 미래
 냉전체제하 이데올로기 경쟁과 수출용 학문으로서의 발전이론 = 1
 개발연대하 발전연구 및 발전실제의 이모저모 = 4
 세계화 시대 발전연구의 지향점 = 6
제1장 발전의 진면목 찾기
 발전의 유사상표에 속지 말자 = 9
 발전의 진면목 찾기 = 15
 한국 발전의 현주소는 어디쯤인가? = 20
 발전의 반면교사: 경제대국이지만 생활빈국, 반주권 국가인 일본 = 30
 발전의 진면목을 보여주는 나라, 노르웨이 = 41
제2장 발전이론의 계보와 대안
 제3세계에 주어진 발전 교과서: 서구 발전이론인 근대화론 = 45
 근대화론의 첫 번째 대안 교과서: 남미의 종속이론 = 51
 발전이론의 살 길: 종속이론을 넘어 발전의 다양성 탐구하기 = 55
 두 번째 대안교과서 찾기: 현대 발전이론들의 발전전략적 함의 = 56
제3장 세계화의 이해와 세계화 흐름 관리하기
 세계화의 명과 암 = 71
 자본 세계화의 방식: 터보, 카지노, 카우보이 자본주의 = 80
 IMF 관리체제하의 구조조정과 그 정치, 경제, 사회적 비용 = 86
 세계화의 흐름 제대로 관리하기: 관리적 세계화 = 92
 세계화 시대의 정언명령: 국부, 국질, 국격 = 99
제4장 발전의 역사적 기원과 전개
 국가발전의 이상과 현실 = 103
 제국의 기원과 시민의 논리 = 105
 문명의 타협과 공존 = 107
 세계를 호령한 강국의 부침 = 110
 문명을 선도한 패권의 변화 = 113
제5장 근대화를 선도한 강대국의 부상과 시련
 근대화를 구현하는 다양한 방법 = 117
 자타 공인 세계 최강국 미국의 발전 공과에 대한 성찰 = 119
 영국 행정의 기원과 진화 = 128
 제조업 이후를 준비하는 유럽의 교훈 = 139
 쇠락하는 서유럽의 맹주 독일과 프랑스 = 141
 인민의 집, 스웨덴 모델의 발전론적 함의 = 143
 남유럽 부활의 길을 찾다 = 150
제6장 강소국이 주도한 대안적 발전의 역동성과 가능성
 작지만 다부진 나라 스위스의 틈새 세계경영전략과 민주적, 생태적 탁월성 = 153
 관리국가이자 국제적 허브, 싱가포르의 발전 경쟁력과 전망 = 159
 오스트리아의 부침이 주는 교훈 = 166
 유럽의 작은 거인 네덜란드의 더치 미라클 = 169
 켈트 호랑이 아일랜드의 발전전략에 담긴 실용성과 진취성 = 174
 중동의 강소국 아랍에미리트와 카타르 = 177
 동아시아 고도성장의 동반자들이 주는 교훈 = 180
 유대인 잔혹사 = 182
제7장 사회주의를 경험한 대륙규모 국가의 도전과 성과
 사회주의 종주국의 체제전환과 국가능력 = 185
 신흥 자원부국 러시아의 부상과 시련 = 189
 슈퍼파워 중국의 귀환과 미래 = 192
 민주주의 대국 인도의 저력과 한계 = 195
 종속국가에서 해방국가로 변신한 브라질의 전력 = 199
제8장 지연된 근대화가 초래한 비서구의 좌절과 희망
 저발전의 수렁에 빠진 필리핀의 비극 = 203
 추락을 반복하는 불안한 나라 아르헨티나 = 208
 인도차이나의 발전현실이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 = 213
 제3세계의 저발전 원인에 관한 다양한 시각 = 216
 저발전의 함정을 우회한 쿠바와 베네수엘라 = 218
 주요국 발전전략의 교훈적 함의 = 222
제9장 한국적 발전의 역사적 경로: 역사속의 발전이야기
 우리가 선도할 유라시아 구상의 양대 거점 = 225
 만리장성의 영욕에서 배우는 교훈 = 228
 대리석과 적벽돌 문화의 교훈 = 230
 연변조선족자치주의 가치를 재발견하기 = 232
 장면 정부의 발전론적 가치 = 235
제10장 나라경제의 체질 개선하기: 국부신장
 방앗간 경제에서 벗어나 산업구조의 고도화를 도모할 때 = 239
 기술 - 교육 - 고용의 트라이앵글 정책구조 = 243
 산업의 동맥인 SOC의 확충과 에너지 공급원의 다각화 = 247
 농업의 부활을 기대하며 = 249
 물산업의 미래와 우리의 선택 = 251
제11장 살기 좋은 나라 만들기: 국질 제고
 생활일류국의 조건 = 255
 공정사회 구현을 위한 정의원칙 확대와 보편적 복지의 제도화 = 257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아동 및 노인문제 해결의 시급성 = 266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생활문화의 향유 = 269
 종합정보센터이자 지역문화공간인 공공도서관의 활성화 = 276
 환경보전과 생태윤리의 수용 및 실천 = 280
 생태적 전환의 일환으로서 생태도시 만들기 = 285
 안전사회로 가는 길 = 289
제12장 세계가 함께 하고 싶은 나라 만들기: 국격 완비
 21세기 발전이념으로서의 코피티션 = 293
 국제사회에서의 협력자 역할과 범지구적 가치 형성국가 되기 = 295
 열정적 공중들로 조직된 좋은 나라 만들기 시민운동본부 = 298
제13장 한국적 발전의 제도적 성공기반: 시민민주주의와 공공개혁
 공공마인드 강화가 국가혁신의 정도이다 = 303
 시민 - 공무원간 우리 - 관계 회복과 심의민주주의의 활성화 = 305
 시민의 홀로서기와 함께 서기: 도시복지공동체의 형성 = 314
 관료제 길들이기 = 319
 경영마인드를 넘어 공공마인드로 가야 = 321
 정부 인사행정의 근본으로 돌아가기: 공적 자아를 찾아서 = 324
에필로그 : 총체적 발전력 강화의 논리와 전략
 발전력 강화의 논리와 쟁점 = 329
 외국의 발전사례에 대한 유형별 비교 = 336
 한국식 발전전략과 공공개혁의 모색 = 345
참고문헌 = 357
찾아보기 = 371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