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미술심리진단 및 평가 (1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주리애
서명 / 저자사항
미술심리진단 및 평가 = Art diagnosis and assessment / 주리애 저
발행사항
서울 :   학지사,   2015   (2018 4쇄)  
형태사항
413 p. : 삽화(일부천연색) ; 24 cm
ISBN
9788999706165
일반주기
'주리애'의 영어이름은 'Juliet Jue'임  
부록: 그 밖의 그림검사들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28878
005 20180518103349
007 ta
008 150324s2015 ulka 000c kor
020 ▼a 9788999706165 ▼g 9318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616.891656 ▼2 23
085 ▼a 616.891656 ▼2 DDCK
090 ▼a 616.891656 ▼b 2015
100 1 ▼a 주리애 ▼0 AUTH(211009)7306
245 1 0 ▼a 미술심리진단 및 평가 = ▼x Art diagnosis and assessment / ▼d 주리애 저
260 ▼a 서울 : ▼b 학지사, ▼c 2015 ▼g (2018 4쇄)
300 ▼a 413 p. : ▼b 삽화(일부천연색) ; ▼c 24 cm
500 ▼a '주리애'의 영어이름은 'Juliet Jue'임
500 ▼a 부록: 그 밖의 그림검사들
900 1 0 ▼a Jue, Juliet,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6.891656 2015 등록번호 11173323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6.891656 2015 등록번호 11179138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그림에는 우리 가까이에 있지만 한 겹 아래 숨겨진 것들이 모습을 드러내곤 합니다. 그리는 사람의 나이가 어떠하든, 그림이 익숙하든 익숙하지 않든, 많은 시간을 들여서 그리든 아니든, 그림은 늘 우리가 미처 생각하지 못한 무엇을 표현하곤 합니다. 때론, 그림이 단순한 결과물이 아니라 사람 손을 빌려서 자기 존재를 보여 주는 유기체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
그러한 그림의 특성이 집약된 것이 바로 ‘그림검사’입니다. 그림검사는 미술치료 분야에서 가장 매력적이면서도 까다로운 주제이지요. 물론 그림검사라고 따로 구분하지 않더라도 미술치료에서 사용하는 모든 그림은 사람을 이해하고 느끼며 변화의 과정을 도모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굳이 구분한다면, 그림검사는 보다 더 ‘틀이 잡힌’ 이해의 방편이라 하겠네요. 일종의 정제과정을 거친 도구입니다.
이 책에서는 20세기에 본격적으로 시작된 그림검사를 비롯하여 미술치료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평가법을 소개했습니다. 총 5부로 나누어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았습니다. 우선 1부에서는 그림검사를 개관하고, 2부에서는 다양하게 발전한 여러 종류의 인물화를 다루었습니다. 3부는 폭넓은 주제를 가진 그림검사를 소개합니다. 4부는 한 장이 아닌 여러 장으로 이루어진 시리즈 그림검사를 살펴봅니다. 마지막 5부는 가족화라는 주제로 묶이는 검사들을 담았습니다. 그리고 그 외의 검사들은 부록에서 간략하게나마 소개하였습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주리애(지은이)

서울대학교에서 심리학 학사와 석사학위를, 미국 조지워싱턴대학교에서 미술치료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대학원에서 임상심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양사이버대학교 미술치료학과에서 학과장을 맡고 있으며, 미국 미술치료전문가(ATR-BC)와 상담심리사 1급 자격을 가지고 있는 임상심리전문가이다. 2015년부터 국제인명사전 『마르퀴즈 후즈후(Marquis Who’s Who)』에 등재되었고, 2018년에 교육부장관 학술부문 표창을 받았다. 국제학술지에 15편의 논문을 저술했으며, 미술치료학 분야에서 다양한 학술적 업적을 쌓아왔다. 지은 책으로 『미술치료 요리책』 『미술치료학』 『미술심리진단 및 평가』 『색즉소울』이 있고, 함께 쓴 책으로 『청소년을 위한 미술치료』 『미술치료사 11인의 정신장애별 미술치료』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저자 서문 = 3
Part 1 그림검사의 개관 = 11
 chapter 01 미술심리진단이란 무엇인가 = 13
  1. 미술심리진단의 정의 = 14
  2. 그림검사의 역사 = 16
  3. 그림평가의 기본 원칙 = 23
  4. 그림검사에서 추가적으로 고려할 점 = 27
 chapter 02 그림 평가의 여러 요소 = 39
  1. 그림의 형식 = 40
  2. 그림의 내용 = 53
  3. 그림의 이미지 = 57
  4. 언어적 행동 = 59
  5. 비언어적 행동 = 61
Part 2 다양한 인물화 검사 = 63
 chapter 03 인물화 검사 = 65
  1. 인물화 검사의 역사 = 65
  2. 인물화 검사의 개관 = 67
  3. 인물화의 해석 = 70
  4. Koppitz의 정서지표 = 85
  5. 성 학대 피해 아동의 그림 특징 = 89
 chapter 04 배경이 삽입된 인물화 = 95
  1.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 = 95
  2. 빗속의 사람 그림 사례 = 100
  3. 다리 위의 사람 그림검사 = 106
  4. 다리 위의 사람 그림 사례 = 112
 chapter 05 사과나무에서 사과 따는 사람 그림 = 117
  1. PPAT의 개관 = 118
  2. FEATS를 사용한 형식 요소 평가 = 121
  3. 내용 척도를 사용한 요소 평가 = 137
  4. PPAT 사례 = 142
 chapter 06 얼굴자극평가법 = 153
  1. FSA의 개발 배경 = 153
  2. FSA의 개관 = 154
  3. 검사 대상 및 실시 방식 = 157
  4. FSA 평가방법 = 158
  5. FSA의 활용 = 160
  6. FSA 사례 = 161
Part 3 주제에 따른 그림검사 = 165
 chapter 07 이야기 그림검사 = 167
  1. DAS의 개관 = 167
  2. 채점 척도 = 175
  3. DAS 사례 = 183
  4. 그 외 DAS 그림을 볼 때 고려해야 할 점 = 192
 chapter 08 믿음미술치료평가법 = 199
  1. BATA의 개관 = 200
  2. BATA의 대상 = 202
  3. BATA의 재료 = 204
  4. BATA의 평가절차 = 205
  5. BATA 사례 = 208
 chapter 09 자유화 = 219
  1. 자발적 그림 = 220
  2. 자유화 사례 = 221
Part 4 시리즈로 된 그림검사 = 229
 chapter 10 집-나무-사람 검사 = 231
  1. HTP의 개관 = 231
  2. 집에 대한 해석 = 234
  3. 나무에 대한 해석 = 248
  4. 사람에 대한 해석 = 261
 chapter 11 진단적 그림 시리즈 = 265
  1. DDS의 개발 배경 = 266
  2. DDS의 개관 = 267
  3. DDS 채점지표 = 273
  4. DDS 연구 결과 = 298
  5. DDS 사례 = 298
 chapter 12 울만성격평가절차 = 309
  1. UPAP의 개관 = 309
  2. UPAP 실시하기 = 313
  3. UPAP 사례 = 315
 chapter 13 아동에게 실시하는 시리즈 검사법 = 319
  1. 미술 발달 단계 = 319
  2. Levick의 정서 및 인지 미술치료평가법 = 329
  3. Kramer 미술치료평가법 = 333
Part 5 다양한 가족화 검사 = 339
 chapter 14 동적 가족화 = 341
  1. KFD의 개발 배경 = 341
  2. KFD의 개관 = 343
  3. KFD의 해석 = 344
  4. KFD 사례 = 350
 chapter 15 동그라미 중심 가족화 = 361
  1. FCCD의 개관 = 362
  2. FCCD의 특징 = 364
  3. FCCD의 해석 = 365
  4. PSCD 사례 = 368
 chapter 16 색채를 사용한 가족미술평가방법 = 377
  1. Kwiatkowska의 가족미술평가법 = 377
  2. FAE의 개관 = 378
  3. FAE의 해석 = 380
  4. FAE를 진행하면서 살펴볼 점 = 389
  5. Wadeson의 부부평가기법 = 394
부록 : 그 밖의 그림검사들 = 401

관련분야 신착자료

대한임상초음파학회. 편집위원회 (2022)
Wood, Alex M. (2022)
Comer, Ronald J (2023)
Liu, Jie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