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0초 사고 : 초고속 사고를 위한 두뇌 개조 프로젝트 (Loan 3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赤羽雄二 이영미, 역
Title Statement
0초 사고 : 초고속 사고를 위한 두뇌 개조 프로젝트 / 아카바 유지 지음 ; 이영미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열린책들,   2015  
Physical Medium
222 p. : 삽화 ; 22 cm
Varied Title
ゼロ秒思考 : 頭がよくなる世界一シンプルなトレーニング
ISBN
9788932916941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Study skills Active learning Thought and thinking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28958
005 20150326151610
007 ta
008 150324s2015 ggka 000c kor
020 ▼a 9788932916941 ▼g 03320
035 ▼a (KERIS)BIB000013722280
040 ▼a 241002 ▼c 241002 ▼d 211009
041 1 ▼a kor ▼h jpn
082 0 4 ▼a 153.42 ▼2 23
085 ▼a 153.42 ▼2 DDCK
090 ▼a 153.42 ▼b 2015
100 1 ▼a 赤羽雄二 ▼0 AUTH(211009)82860
245 1 0 ▼a 0초 사고 : ▼b 초고속 사고를 위한 두뇌 개조 프로젝트 / ▼d 아카바 유지 지음 ; ▼e 이영미 옮김
246 1 9 ▼a ゼロ秒思考 : ▼b 頭がよくなる世界一シンプルなトレーニング
246 3 ▼a Zerobyō shikō : ▼b atama ga yoku naru sekaiichi shinpuru na torēningu
246 3 ▼a 영초 사고
260 ▼a 파주 : ▼b 열린책들, ▼c 2015
300 ▼a 222 p. : ▼b 삽화 ; ▼c 22 cm
650 0 ▼a Study skills
650 0 ▼a Active learning
650 0 ▼a Thought and thinking
700 1 ▼a 이영미, ▼e▼0 AUTH(211009)106103
900 1 0 ▼a 아카바 유지, ▼e
900 1 0 ▼a Akaba, Yūji,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153.42 2015 Accession No. 11173331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내일까지 기획서를 제출해야 하는 당신, 모니터 앞에서 머리만 싸매고 있지는 않은가? 생각나는 대로 아이디어의 덩어리들만 일단 메모해 두었지만 머릿속에 선명한 건 내일 일어날 상황들뿐이다. “그래서 어떻게 하자는 거죠?”, “좀 매력이 떨어지지 않나요?”, “다시 해!”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 머릿속으로 내일 상황의 예행연습을 한다. 내일 나올 질문들에 대비해서 철저하게 정보를 모은다.

하지만 도대체 얼마나 정보를 모아야 충분히 준비한 것이란 말인가? 그러던 와중에 써놨던 메모를 다시 본다. 이 정도의 아이디어로 도대체 누구를 설득할 수 있지? 써놨던 아이디어 중 한두 개만 남기고 삭제한다. 시계를 본다. 언제 열두 시가 넘어갔지?

저자 아카바 유지는 서울 매킨지 사무소에서 1990년부터 2000년까지 10년간 근무하면서 한국의 직장인들을 지켜봐 온 베테랑 컨설턴트다. 저자는 직장인들이 누구나 쉽게 겪을 수 있는 위와 같은 상황들의 원인이 “생각하는 연습이 안 되었기 때문”이라고 이야기한다.

어떠한 상황에서도 해결책을 척척 내놓는 사람, 무슨 말을 하더라도 조리 있게 하는 사람들의 능력은 정말 대단하고 타고난 것처럼 보이지만, 저자는 “훈련을 통해서” 누구나 그 영역에 도달할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이 책은 짧고 치열하면서도 깊은 생각을 가능하게 해주는 가장 효과적인 훈련법이 바로 “메모 쓰기”라고 이야기하고, 저자만의 독특한 메모 쓰기 노하우를 전수하는 책이다.

<생각의 힘>을 키우는 메모 비법!
최고의 인재들은 문제를 보는 즉시 답을 내린다
막연하거나 근거 없는 감이 아니다
거침없이 빨리, 그러면서도 깊고 냉철하게!

1. 사람은 누구나 머리가 좋다.
2. 단련하면 머리는 얼마든지 좋아진다. 사람은 얼마든지 성장한다.
3. 그런데 기분이 개운하지 않거나 머릿속이 모호한 상황에선 좋은 두뇌를 발휘할 수 없다.
4. A4 용지에 떠오르는 생각을 1건당 1페이지로 써나가면 머리가 아주 잘 돌아가기 시작한다.
5. 구체적으로는 우선 A4 용지를 가로로 놓고, 제목과 날짜를 쓴다. 그다음 본문은 4~6항, 각 항 20~30자, 매일 10페이지씩 쓴다.
6. 느긋하게 생각하면서 쓰면 순식간에 시간이 지나간다. 1페이지는 1분에 완성한다.
7. 매일 10페이지씩(고민이 많으면 20페이지라도) 계속 써나가면, 3주 만에 변화가 느껴지고, 몇 개월 만에 눈에 띄게 성장한다.
8. 몇 년을 계속하면 문제 파악 및 해결 능력, 판단력, 추진력이 극적으로 향상된다.
9. 감정적이 되거나 정신적으로 불안정해지는 상황이 거의 사라진다. 늘 평상심으로 최선을 다할 수 있게 된다.

아이디어가 나오지 않는다. 내 머리는 멈춰 버린 게 아닐까?

내일까지 기획서를 제출해야 하는 당신, 모니터 앞에서 머리만 싸매고 있지는 않은가? 생각나는 대로 아이디어의 덩어리들만 일단 메모해 두었지만 머릿속에 선명한 건 내일 일어날 상황들뿐이다. “그래서 어떻게 하자는 거죠?”, “좀 매력이 떨어지지 않나요?”, “다시 해!”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 머릿속으로 내일 상황의 예행연습을 한다. 내일 나올 질문들에 대비해서 철저하게 정보를 모은다. 하지만 도대체 얼마나 정보를 모아야 충분히 준비한 것이란 말인가? 그러던 와중에 써놨던 메모를 다시 본다. 이 정도의 아이디어로 도대체 누구를 설득할 수 있지? 써놨던 아이디어 중 한두 개만 남기고 삭제한다. 시계를 본다. 언제 열두 시가 넘어갔지?
『0초 사고』의 저자 아카바 유지는 서울 매킨지 사무소에서 1990년부터 2000년까지 10년간 근무하면서 한국의 직장인들을 지켜봐 온 베테랑 컨설턴트다. 저자는 직장인들이 누구나 쉽게 겪을 수 있는 위와 같은 상황들의 원인이 “생각하는 연습이 안 되었기 때문”이라고 이야기한다. 어떠한 상황에서도 해결책을 척척 내놓는 사람, 무슨 말을 하더라도 조리 있게 하는 사람들의 능력은 정말 대단하고 타고난 것처럼 보이지만, 저자는 “훈련을 통해서” 누구나 그 영역에 도달할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이 책 『0초 사고』는 짧고 치열하면서도 깊은 생각을 가능하게 해주는 가장 효과적인 훈련법이 바로 “메모 쓰기”라고 이야기하고, 저자만의 독특한 메모 쓰기 노하우를 전수하는 책이다.

생각이 너무 많으면 머리가 돌아가지 않는다

우리의 머릿속은 언제나 생각으로 가득 차 있다. 늘 무엇인가를 느끼고, 생각하며, 수많은 이미지들이 지나다닌다. 그리고 그 생각들은 순식간에 머릿속에서 사라진다. 하나의 “말”로 완성되지 않은 채, 모호한 상태였다가 없어진다. 한편 그런 생각들은 언뜻 사라진 듯하면서도 머리 한구석에 달라붙어 끊임없이 되살아나면서 집중을 방해한다. 이 상황에서는 일의 진전이 있을 수 없다. 진땀을 흘리며 고민하는 듯해도 결국 일정 테두리 안에서 생각이 반복되는 것이다.
저자는 차라리 머리에 든 모든 생각들을 말로 바꿔서 거리낌 없이 종이에 쏟아 내라고 제안한다. 답답한 기분을 밖으로 들어내자는 것이다. 모호했던 마음을 말로 고치고, 손으로 쓰고, 눈으로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면 그 생각은 “일단 정리된” 생각이 된다. 이 과정을 거치면 답답했던 마음, 현안 사항, 생각이 눈에 보이고, 머릿속이 후련해지면서 더 이상 발목을 잡지 않는다. 자연스럽게 그다음 생각으로 넘어가게 되고, 차차 현재 처한 상황의 전체상이 드러난다. 그러면 자연스럽게 다음 단계까지 바라볼 수 있다. 즉, 두뇌 회전에 시동이 걸리는 것이다.
머리가 잘 돌아갈 뿐 아니라 어렴풋이 생각만 하던 것, 뭉뚱그려 있던 지식이 비로소 명료하게 형태를 이루기 시작한다. “형식을 갖춘 앎”으로 바뀌는 것이다. 저자는 이런 지식의 전환이 아주 중요하다고 이야기한다. 예를 들어 부하 직원이나 팀원에게 지시할 때 “일단 하라면 해”, “잘은 모르겠지만 이렇게 해”가 아니라 구체적인 노하우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무엇이 핵심이고 무엇을 피해야 하는지, 노하우 전달이 용이해진다. 친구나 윗사람과 얘기할 때도 보다 구체적으로 명료하게 대화할 수 있어서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해진다.

고민하는 시간과 결과의 질은 비례하지 않는다

저자의 현실 진단은 폐부를 찌른다. “심사숙고라 이야기하는데, 대부분의 경우는 그저 시간 낭비일 뿐이다”라고 거침없이 이야기한다. 고민한 만큼 성과가 나오는 것은 모두가 바라는 바일 것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생각하는 데 들인 시간과 그 성과가 비례하는 경우는 찾아보기 어렵다. 빠른 사람은 놀라울 정도로 빠르지만, 늦는 사람은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늦다.
사고 활동이 시간 낭비라고까지 불리게 된 원인은 무엇일까? 그 이유로 저자는 크게 두 가지를 제시한다. 첫째, 평소에 “생각하는 훈련”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일을 진행시킬 수 있는가, 어떻게 하면 재빨리 생각을 통합하고, 분석해서, 정리할 수 있는가 등에 대해 고려하는 훈련이 학교에서도, 회사에서도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학교의 교과 과정은 높은 점수를 획득하는 데 주목하고, 회사의 직무 교육은 생각하는 훈련 정도는 학교에서 전부 끝마쳤을 것이라고 전제를 둔다. 본능적으로 생각하는 법을 체득한 몇몇 뛰어난 사람들을 제외하고서는 능숙하게 생각하지를 못한다는 것이다.
둘째, 사고 활동에서 “생산성”이라는 개념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모든 회사와 제조 현장에서는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애쓴다. 하지만 기획서와 보고서의 작성, 메일 교환 같은 사무 분야에까지 생산성 개념을 적용하는 경우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사무 분야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체계적으로 노력하는 경우도 거의 없다는 것이다. 일처리가 너무 늦으면 질타는 하지만, 사람에 따라 내용에 따라 걸리는 시간에 차이가 나는 것이 당연하다는 암묵적인 이해가 깔려 있다. 제조 원가는 1원 혹은 그 이하 단위까지 관리하면서도 얼마나 빨리 생각하느냐, 얼마나 빨리 결단을 내리느냐, 얼마나 빨리 머리가 돌아가느냐는 별로 문제 삼지 않는 것이다.

“0초 사고”를 창조하는 메모 쓰기 방법

“생각하는 훈련”을 통해서 얻는 풍부한 사고, “생산성”을 갖추기 위한 신속한 사고, 이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손에 넣는 것이 저자가 이야기하는 “0초 사고”다. 지금 눈앞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그것은 어떤 현상인지 한순간에 판단하고, 판단하면 곧바로 나아가야 할 길을 여러 개 고안해 내고, 장단점을 비교해서 그 자리에서 곧바로 방침을 결정하게 만드는 힘이다. 이 0초 사고에 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 저자는 아주 독특한 메모법을 제안하고 있다.

1. A4 용지를 준비한다.
2. 생각이 떠오를 때마다, 어떠한 생각이든, 그 생각이 미처 사라지기 전에, 1페이지 분량으로 메모를 적는다.
3. A4 용지를 가로로 놓고, 제목과 날짜를 쓴다. 그다음 본문은 4~6항, 각 항 20~30자, 매일 10페이지씩 쓴다.
4. 모든 페이지는 1분 안에 완성한다.

메모의 대상이 되는 것은 신경 쓰이는 것, 의문점, 다음에 해야 할 일, 자신의 성장 과제, 화가 나서 용서할 수 없는 일 등등 머릿속에 떠오르는 모든 것이다. 머릿속에 떠오른 그대로 문장을 받아 적는다. 안 좋은 일, 신경 쓰이는 일, 화가 나지만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는 일은 우리를 심하게 괴롭힌다. 일어난 일이 부정적일수록 그런 경향은 더욱더 심하다. 그러나 이를 메모로 옮기면 지우개로 지우는 것처럼 마음의 상처가 조금씩 개선된다. 마음속의 고민, 아픔이 줄어든다. 메모가 구체적일수록 자신의 심리를 똑바로 응시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현재의 일을 정리하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
메모는 하루에 10페이지를 작성한다. 1페이지를 1분에 쓰기 때문에 하루에 투자하는 시간은 고작 10분이다. 한 번에 모아서 쓰지 말고 생각이 날 때마다 재빨리 써내려간다. 생각이 떠오른 순간에 받아 써야 두뇌 회전이 빨라지고 발상을 더욱 자극할 수 있으니 나중에 몰아서 쓰는 것은 지양한다.
1페이지를 1분으로 한정하는 이유는 서두르지 않으면 눈 깜짝할 새에 무한정 시간이 지나가기 때문이다. 많은 사람들이 종이를 앞에 두면 몇 분이고 생각에 잠긴다. 그러나 과연 시간을 충분히 들인다고 보다 나은 내용이 나올 수 있을까? 문장이든 기획서든 마감 직전의 생산성이 전과 비교해 몇 배나 높아지는 것을 많은 사람들이 경험하고 있다. 사람의 머리와 마음은 컴퓨터와 달라서 환경과 상황에 심하게 의존한다.
1페이지에 4~6항, 각 항 20~30자 정도의 제법 분량이 되는 메모를 작성하는 것도 필수적이다. 각 항은 너무 짧으면 구체성이 떨어지고, 모호한 머릿속을 언어화하는 연습이 되지 않는다. 잠시 스쳐 간 기발한 생각을 완전한 문장으로 적지 않는 것은 메모 쓰는 사람에게 있어 큰 손실이다. 머릿속의 생각을 잘 표현해 내고, 걱정거리나 아이디어를 눈에 보이는 형태로 바꿀 수 있는 모처럼의 소중한 기회를 잃어버린 셈이기 때문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아카바 유지(지은이)

1978년 도쿄대학교 공학부 졸업 후 세계 2위 건설기계 제조업체 고마쓰에서 직장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스탠퍼드대학원에서 기계공학 석사 및 준박사 과정을 수료한 후, 1986년 전 세계 비즈니스맨들이 꿈꾸는 세계 최고의 컨설팅 회사 맥킨지에 컨설턴트로 입사한다. 다양한 업종의 클라이언트를 상대하는 맥킨지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새로운 분야의 컨설팅 업무를 맡으면 서점에 가서 관련 도서 십여 권을 구입해 단기간에 읽었다. 매일 아침 받는 약 2천 통의 메일, 쏟아지는 업무, 하루 열 건이 넘는 미팅 등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바쁜 상황 속에서도 책을 읽고 자신의 업무와 삶에 활용했다. 그 결과 1990년 설립된 맥킨지 코리아의 초기 성장을 이끌었으며, LG 그룹 등 국내 대기업의 혁신에 참여하여 약진의 발판을 마련했다. 그는 자신이 MBA 없이도 맥킨지의 주목받는 컨설턴트가 될 수 있었던 최고의 원동력으로 주저없이 ‘공격적인 독서’를 꼽는다. 《세계 최고 인재들은 어떻게 읽는가》에는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며 얻은 그만의 ‘공격적인 독서’ 비법과 경험이 담겨 있다. “단 한 권을 읽더라도 자신을 바꾸는 계기로 삼은 사람은 백 권을 읽고도 무엇 하나 바뀌지 않은 사람보다 낫다.” 이 말을 신조로 삼고 끊임없이 독서하고 행동하는 그는 현재 벤처캐피털 회사 브레이크스루 파트너스 대표로 기업 경영 혁신, 경영 인재 육성, 신규 사업 창출 등에 매진하고 있으며, 저술 활동도 활발히 하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0초 사고》(열린책들) 《1등의 속도》(다산북스) 《생각정리법》(엠비씨씨앤아이) 등이 있다. 메일 akaba@b-t-partners.com 페이스북 그룹 https://www.facebook.com/groups/100234803720559

이영미(옮긴이)

일본문학 전문 번역가. 아주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하고, 일본 와세다대학교 대학원 문학연구과 석사과정을 수료했다. 2009년 요시다 슈이치의 『악인』과 『캐러멜 팝콘』으로 일본국제교류기금이 주관하는 보라나비 저작&#12539;번역상의 첫 번역상을 수상했다. 옮긴 책으로 『단테 신곡 강의』, 『공중그네』, 『화차』, 『솔로몬의 위증』, 『불타버린 지도』, 『나란 무엇인가』, 『공백을 채워라』, 『약속된 장소에서』, 『라오스에 대체 뭐가 있는데요?』, 『파크라이프』, 『분노』, 『막차의 신』, 『마법의 주문』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한국의 독자들에게 = 5
머리말 = 10
1.〈생각하는〉데 필요한 힌트
 머릿속에 떠오른 이미지나 감각을 말로 바꾼다 = 21
 자유롭고 적확한 언어 사용을 목표로 삼는다 = 27
 말의 중심적 의미와 미묘한 어긋남을 파악한다 = 32
 얕은 사고, 헛도는 사고를 피한다 = 37
 〈심사숙고〉도 〈말만 하는 것〉도 어렵긴 마찬가지다 = 43
2. 인간은 0초로 사고할 수 있다
 시간을 들인다고 생각이 꼭 깊어지는 것은 아니다 = 49
 유능한 사람, 뛰어난 경영자는 즉단즉결 = 53
 궁극의 목표는 0초 사고 = 59
 0초 사고와 정보 수집 = 63
 0초 사고는 메모 쓰기로 배우고 익힌다 = 68
 메모 쓰기의 효능 = 73 
  메모를 쓰면 머리가 정리된다
  메모를 쓰면 자신감이 생겨서 긍정적으로 변한다
  메모를 쓰면 화가 안 난다
  메모를 쓰면 급성장할 수 있다
3. 0초 사고를 창조하는 메모 쓰기 방법
 제목 쓰는 방법 = 91
  비슷한 제목으로 몇 번이고 쓴다
  제목을 모아 두는 방법
 본문 쓰는 방법 = 100
  각 행을 약간 길게 쓴다
  노력해서 4∼6행을 쓴다
  쓰는 순서는 신경 쓰지 않는다
  메모의 형식은 반드시 지킨다
 떠오른 생각은 일단 뭐든 다 쓴다 = 113
 메모는 A4 용지 이면지에 = 116
 메모는 매일 10페이지 쓴다 = 119
 1페이지를 1분에, 떠오른 순간 바로 쓴다 = 122
 노트나 일기, 워드면 안 되는 이유 = 128
 메모를 1분 만에 언제 어디서든 쓸 수 있게 하는 궁리 = 132
  메모 쓰기에 가장 적합한 펜이 있다
  메모를 언제 어디서든 쓸 수 있게 준비한다
 감정을 생각으로, 생각을 메모로 = 136
 상황과 필요에 따른 메모의 제목 예 = 139
  마음을 가라앉히고 정리한다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하고 싶은 일을 해내기 위해
  성장하기 위해, 최고가 되기 위해
4. 메모를 철저히 활용한다
 메모는 깊이 파고들수록 더욱 효과적이다 = 165
 한 가지 주제에 관해 다각적으로 쓴다 = 174
  납득할 때 까지 15∼20페이지 이상 쓴다
 메모의 발전형 = 180
 메모와 로직트리의 관계 = 182
 메모를 바탕으로 기획서를 완결한다 = 185
  떠오른 아이디어는 빠짐없이 받아 적는다
  트럼프처럼 늘어놓는다
  새로운 아이디어가 나오면 추가하고 정리한다
  전체 균형을 잡는다
  메모를 보면서 파워포인트로 완성한다
  기획서를 며칠간 숙성시키고, 꼼꼼한 수정으로 레벨업한다
 팀원이나 가족에게도 메모 쓰기를 권한다 = 198
  메모를 쓰게 한다
  고민을 들으면서 메모를 써준다
5. 메모의 정리 활용법
 클리어파일에 나눠서 정리한다 = 203
 파일 분류를 재검토한다 = 211
 메모, 그 후 = 215
  메모 보관 방법
  메모는 평소에는 다시 들춰 보지 않는다
  3개월에 한 번 파일을 정리하며 쭉 훑어본다
  다음 3개월 후에도 다시 한 번 점검한다
맺음말 = 220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김종석 (2023)
Cialdini, Robert B. (2023)
이일하 (2022)
Meerloo, Joost (2023)
Todd, Emmanuel (2023)
Forte, Tiago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