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28880 | |
005 | 20180917141210 | |
007 | ta | |
008 | 150324s2015 ulkad b 001c kor | |
020 | ▼a 9788999705915 (v.1) ▼g 94370 | |
020 | ▼a 9788999705922 (v.2) ▼g 94370 | |
020 | 1 | ▼a 9788999705908 (Set)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71.26 ▼2 23 |
085 | ▼a 371.26 ▼2 DDCK | |
090 | ▼a 371.26 ▼b 2015 | |
245 | 0 0 | ▼a 교육측정 / ▼d Robert L. Brennan 편저 ; ▼e 한국교육평가학회, ▼e 재미한인교육연구자협회 공역 |
246 | 1 9 | ▼a Educational measurement ▼g (4th ed.)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2015 | |
300 | ▼a 2책(549 ; 755 p.) : ▼b 삽화, 도표 ; ▼c 29 cm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650 | 0 | ▼a Educational tests and measurements |
700 | 1 | ▼a Brennan, Robert L., ▼e 편 ▼0 AUTH(211009)37139 |
710 | ▼a 한국교육평가학회, ▼e 역 | |
710 | ▼a 재미한인교육연구자협회, ▼e 역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1.26 2015 1 | Accession No. 11173323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1.26 2015 2 | Accession No. 11179696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Educational Measurement』는 1951년 제1판이 출판된 이래, 측정 영역의 중요한 연구결과를 다루고 가장 많이 활용되는 높은 수준의 참고서적이자 대학 교재로 간주되어 왔다. 제1판에서 4판에 이르기까지 이 책은 측정 영역에서 가장 뛰어난 학자들에 의해 각 장이 집필 혹은 개정되어 왔으며, 교육측정 분야의 새로운 주제들도 다루어졌다.
이 책은 인지심리학부터 법과 도덕에 이르기까지 교육측정 및 교육평가 연구 및 관련 현안을 총망라한 원저 『Educational Measurement』(4th ed.)를 보다 깊은 이해를 위해 한글로 읽기를 원하는 대학생, 대학원생 그리고 관련 연구자들을 위해 두 권으로 나누어 번역되었다. 전체 3부 21장 구성으로,『교육측정 1』에는 1부(1~8장)가, 『교육측정 2』에는 2, 3부(9~21장)가 담겨 있다.
이 책은 원저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이해를 돕고 보다 많은 사람이 원저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volume. vol.1]---------- 목차 역자 서문 = 4 머리말 = 5 한국어판 서문 = 6 편저자 서문 = 10 제1장 교육측정의 발전 과정과 미래에 대한 조망 = 23 1. 측정 이론 = 23 1) 타당도 = 24 2) 신뢰도 = 26 3) IRT = 29 4) 동등화, 연계화 그리고 척도화 = 30 5) 모형 통합의 필요성 = 31 2. 측정의 실제 = 35 1) 타당도와 결과 = 35 2) 신뢰도와 표준화 = 37 3) K-12학년에서의 책무성 = 38 4) 기술과 컴퓨터화 = 40 5) 법규, 소송 그리고 정당성 = 44 3. 결론 = 46 제1부 이론과 일반 원칙 제2장 타당도 = 53 1. 타당도 개념의 발전 = 54 1) 준거 타당도 모형의 발전 = 55 2) 내용 타당도 모형 = 56 3) 구인 타당도 모형 = 57 4) 구인 타당도 모형의 진화 = 58 5) 구인 타당도 모형에서 새로 생겨난 원칙 = 61 6) 논쟁-기반 타당도 접근 = 62 2. 논쟁으로서 타당도 = 63 1) 해석적 논쟁과 타당도 논쟁 = 63 2) 예시 - 배치고사 = 64 3) 소(mini) 이론으로서의 해석적 논쟁 = 66 4) 타당화의 개발과 평가 단계 = 67 5) 비공식적ㆍ추정적 논쟁 = 69 6) 해석적 논쟁 평가를 위한 기준 = 72 7) 제안된 해석 명세화 = 73 3. 특성 = 74 1) 특성 해석의 잠재적 순환성 = 75 2) 특성에 대한 해석적 논쟁 = 75 3) 특성의 해석을 위한 타당도 논쟁 = 81 4) 특성의 미흡한 대표성과 무관련 변산 = 87 5) 특성의 프로파일 = 89 6) 요인 분석 = 91 7) IRT 척도화 = 92 8) Signs와 표본으로서의 특성 측정치 = 93 4. 이론-기반 해석 = 93 1) 이론, 구인, 지표 및 설명적 속성 = 93 2) 이론적 구인의 지표에 대한 해석적 논쟁 = 95 3) 이론적 구인의 지표에 대한 타당도 논쟁 = 96 4) 설명적 속성 해석에서 이론의 역할 = 100 5) 구인 타당도와 이론 검증 = 100 5. 질적 해석 = 101 1) 학생 수행의 질적 해석 = 101 2) 학급평가에서의 타당도 논쟁 = 104 3) 고부담 검사에 대한 질적 방법 = 106 6. 결정 = 108 1) 의미론적 해석과 결정 = 108 2) 검사-기반 책무성 프로그램 = 110 3) 타당도 결과의 역할 = 112 7. 타당도 논쟁에 대한 오류 = 117 1) 순환논증 = 117 2) 허수아비 = 121 3) 과대 포장 = 122 8. 결론 = 122 제3장 신뢰도 = 131 1. 서론 = 131 1) 준거-참조와 규준-참조에 대한 해석과 의사결정 = 134 2. 고전검사이론 = 135 1) 표기법 = 137 2) 고전검사이론의 정의 = 137 3) 동형 검사 그리고 검사-재검사의 추정치에 대한 신뢰도 계수 = 139 4) 내적 일관성 추정치로서의 신뢰도 계수 = 141 5) 복합 점수의 신뢰도 = 151 6) 특별한 주제 = 158 3. 일반화가능도이론 = 169 1) 표기법 및 정의 = 170 2) 일반화가능도이론의 적용 = 176 3) 일반화가능도이론에서의 숨겨진 국면 = 177 4) 일반화가능도이론의 관점에서 전통적 신뢰도 추정 = 179 5) 다변량 일반화가능도이론 = 180 6) 집단평균과 다수준 자료를 위한 일반화가능도 이론 = 182 7) 불균형 또는 결측 자료에 대한 분산 성분 추정치 = 184 8) 분산 성분 추정의 정확도 = 185 9) 일반화가능도이론에서의 조건부 표준오차 = 186 4. 분류의 신뢰도 = 188 1) 분류 결정에 대한 신뢰도 지수 = 188 2) 평가의 신뢰성 = 191 5. 신뢰성 및 행동논평 = 193 6. 앞으로의 방향 = 195 제4장 IRT = 209 1. 도입 = 209 1) IRT와 고전검사이론의 비교 = 209 2) IRT 모형 사용에서의 성장 = 210 2. 모형 = 211 1) 일반적 개념 = 211 2) 이분 자료를 위한 1차원 모형 = 213 3) 다분 문항을 위한 1차원 모형 = 216 4) 1차원 모형의 조합 = 220 5) 다차원 모형 = 220 6) 다른 모형 = 222 7) 지역 문항 독립성과 차원 수 = 228 8) 불확정과 척도 = 229 9) 모형 선택의 체계 = 231 3. 검사 특성 함수 = 232 4. 정보함수와 표준오차 = 232 1) 문항 점수 = 233 2) 검사 원점수 = 233 3) 다른 척도로의 변형된 검사 원점수 = 234 4) 문항 점수의 가중치 합의 정보함수와 표준오차 = 234 5) 최적의 채점 가중치, 문항 정보와 최대 정보함수 = 235 6) 검사 원점수 및 능력 추정치의 변환 점수에 대한 정보함수 = 238 7) 다른 모형 간의 정보함수 비교 = 239 8. 문항모수 추정 = 239 1) 발견적 방법 = 240 2) 결합최대가능도 추정법 = 240 3) 조건최대가능도 추정법 = 241 4) 주변최대가능도 추정법 = 242 5) 마르코프 연쇄 몬테 카를로 방법 = 242 6) 일차원 IRT 분석 프로그램 = 243 7) 다차원 IRT 분석 프로그램 = 244 8) 검사 길이와 표본 크기의 결정 = 245 9) 별도의 분석에서 얻은 문항모수의 척도 변환 = 246 6. 능력모수 추정 = 251 1) 최대가능도 추정법 = 251 2) 베이지안 방법 = 254 7. 모형-자료 적합도 = 255 1) 모형 특성에 관한 합리적 분석 = 255 2) 차원성 평가 = 255 3) 문항 적합도 = 256 4) 모형 적합도 = 259 5) 지역 의존성 = 260 6) 피험자 적합도와 적합성 측정 = 262 7) 모형 예측에 대한 평가 = 262 8. IRT 모형의 교육적 활용 = 263 1) 문항 생성 = 263 2) 검사 개발 = 264 3) CAT의 시행 = 265 4) 척도 변환 = 265 5) 검사 동등화와 연계화 = 266 6) 기준 설정 = 266 7) 점수 산출과 해석 = 266 9. 앞으로의 연구 방향 = 267 10. 추가 참고 자료 = 268 제5장 척도화와 규준화 = 283 1. 서론 = 283 2. 척도화에 대한 관점 = 284 3. 단일 검사의 척도 = 285 1) 검사 점수 관련 용어 = 286 2) 단위 점수 및 문항 점수 = 286 3) 원점수 = 288 4) 혼합형 검사 = 290 5) 척도 점수로의 원점수 변환 = 295 6) 규준 정보를 고려한 점수 척도 = 296 7) 점수 정확도 정보를 고려한 점수 척도 = 300 8) 내용 정보를 고려한 점수 척도 = 303 9) 척도의 유지 및 보완 = 305 4. 검사 배터리와 합성 점수의 척도 = 306 1) 검사 배터리 내 검사들의 척도 비교 가능성 = 306 2) 합성 점수 = 308 3) 검사 배터리와 합성 점수에서 척도의 유지 = 309 5. 수직 척도화와 발달 점수 척도 = 309 1) 검사배터리의 구조 = 310 2) 내용과 성장의 관계 = 311 3) 수직 척도화를 위한 자료 수집 설계 = 312 4) 척도화 방법 = 314 5) 수직적으로 척도화된 검사의 한계 = 320 6) 수직 척도화에 대한 선행 연구 = 321 7) 수직적으로 조정된 준거 = 322 8) 수직 척도와 부가가치 모형 = 323 9) 수직 척도화에 관한 결론 = 324 6. 규준 = 324 1) 규준과 규준 집단 = 324 2) 전국 규준 개발의 기술적 이슈 = 326 3) 전국 규준 연구의 사례 = 328 7. 척도화와 규준화의 미래 방향 = 329 제6장 연계화와 동등화 = 337 1. 서론, 정의 그리고 배경 = 337 1)『교육측정』개정판과 이전 판들과의 관계 = 337 2) 점수 연계화 방법의 분류 = 338 3) 무엇이 연계화를 동등화로 만드는가 = 349 4) 검사 연계화의 약력 = 351 2. 검사 점수 연계화에 사용된 자료 수집 설계 = 354 1) 단일 집단 설계 = 355 2) 동등 집단 설계 = 356 3) 상쇄 균형화 설계 = 357 4) 가교 검사 또는 NEAT 설계 = 357 5) 자료 수집 설계 간의 실제적 차이 = 359 6) NEAT 설계의 특별한 문제 = 360 3. 점수 척도화와 동등화 절차 = 362 1) 공통 모집단에서 점수 연계 절차 = 363 2) 공통 문항을 이용한 점수 연계화 절차 = 371 4. 척도화와 동등화의 평가 = 378 1) 연계화함수의 통계적 정확도 측정 = 378 2) 점수 연계화함수의 모집단 민감도 측정치 = 381 3) 연계화함수가 얼마나 점수 분포를 잘 유지하는가를 측정하기 = 384 4) 관찰 점수 검사 동등화를 위한 여러 검사에 연계의 활용 = 385 5. 검사 동등화 및 연계화의 모범적 실행 = 387 1) 검사 동등화의 실행 = 387 2) 검사가 변할 때 그것은 동등화인가 아니면 단순한 일치화인가 = 388 3) 일치화인가 아니면 동등화인가 = 390 4) 결론 = 390 제7장 검사 공정성 = 397 1. 개요 = 397 2. 공정성에 대한 사회적ㆍ법적 맥락 = 398 1) 미국 헌법(14차 수정헌법) = 399 2) 역효과 혹은 차별적 효과 = 400 3) 개인 대 집단 = 401 3. 검사 공정성을 위한 기준 = 403 1) 관련된 정의 = 404 2) 검사 공정성 기준 = 406 3) 검사 타당도와 사회적 구성 = 408 4. 편파성의 구조적 분석 = 410 1) 차별문항기능(DIF) = 411 2) 차별적 예측 = 411 3) 통합적 구조도 = 412 5. 편파성의 외적 근거 = 413 1) 선택에 대한 정의 = 414 2) 선택 모형 = 416 3) 모형들에 대한 요약 = 417 4) 실증적인 결과 = 419 6. 편파성의 내적 근거 = 419 1) 역사적인 주의 = 421 2) 기타 초기의 차별문항기능 연구 = 422 7. 차별문항기능 분석 방법 = 423 1) IRT 모수 간의 차이 = 423 2) 문항반응함수 간의 차이 = 423 3) 관찰 점수 방법: 맨텔-헨젤 통계치 = 425 4) 관찰 점수 방법: 로지스틱 회귀 = 427 5) 관찰 점수: 표준화된 차이 = 427 6) 관찰 점수: SIBTEST = 428 8. DIF 분석에 대한 최근 주제 = 429 1) 추리 검정 대 효과크기의 추정 = 430 2) 1종 오류와 2종 오류 = 430 3) 문항 통계적 변별도 = 431 4) 다차원성 가설 = 431 5) DIF를 알리는 신호: 모수 혹은 이차적 차원에서의 피험자의 능력 = 433 6) 문항 난이도 변산 = 435 9. 인종, 민족, 기회 및 편파성에 대한 설명 = 436 1) 인종과 공정성 = 436 2) 소속 집단과 사회 주소 = 437 10. 민감도 평가 = 438 1) 검토자 집단 구성 = 439 2) 민감도 훈련 절차 = 439 3) 훈련 준거 = 440 4) 검토 집단 운영 = 441 11. 교실평가에서의 공정성 = 442 1) 분명하고 합리적인 평가 준거 = 443 2) 평가와 수업에서의 공평성 = 443 3) 학습 기회 = 444 4) 평가의 민감도와 검사 제작 = 444 5) 다중 측정치 = 445 6) 공정성의 모형화 = 445 12. 대학입학시험의 간략한 역사 = 445 1) 미국 대학수능시험(SAT) = 446 2) 미국 대학입학학력고사(ACT) = 448 3) 공정성 문제 = 449 13. 결론 = 450 제8장 인지심리학과 교육평가 = 461 1. 서론 = 461 2. 평가 논증 = 463 1) 논증의 구조 = 464 2) 심리학적 관점 = 467 3) 예시 = 469 4) 확률-기반 추론 개관 = 472 3. 주제와 함의 = 478 1) 영역, 관점 그리고 수준 = 480 2) 반성적 인지와 경험적 인지 = 481 3) 인지는 특정 상황에 위치하며 그 속에서 구체화 된다 = 484 4) 인간은 경향성을 찾고 의미를 만든다 = 488 5) 평가에 대한 전문 지식 연구의 함의 = 506 4. 측정 모형 = 509 1) 측정 모형과 서술 구조 = 510 2) 측정 주제와 측정 모형 = 518 5. 결론 = 527 찾아보기 = 540 [volume. vol.2]---------- 목차 역자 서문 = 4 머리말 = 5 한국어판 서문 = 6 편저자 서문 = 10 제2부 검사 개발, 시행 및 채점 제9장 검사 개발 = 27 1. 서론 = 27 2. 검사와 문항 풀 설계 = 28 1) 검사 철학 = 28 2) 검사 목적 = 30 3) 목표 피험자 모집단 = 31 4) 검사 시행 조건 = 32 5) 법률적 고려 사항 = 34 6) 검사 설계를 위한 타당도 증거 = 35 7) 검사 명세화 = 37 8) 검사 설계의 타당도 증거에 대한 검토, 상세화, 재승인 = 49 3. 문항 개발 = 51 1) 문항 개발 과정의 고려 사항 = 51 2) 문항 작성자의 훈련 = 53 3) 문항 개발 과정 = 54 4) 문항 검토 = 56 5) 문항 정제 = 59 6) 문항 개발 절차의 요약 = 59 7) 문항 사전검사 = 60 4. 문항 평가와 검사 제작 = 61 1) 검사 또는 풀 제작 = 61 2) 수행평가형 검사 제작 시 고려 사항 = 64 3) 컴퓨터를 이용한 검사 제작 = 66 4) 검사 형태화 = 67 5. 검사 검토 = 68 1) 초기 검토 = 68 2) 편집과 관련된 검토 = 68 3) 측정 전문가 검토 = 69 4) 배열, 내용 및 공정성 검토 = 69 5) 사용자 검토 = 69 6) 패널 검토 = 69 7) 최종 검토 = 70 8) 검사 유형의 확인 = 70 9) 최종 문서화 = 70 6. 검사 평가 = 70 1) 문항 기능의 평가 = 71 2) 검사 수행의 평가 = 77 3) 검사 평가와 타당도 증거 = 79 7. 문제은행 = 80 1) 문제은행의 사용 = 81 2) 문제은행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 = 81 3) 기타 기능 = 83 4) 문제은행의 유지 및 보안 = 84 8. 검사의 질 관리 = 85 1) 효과적인 질 관리 과정 설계 원칙 = 85 2) 지필검사를 위한 질 통제 고려 사항 = 86 3) CBT에서의 질 통제 고려 사항 = 87 4) 질 통제 과정의 실행 = 87 5) 질 통제 과정의 감독과 개선 = 88 9. 요약 = 89 제10장 검사 시행, 보안, 채점 및 결과 보고 = 95 1. 서론 = 95 1) 검사의 역사 = 96 2. 검사 시행 = 97 1) 검사 시행의 유형 = 97 2) 검사 시행 조건의 영향 = 98 3) 표준화 = 100 4) 특수교육 대상자를 위한 검사의 조정 = 101 5) 컴퓨터화 검사 = 104 3. 검사 보안 = 105 1) 부정행위의 유형 = 106 2) 부정행위 대응책 = 107 3) 교사의 부정행위 = 120 4) 검사 보안 관리: ACT 사례 연구 = 121 5) 보안 관리에 대한 마무리 글 = 123 4. 답안지 스캔 및 자동화 채점 시스템 = 123 1) 답안지 처리 단계 = 125 5. 검사 결과 발표 = 133 1) 검사의 활용 = 135 2) 성취 등급으로 보고하기 = 135 3) 성취 등급의 해석적 문제 = 136 4) 향상도 보고하기 = 136 5) 진단 결과 보고 = 136 6) 다양한 목적에 맞게 보고서 작성 = 137 6. 결론 = 137 제11장 수행평가 = 145 1. 수행평가에 대한 소개 = 145 1) 수행평가의 의미 = 145 2) 수행평가의 정의 = 146 3) 수행평가의 논리 = 147 4) 수행평가의 사용 실태 = 149 2. 수행평가의 설계와 채점 = 149 1) 개념 틀의 서술 = 150 2) 검사 명세서와 과제 설계 = 151 3) 채점기준표의 설계 = 157 4) 전문가 검토와 예비 수행평가 = 166 5) 평정자 연수 = 166 3. 수행평가의 타당도 = 168 1) 구인 무관 분산의 원천 = 169 2) 수행 과제의 인지적 복합성 = 174 3) 수행평가의 직접성과 유의미성 = 176 4) 수행평가에 대한 결과 타당도 = 177 5) 수행평가의 집단 간 차이 = 180 4. 검사이론의 수행평가에 대한 적용 = 183 1) 수행평가에 대한 일반화가능도이론의 적용 = 184 2) 수행평가에 대한 IRT의 적용 = 192 5. 결론 = 204 제12장 수행 기준 설정 = 219 1. 서론 = 219 1) 수행 기준 설정을 위한 전문적 지침 = 220 2) 수행 기준 설정의 일반적 이슈 = 222 2. 수행 기준 설정의 전형적 단계 = 224 1) 1단계: 기준 설정 방법의 선택 = 224 2) 2단계: 패널과 설계 선택 = 225 3) 3단계: 수행 범주 기술을 위한 준비 = 225 4) 4단계: 방법 사용을 위한 패널 훈련 = 226 5) 5단계: 문항 평정 수집 = 226 6) 6단계: 피드백 제공 및 토론 촉진 = 226 7) 7단계: 패널 평정 종합 및 수행 기준 결정 = 227 8) 8단계: 패널평가 시행 = 227 9) 9단계: 타당도 증거 종합과 기술적 기록 문서 작성 = 227 3. 기준 설정 방법의 선택 = 228 1) 설정 방법을 분류하는 방식 = 228 2) 검사 문항과 채점기준표 평정을 이용하는 방법 = 231 3) 후보자 평정을 이용하는 방법 = 238 4) 후보자 산출물 평정을 이용하는 방법 = 240 5) 점수 프로파일 평정을 이용하는 방법 = 243 6) 절충적 방법 = 245 7) 보완적 기준 대 결합적 기준 = 247 8) 비교 연구 = 248 4. 기준 설정 패널의 선택 = 248 1) 패널의 자격 기준 = 248 2) 패널의 수와 설계상의 고려 사항 = 250 5. 수행 수준을 설명하기 위한 준비 = 251 6. 패널 훈련 = 253 7. 패널에게 피드백 제공 = 255 8. 패널의 평가 = 258 9. 과정 타당도에 관한 평가와 기록 = 259 1) 타당도의 절차적 증거 = 259 2) 타당도의 내적 증거 = 263 3) 타당도의 외적 증거 = 265 4) 법적 문제 = 268 5) 타당도 증거에 관한 결론 = 269 10. 추가 주제들 = 269 1) 대안평가를 위한 수행 기준 설정 = 270 2) 수행 기준의 조정 = 271 11. 요약 = 271 제13장 테크놀로지와 검사 = 281 1. 서론 = 281 2. 테크놀로지와 검사 설계 = 282 3. 자동 문항 생성 = 285 1) 강한 이론에 의한 자동 문항 생성 = 286 2) 약한 이론에 의한 자동 문항 생성 = 287 3) 예술에 의한 자동 문항 생성 = 290 4. 문항 사전검사 = 290 1) 시행 전 문항모수 추정 = 291 2) 실제 검사에 대한 문항모수 추정 = 293 3) 문제은행 구축 = 294 5. 검사 구성과 패키징 = 295 1) 검사 구성 및 패키징 모형 = 296 2) 자동 검사 구성 = 296 6. 응시자 등록, 일정 관리, 편의 제공 = 299 1) 응시 자격 = 299 2) 검사 일정 관리 = 299 3) 검사 편의 제공 = 300 4) 인터넷 = 301 7. 검사 제공 = 302 1) 컴퓨터-기반 시설 = 302 2) 접속성 = 304 3) 검사 제공 드라이버 = 306 8. 검사 제공 모형 = 310 1) 컴퓨터 고정 검사 = 310 2) 선형 즉석 검사 = 310 3) 문항 단위 CAT = 311 4) 테스트렛-기반 CAT와 CMT = 313 5) 구조화된 다단계 CAT = 315 9. 채점 시스템 = 318 1) 구성형 문항의 채점을 위한 테크놀로지 = 318 2) 자동화 채점 = 323 10. 검사 시행 후 분석 시스템 = 326 1) 문제은행 통계치 = 326 2) 채점 오류 검토 = 327 3) 차별기능문항 = 328 4) 척도 변동 = 329 11. 동등성과 테크놀로지 = 329 1) 동등성과 검사 제공 유형 = 330 2) 컴퓨터 플랫폼의 동등성 = 332 12. 점수 보고 = 336 1) 피험자를 위한 결과 제공 = 337 2) 시행위원회와 정책 담당자를 위한 결과 제공 = 338 3) 진단 점수 향상 = 338 13. 기타 시스템 = 339 1) 연구 시스템 = 339 2) 질 관리 시스템 = 340 14. 결론 및 논의 = 341 제3부 적용 제14장 제2언어 시험의 역사, 적용 그리고 새로운 관점 = 353 1. 서론 = 353 2. 역사 = 354 3. 대단위 언어 시험 = 354 1) 외국어로서의 영어 시험 = 355 2) 외국어 시험 = 359 3) 대단위 L2 시험에 관한 결론 = 361 4. 언어 숙달의 구성 정의 = 362 1) 역시와 전망 = 362 2) 인지적ㆍ심리언어학적 관점 = 362 3) 사회적ㆍ상호작용적 역량의 관점 = 365 5. 맥락 = 367 6. 결론 = 369 제15장 K-12 책무성과 검사 = 375 1. K-12 집단검사의 경향 = 375 1) 1980년대 미국에서의 대규모 검사의 태동과 발전 = 377 2) 1980년대 후반에 시작된 검사 시행의 변화 = 382 2. 고부담 상황에서 점수 해석의 타당화 = 395 1) 전통적 타당화의 부적절성 = 396 2) 고부담 검사 점수에 대한 초기의 타당화 방법 = 397 3) '추리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한 개념 틀 = 399 4) 검사 준비와 VIHS = 405 5) VIHS 평가의 새 지침 = 408 3. 대규모ㆍ고부담 검사의 효과 = 411 1) 수업의 효과 = 411 2) 학교교육에 미치는 다른 효과 = 413 3) 점수 타당도에 관한 고부담 효과 = 414 4. 검사와 기준 간의 합치 = 417 1) 합치의 측정 = 417 2) 합치와 타당도 = 420 5. 수행 기준과 관련된 보고 = 421 1) 기준-기반 척도의 조악함 = 421 2) 수행 기준의 강인성 = 422 3) 비집중화 경향성 측정에 대한 의존 = 424 6. 확대된 포함과 평가의 일률성 = 426 1) 특수교육 요구 학생들의 이질성 = 427 2) 수행에 대한 구인 관련 및 구인 무관 방해물 = 427 3) 조정과 수정의 사용 = 428 4) 장애 확인과 분류의 비일관성 = 430 5) 타당도에 대한 접근법 = 430 7. 변화에 대한 추론 = 431 1) 코호트 간 변화 측정 = 431 2) 유사 종단적 변화 측정 = 433 3) 진-종단적 혹은 부가가치 측정 = 433 8. 검사 설계와 구성 = 437 1) 검사 개발의 양 = 437 2) 통합과 평가의 일체성 = 437 3) 고부담 = 438 9. 책무성 시스템의 설계 = 440 1) 교육과정에의 합치 = 440 2) 다양한 측정의 사용 = 440 3) 인센티브의 중심지 = 441 4) 결합과 보상 모형 = 442 10. 결론 = 442 제16장 표준화된 K-12 개별 성취도 검사 = 455 1. 소개 및 개요 = 455 1)「아동낙오방지법」의 검사와 결과 보고의 필요조건 = 456 2. K-12 성취도 평가의 사용 목적 = 457 1) 성취도 평가 정보에 대한 의도된 목적 = 457 2) 검사 점수 보고 = 459 3. 전망 : K-12 평가와 평가 프로그램 = 465 1) 소개 = 465 2) 교육 성취도 평가의 종류 = 471 3) K-12 주 단위 평가 프로그램의 특징 = 477 4) K-12 성취도 검사에서의 선별적인 논쟁점 = 479 4. K-12 평가 문항, 과제 및 주제 지문과 평가 설계 접근 방식 = 481 1) K-12 평가 문항, 과제 및 주제 지문 = 481 2) K-12 평가 문항, 과제 및 지시문의 예 = 482 3) K-12 평가 설계ㆍ개발에 대한 전통적 접근과 새로운 접근 = 492 4) 명시적 접근 방법의 현장 적용: K-12 평가 설계 및 개발의 최신 동향 = 497 5. K-12 성취도 검사 분야의 현황: 서술과 평가 = 498 1) 평가 준거 = 500 2) 검사 점수의 신뢰도에 관한 증거의 문서화 = 501 3) 검사 점수 해석과 사용의 타당도에 관한 증거의 개발과 보고 = 503 4) K-12 성취도 검사 분야의 현황과 증거의 질 = 511 6. 현재의 관심사 및 향후 이슈 = 513 제17장 교실평가 = 523 1. 교육측정과 교실평가에 대한 역사적 관점 = 524 2. 형성평가 = 530 1) 학습이론과 평가 설계에서의 일관성 = 530 2) 형성평가모형 = 532 3) 내용의 중요성 : 학습 목표를 구현하는 수업과 평가 과제 선택하기 = 533 4) 학습 진행 = 534 5) 선행 지식 평가 = 536 6) 명시적 준거와 채점기준표의 사용 = 537 7) 피드백 = 537 8) 전이에 대한 교육과 평가 = 538 9) 학생 자기평가 = 540 10) 수업평가 = 541 3. 총괄평가와 등급 매기기 = 542 1) 연령에 맞는 등급 부여 = 542 2) 현 실행에 대한 연구 = 544 3) 내용과 형식의 중요성: 중요하다고 평가되는 것 = 545 4) 연구-기반으로 한 측정, 인지심리 및 동기심리 = 546 5) 능력 개발을 위한 기준 = 548 4. 외부의 대규모 평가 = 549 5. 결론: 연구와 측정이론을 위한 의미 = 551 1) 평가 도구와 과정에 대한 연구 = 552 2) 교사 발달에 대한 연구 = 552 3)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새로운 개념화 = 553 제18장 고등교육 입학시험 = 563 1. 입학시험제도의 역사 1 = 563 1) 입학시험의 초기 장려자 = 565 2. 미국 고등교육 입학시험의 개요 = 566 1) 오늘날의 SAT = 566 2) GRE, MCAT 및 LSAT = 568 3) GMAT = 570 4) ACT = 571 5) 입학시험은 적성검사인가, 아니면 학업성취도 평가인가 = 572 3. 입학시험은 대학에서 어떻게 사용되는가 = 573 1) 입학시험은 대학 기관에서 어떻게 사용되는가 = 573 2) 대학원과 전문대학원 입학시험은 어떻게 사용되는가 = 575 4. 검사 개발, 채점 및 동등화 = 577 1) 시험 개발 과정의 개요 = 578 2) 채점과 동등화 = 579 3) 점수 척도 수정: 강화된 ACT와 재조정된 SAT = 581 4) SAT 교과별 시험과 GRE 교과별 시험의 척도화 = 583 5. 입학시험의 예언 타당도 = 584 1) 입학 연도 성적의 예측 = 584 2) 입학 연도 이후의 학업 성취도 예측 = 588 3) 졸업 여부에 대한 예측 = 589 4) 진로 성공에 대한 예측 = 591 5) 범위 제한 효과와 타당도 계수의 준거 비신뢰도 = 593 6. 인종, 여성 및 그 밖의 특정 모집단에 대한 입학시험의 공정성 = 594 1) 인종에 대한 입학시험의 공정성: 서로 다른 수행과 예측에 대한 연구 결과 = 595 2) 제한적으로 영어를 구사하는 학생들에 대한 입학시험의 공정성: 서로 다른 예측에 대한 연구 결과 = 597 3) 검사 내용이 검사 수행에서 인종ㆍ언어 집단에 미치는 영향: 차별기능문화 연구 결과 = 598 4) 여성에 대한 입학시험의 공정성: 서로 다른 수행 능력과 예측에 대한 연구 결과 = 600 5) 검사 내용이 어떻게 남녀 간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서로 다른 차별기능문항 연구 결과 = 603 6) 장애를 가진 사람에 대한 입학시험의 공정성 = 605 7) 개인 교습에 대한 입학시험의 공정성 = 607 7. 입학시험의 남용과 감독 = 609 제19장 집단 점수 평가를 통한 교육적 향상 점검 = 623 1. 서론 = 623 2. 집단 점수 평가의 역사 = 624 3. 주요 집단 점수 평가 = 624 1) 미국 교육 성취도 평가(NAEP) = 624 2) 국제 읽기 소양 검사(PIRLS) = 625 3) 국제 학생 평가 프로그램(PISA) = 626 4) 국제 수학ㆍ과학 추이 연구(TIMSS) = 626 5) 미국 성인 문해 평가(NAAL) = 626 6) 국제 성인 문해 조사(IALS) = 627 4. 집단 점수 평가와 개인 점수 검사 간 차이 = 627 1) 검사 내역 = 627 2) 구성형 문항 = 628 3) 문항 풀 = 628 4) 배경 자료 = 629 5. 집단 점수 평가를 위한 문항 표집 = 629 1) 행렬 표집 = 629 2) 블록 설계 = 630 3) 나선형 배정 = 631 6. 집단 점수 평가에서 모집단의 표집 = 631 1) 확률 표집 = 631 2) 다단계 군집 표집 = 632 3) 표준오차 = 632 4) 흔히 사용되는 기타 표집 기법 = 633 5) 집단 점수 평가를 위한 표집 계획의 실시 = 633 6) 학교와 학생의 불참 = 634 7) 표집에서 학생의 제외 = 635 7. IRT 척도화 = 636 1) 집단 점수 평가에서 IRT의 역할 4 = 636 2) 집단 점수 평가에서 IRT의 사용에 대한 비판 = 637 3) 집단 점수 평가를 위한 IRT-기반 척도의 확립 = 637 4) 발달 척도 = 638 5) 시간의 경과에 따른 IRT 척도의 유지 = 639 8. 집단 척도 점수 결과의 주변 추정 = 639 1) 집단 점수 평가에서 주변 추정 방법의 필요성 = 639 2) 집단 점수 평가에서 주변 추정의 수행 방법 = 641 9. 상이한 평가에서 얻은 결과의 연계 = 642 1) NAEP, IAEP 및 TIMSS의 연계 = 642 2) 주 검사와 ASVAB의 NAEP와의 연계 = 643 10. 집단 점수 평가에서 얻은 결과의 보고 = 643 1) 타당한 추론과 비교 격려하기 = 643 2) 척도에 의미 부여하기 = 644 3) 집단 점수 평가 결과 보고의 효과성 = 645 11. 현재의 몇 가지 도전 = 646 제20장 전문 직업의 면허 및 인증을 위한 검사 = 657 1. 서론 = 657 1) 역사적 시각 = 658 2) 현재 실제 = 659 3) 여러 필수 사항 = 661 2. 검사 개발 = 662 1) 시험 내용 결정 = 662 2) 시험 내용의 기본 고려 사항 = 664 3) 인지 수준에 의한 질문의 분류 = 665 4) 피험자 과제에 의한 질문의 분류 = 666 5) 질문의 관련성에 대한 평가 = 666 6) 어떤 형식을 사용하는가의 결정 = 667 7) 구술 시험 = 668 8) 논술 및 단답형 시험 = 668 9) 선다형 문제 = 669 3. 신뢰도 = 670 1) 분류 정확도 = 670 2) 분류 정확도 및 일관성의 측정 = 675 3) 연습에 대한 영향 = 680 4. 타당도 = 681 1) 예측 타당도 = 681 2) 해석상의 주장 = 682 3) 타당도에 대한 위협 = 684 5. 기준과 분할 점수 설정하기 = 688 6. 법적 문제 = 692 1) 헌법에 의한 보장 = 692 2) 1964년 공민권법 = 693 3) 독점금지법 = 694 4) 미국신체장애자법 = 694 5) 점수 주석 = 696 7. 면허 및 인증을 위한 검사의 미래 = 699 제21장 법적ㆍ윤리적 문제점 = 707 1. 서론 = 707 2. 간접 차별 문제 = 707 1) Title Ⅶ = 707 2) 평등 원칙과 제6조 = 708 3) 간접 차별의 정의 = 709 3. 정당한 절차 문제 = 709 1) 근본적 공정성 = 709 2) 전문적 기준의 역할 = 710 4. 졸업 시험 = 710 1) 플로리다 주 Debra P. 판례 = 710 2) 텍사스 주 GI 포럼 판례 = 711 3) 간접 차별 = 712 4) 정당한 절차 = 712 5) GI 포럼 판례의 교훈 = 713 6) 매사추세츠 주의 도전 = 714 7) 요약 = 715 5. 교사 자격 시험 = 715 6. 다른 성과를 위해 가려진 문항 = 718 7. 시험 보안과 부모의 권리 = 720 1) 부적합한 시험 준비 = 720 2) 학부모에 의한 시험의 재심리 = 720 3) 성인의 부정행위와 저작권 침해 = 721 8. 시험 편의시설과 수정 = 722 1) 연방 법령 = 722 2) 신체장애 대 인지장애 = 723 3) 법적 해석 = 724 4) 정신 측정 이해 = 725 5) 본질적으로 비교 가능한 점수 = 726 6) 시험 조건 변경 구분 = 727 7) 과도한 부담 = 727 8) 면제 공공정책 = 728 9) 시간 연장 = 728 10) 평가 점수 표기 = 730 9. 비원어민을 위한 평가 조건 변경 = 731 1) 고려 정책 = 731 2) ELL을 위한 영어 평가 책임 = 731 3) 다수와 소수 ELL 집단들 = 732 4) 심리측정학적 이슈 = 733 10. 대체 평가 = 733 1) 대체 평가의 형태 = 733 2) 모순된 정책 목표 = 734 3) 결과 보고 = 734 4) 졸업 시험 신청 = 735 11. 윤리 문제와 전문적 책임성 = 736 1) NCME Code = 737 2) 선택과 변경 평가 = 737 3) 마케팅과 판매 = 738 4) 실시된 평가 = 739 5) 점수 평가 = 740 6) 평가 이해와 결과 전달 = 741 7) 다른 교육들 = 741 8) 평가와 연구 = 741 12. 결론 = 741 찾아보기 = 7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