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28876 | |
005 | 20150326105831 | |
007 | ta | |
008 | 150324s2015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99704406 ▼g 9337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72.21072 ▼2 23 |
085 | ▼a 372.21072 ▼2 DDCK | |
090 | ▼a 372.21072 ▼b 2015 | |
100 | 1 | ▼a 손순복 ▼0 AUTH(211009)33758 |
245 | 1 0 | ▼a 영유아 교수학습 방법 = ▼x Teaching-learning method for young children / ▼d 손순복, ▼e 정진화, ▼e 박진옥 공저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2015 | |
300 | ▼a 390 p. : ▼b 삽화(일부천연색) ; ▼c 26 cm | |
504 | ▼a 참고문헌(p. 379-384)과 색인수록 | |
700 | 1 | ▼a 정진화, ▼e 저 ▼0 AUTH(211009)132129 |
700 | 1 | ▼a 박진옥, ▼e 저 ▼0 AUTH(211009)123439 |
900 | 1 0 | ▼a Son, Soon-bok, ▼e 저 |
900 | 1 0 | ▼a Jung, Jin-hwa, ▼e 저 |
900 | 1 0 | ▼a Park, Jin-ock,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2.21072 2015 | 등록번호 111733232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2-03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소개
손순복(지은이)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 전공(교육학 석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 전공(교육학 박사) 원광유치원 교사 쌍문삼성 어린이집 원장 현 동서울대학교 아동보육과 교수
정진화(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 전공(교육학 석사) 경남대학교 대학원 교육학(박사과정 수료) 소심유치원 교사 구로삼성어린이집 원장 현 구립 버들어린이집 원장
박진옥(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 전공(교육학 석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문학 박사) 소심유치원 교사 합실어린이집 원장 현 동원대학교 아동보육복지 전공 교수

목차
목차 머리말 = 3 제1부 영유아 교수학습 방법의 이해 제1장 영유아 발달이론과 교수학습 방법 = 15 1. 영유아 교수학습의 정의 및 과정 = 15 1) 교수학습의 정의 = 15 2) 교수학습의 과정 = 17 2. 교수학습에 대한 발달이론적 기초 = 19 1) 성숙주의 = 19 2) 행동주의 = 20 3) 구성주의 = 22 3. 영유아 교수학습의 원리 = 26 1) 자발성의 원리 = 26 2) 개별화의 원리 = 27 3) 다양성의 원리 = 27 4) 융통성의 원리 = 27 5) 구체성의 원리 = 28 6) 탐색의 원리 = 28 7) 통합의 원리 = 29 제2장 영유아 교수학습 방법의 유형 = 31 1. 교육신념에 따른 교수학습 방법 = 31 1) 분류 기준 = 31 2) 교수학습 방법 = 32 2. 주도적 역할에 따른 교수학습 방법 = 38 1) 분류 기준 = 38 2) 교수학습 방법 = 39 3. 집단 규모에 따른 교수학습 방법 = 40 1) 분류 기준 = 40 2) 교수학습 방법 = 40 제2부 보육교사와 영유아 상호작용 제3장 보육교사의 역할 = 47 1. 영아교사의 역할 = 48 1) 관계 형성자 역할 = 48 2) 영아 행동에 대한 반응자 역할 = 48 3) 탐색놀이 지원자 역할 = 49 4) 기록자 및 평가자 역할 = 50 5) 보살핌 제공자 역할 = 51 2. 유아교사의 역할 = 51 1) 양육자 역할 = 51 2) 교수자 역할 = 52 3) 의사소통자 역할 = 52 4) 기록자 및 평가자 역할 = 53 3. 영유아와 교사의 상호작용 = 53 1) 상호작용의 의미 = 53 2) 상호작용의 유형 = 54 제4장 긍정적 상호작용 = 61 1. 영유아 격려하기 = 62 1) 모방하기 = 62 2) 수용하기 = 62 3) 믿음 주기 = 64 4) 노력ㆍ성취 인정하기 = 64 5) 공헌ㆍ도움 인정하기 = 65 2. 영유아 또래 간 상호작용 격려하기 = 66 1) 또래 간 놀이로 인계하기 = 66 2) 또래 간 배려하기 = 67 3) 또래 간 경험 나누고 배우기 = 68 4) 또래와 도움 주고받기 = 69 5) 또래와 사이좋게 지내기 = 70 3. 문제 상황에서의 긍정적 행동 지도 = 71 1) 반영적 경청하기 = 72 2) 나-전달법 사용하기 = 72 3) 논리적ㆍ자연적 결과로서 문제 상황 지도 = 74 4. 영유아 또래 간 갈등해결 돕기 전략 = 76 1) 또래 간 갈등 중재하기 = 77 2) 상호 주관적 협상하기 = 78 3) 놀잇감으로 다투거나 양보하지 않을 때 = 79 제3부 영유아 교수학습 제5장 표준보육과정의 이해 = 83 1. 표준보육과정 = 83 1) 추구하는 인간상 = 83 2) 표준보육과정의 목적과 목표 = 84 2. 영아보육과정의 보육 내용 탐구 = 86 1) 기본 생활 영역 교육 내용 및 지도 방안 = 86 2) 신체운동 영역 교육 내용 및 지도 방안 = 88 3) 의사소통 영역 교육 내용 및 지도 방안 = 90 4) 사회관계 영역 교육 내용 및 지도 방안 = 93 5) 예술경험 영역 교육 내용 및 지도 방안 = 96 6) 자연탐구 영역 교육 내용 및 지도 방안 = 98 3. 3∼5세 누리과정의 보육 내용 탐구 = 100 1) 신체운동ㆍ건강 영역 교육 내용 및 지도 방안 = 101 2) 의사소통 영역 교육 내용 및 지도 방안 = 104 3) 사회관계 영역 교육 내용 및 지도 방안 = 106 4) 예술경험 영역 교육 내용 및 지도 방안 = 109 5) 자연탐구 영역 교육 내용 및 지도 방안 = 112 제6장 교수학습활동 계획 = 117 1. 보육과정 운영의 이해 = 117 2. 교수학습활동 계획의 수립 = 118 1) 교수학습활동 계획의 수립 절차 = 118 2) 연간 보육계획 = 119 3) 하루 일과 구성 = 127 4) 주제별(월간) 보육계획 = 132 5) 주간 보육계획 = 135 6) 일일 보육계획 = 142 제7장 교수학습활동 실행 및 평가 = 153 1. 교수학습활동 실행 = 153 1) 교수학습활동 실행의 의미 = 153 2) 교수학습활동 실행 기록 방법 = 154 2. 교수학습활동 평가 = 163 1) 평가의 필요성 및 목적 = 163 2) 평가의 내용 = 163 제4부 영유아 교수활동의 실제 제8장 영유아 일상생활 지도 = 179 1. 일상생활 지도의 개념 = 179 2. 일상생활 내용 및 지도 방법 = 180 1) 등ㆍ하원 = 180 2) 수유 및 식사 = 184 3) 기저귀 갈기 및 배변 = 194 4) 휴식 및 낮잠 = 198 5) 정리정돈 = 200 3. 놀이를 통한 기본 생활 지도 = 201 1) 자유놀이에서의 기본 생활 = 201 2) 계획된 활동을 통한 기본 생활 = 205 3) 어린이집 적응 = 206 제9장 영아 실내외 자유놀이 지도 = 215 1. 영아 자유놀이의 의미와 목적 = 215 2. 영아 자유놀이 시 교사의 역할 = 216 1) 영아 자유놀이 지도 시 유의점 = 216 2) 영아 자유놀이 소개 및 지도 방법 = 217 3. 영아 자유놀이의 운영 = 219 1) 실내 자유놀이 = 219 2) 실외 자유놀이 = 240 4. 전이활동 = 246 제10장 유아 실내외 자유선택활동 지도 = 249 1. 자유선택활동의 의미와 목적 = 249 2. 자유선택활동 시 교사의 역할 = 250 1) 유아 자유선택활동 지도 시 유의점 = 250 2) 유아 자유선택활동 소개 및 놀이 개입과 철회 방법 = 251 3. 유아 자유선택활동의 운영 = 255 1) 실내 자유선택활동 = 255 2) 실외 자유선택활동 = 286 제11장 대소집단활동 지도 Ⅰ = 293 1. 집단활동의 효율적 운영 방법 = 293 1) 집단활동의 계획 = 293 2) 대집단활동 운영 방법 = 294 2. 일과 소개 및 전이활동 지도 = 295 1) 일과 소개 = 295 2) 전이활동 = 296 3. 이야기 나누기 지도 = 300 1) 이야기 나누기의 내용 = 300 2) 이야기 나누기의 지도 방법 = 300 4. 문학활동 지도 = 304 1) 동화 = 305 2) 동시 = 308 3) 동극 = 313 5. 게임활동 지도 = 316 1) 연령에 따른 게임의 적절성 = 316 2) 집단 게임의 종류 = 317 3) 게임 진행 방법 = 319 4) 게임 평가 방법 = 325 제12장 대소집단활동 지도 Ⅱ = 327 1. 음률활동 지도 = 327 1) 음악 감상(듣기) = 328 2) 새 노래 배우기 = 331 3) 악기놀이 = 333 4) 동작활동 = 334 2. 미술활동 지도 = 338 1) 유아 미술의 내용과 내용체계 = 339 2) 미술활동 지도 방법 = 343 3. 수ㆍ과학 활동 지도 = 354 1) 유아 수학교육 = 355 2) 유아 과학교육 = 358 제13장 어린이집 행사 = 363 1. 행사의 의미와 종류 = 364 1) 행사의 의미 = 364 2) 행사의 종류 = 364 2. 행사의 실제 = 365 1) 체험학습과 연계한 교육활동 = 365 2) 유아가 주도하는 교육행사 = 367 3) 지역사회 연계 행사 = 372 참고문헌 = 379 찾아보기 = 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