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교육심리학

교육심리학 (38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허승희 이영만, 저 김정섭, 저
서명 / 저자사항
교육심리학 = Educational psychology / 허승희, 이영만, 김정섭 공저
발행사항
서울 :   학지사,   2015  
형태사항
445 p. : 삽화, 도표 ; 25 cm
ISBN
9788999706387
서지주기
참고문헌(p. 419-435)과 색인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28873
005 20150326094608
007 ta
008 150324s2015 ulkad b 001c kor
020 ▼a 9788999706387 ▼g 9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0.15 ▼2 23
085 ▼a 370.15 ▼2 DDCK
090 ▼a 370.15 ▼b 2015
100 1 ▼a 허승희 ▼0 AUTH(211009)108243
245 1 0 ▼a 교육심리학 = ▼x Educational psychology / ▼d 허승희, ▼e 이영만, ▼e 김정섭 공저
260 ▼a 서울 : ▼b 학지사, ▼c 2015
300 ▼a 445 p. : ▼b 삽화, 도표 ; ▼c 25 cm
504 ▼a 참고문헌(p. 419-435)과 색인수록
700 1 ▼a 이영만, ▼e▼0 AUTH(211009)63991
700 1 ▼a 김정섭, ▼e▼0 AUTH(211009)132471
900 1 0 ▼a Huh, Sung-hee, ▼e
900 1 0 ▼a Lee, Young-man, ▼e
900 1 0 ▼a Kim, Jung-sub,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0.15 2015 등록번호 11173322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허승희(지은이)

부산대학교 교육학과 대학원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부산교육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이다. 공저서로 <교육연구를 위한 질적연구의 방법>, <열린수업의 이해>, <구성주의와 교과교육>가 있고, 공역서로 <초등학교 아동을 위한 상담>, <열린교육의 철학>, <급진적 구성주의>등이 있다. 논문으로는「초등학교 현장의 인성교육 프로그램 분석」, 「초등학교 아동을 위한 사회, 정서적 고립 척도 개발」,「초등학교에서의 열린교육의 현황과 개선방안」외 다수가 있다.

김정섭(지은이)

미국 인디애나 주립대학에서 교육심리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부산대 교수로 근무하고 있음. 한국 초?중등교육에 학습컨설팅을 보급하고 정착하는 데 기여하였으며, 한국교육심리학회장을 역임하였음. 연구 관심 분야는 학습코칭 및 학습컨설팅, 창의성, 칭찬, 조절초점, 주체성 등임.

이영만(지은이)

부산대학교 교육학과에서 교육심리학과 수업이론을 공부하여 교육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1996년 이후 진주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근무하면서 지능과 창의성, 수업이론, 학습코칭 및 컨설팅 등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일본 나고야의 다이코 재단 및 아이치교육대학의 초청으로 일본 아이치교육대학 객원연구원 생활을 했으며, 미국 인디애나대학교 CEEP 소장인 Dr. Plucker의 초청을 받고 VISITING SCHOLAR로 인디애나대학교에서 연구한 바 있다. 『교사를 위한 교육심리학』(서원), 『다중지능이론과 수업』(양서원), 『교과교육에서 창의성의 이론과 실제』(학지사) 등의 공저와 『성공적인 수업으로 가는 아홉 가지 수업전략』(양서원), 『스턴버그의 교육심리학』(시그마프레스), 『심리 및 학습컨설팅』(센게이지 러닝), 『만 12∼14세 자녀 이해하기』(시그마프레스), 『수월성교육』(도서출판 아카넷) 등의 (공)역서가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3
제1장 교육심리학의 이해 = 13
 (1) 교육심리학과 교사의 전문성 = 13
 (2) 교육심리학의 이해 = 19
  1) 교육의 정의 = 19
  2) 심리학과 교육 = 21
  3) 교육심리학 = 22
  4) 교육심리학의 내용 = 24
 (3) 교육심리학의 연구 방법 = 26
  1)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 27
  2) 기술연구 = 29
  3) 상관연구 = 31
  4) 실험연구 = 33
제2장 학습자의 인지발달 = 35
 (1)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 37
  1) 피아제 이론의 배경 = 37
  2) 인지발달의 기본개념 = 38
  3) 인지발달단계 = 41
  4) 피아제 이론의 평가와 활용 = 56
 (2)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인지이론 = 57
  1) 비고츠키 이론의 배경 = 57
  2) 비고츠키 이론의 기본 개념 = 58
  3) 비고츠키 이론의 평가와 활용 = 64
  4) 피아제와 비고츠키 이론의 비교 = 66
제3장 학습자의 성격 및 사회성의 발달 = 69
 (1) 성격의 발달 = 70
  1) 정신역동적 접근: 무의식으로서의 나 = 70
  2) 특성적 접근: 특성들의 조합체로서의 나 = 84
  3) 인본주의적 접근: 자기 향상과 자기실현의 동기를 가진 나 = 88
 (2) 사회성의 발달 = 93
  1) 친사회적 행동의 발달 = 93
  2) 반사회적 공격 행동의 발달 = 96
  3) 비사회적 행동의 발달 = 99
 (3) 친구관계의 발달 = 101
  1) 친구관계의 의미 = 101
  2) 친구관계 형성이 발달에 미치는 영향 = 102
  3) 친구관계의 발달 과정 = 103
  4) 우정 개념의 발달 = 104
  5) 바람직한 친구관계 형성을 위한 지도 = 106
제4장 학습자의 자아 및 도덕성의 발달 = 109
 (1) 자아의 발달 = 109
  1) 자아의 의미와 자아개념의 발달 = 110
  2) 자아존중감의 발달 = 112
  3) 자아정체감의 발달과 지도 = 115
 (2) 도덕성의 발달 = 118
  1) 도덕성의 의미와 발달 = 118
  2)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 이론 = 121
  3)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 정의 윤리로서의 도덕성 = 123
  4) 길리건의 도덕성 발달 이론 = 126
  5) 바람직한 도덕성 발달들 위한 지도 = 128
제5장 학습자의 생태적 환경의 이해 = 131
 (1) 학습자를 둘러싼 생태적 환경 체계의 이해 = 132
  1) 학습자를 둘러싼 미시체계의 이해 = 133
  2) 학습자를 둘러싼 중간체계의 이해 = 138
  3) 학습자를 둘러싼 외체계의 이해 = 141
  4) 학습자를 둘러싼 거시체계의 이해 = 143
  5) 학습자를 둘러싼 시간체계의 이해 = 145
 (2) 학습자를 둘러싼 생태적 환경 이해의 방법 = 145
  1) 교사의 관찰 = 146
  2) 학생, 학생의 부모, 동료들 및 관련 인사들과의 면담 = 146
  3) 질문지의 활용 = 147
  4) 사회성 측정법의 실시 = 147
  5) 표준화 검사의 실시 = 148
제6장 지능과 창의성 = 151
 (1) 지능 = 152
  1) 지능이론 = 153
  2) 지능검사 = 164
 (2) 창의성 = 172
  1) 창의성의 정의 = 173
  2) 창의성의 연구 동향: 4P 모형 = 177
  3) 창의성 훈련 기법 및 프로그램 = 184
  4) 창의성 검사 = 191
제7장 학습동기 = 193
 (1) 동기의 의미와 역할 = 194
 (2) 동기이론 = 196
  1) 행동주의 이론 = 196
  2) 인본주의 이론 = 199
  3) 정서이론 = 203
  4) 인지이론 = 207 
  5) 환경영향론 = 218
 (3)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 220
  1) 내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의 관계 = 221
  2) 자기결정 동기 = 224
 (4) 종합 = 226
제8장 인지양식과 학습양식 = 231
 (1) 인지양식 = 232
  1) 장 의존성 대 장 독립성 = 232
  2) 사려성 대 충동성 = 237
 (2) 학습양식 = 241
  1) 콜브의 학습양식 = 243
  2) 던과 던의 학습양식 = 248
제9장 행동주의 학습이론 = 253
 (1) 고전적 조건화 = 256
  1) 기본가정 = 256
  2) 주요 개념 및 원리 = 257
  3) 고전적 조건화에 관한 새로운 연구 결과 = 262
 (2) 조작적 조건화 = 263
  1) 기본 가정 = 263
  2) 주요 개념 및 원리 = 264
  3) 조작적 조건화에 관한 대안적 설명 = 277
 (3) 사회인지학습이론 = 280
  1) 기본 가정 = 280
  2) 주요개념 및 원리 = 280
  3) 사회인지학습의 과정 = 281
  4) 관찰학습에 영향 주는 모델의 특성 = 283
  5) 관찰학습에 대한 대안적 설명 = 284
제10장 인지주의 학습이론 = 287
 (1) 인지학습이론의 원리 = 288
 (2) 정보처리 시스템 = 290
 (3) 기억 저장소 = 291
  1) 감각등록기 = 292
  2) 작업 기억 = 293 
  3) 장기기억 = 299 
 (4) 인지과정 = 304
  1) 주의 = 304
  2) 지각 = 307 
  3) 시연 = 308
  4) 부호화 = 309
  5) 인출 = 311
 (5) 구성주의 학습이론 = 320
  1) 기억에 대한 구성주의적 접근 = 321
  2) 기억 왜곡 = 321
제11장 효과적인 수업이론 = 323
 (1) 수업의 이해 = 324
  1) 교수, 학습, 수업의 개념 = 324
  2) 효과적인 수업 = 326
  3) 효과적인 교사 = 330
 (2) 수업이론 = 335
  1) 글레이저의 수업모형 = 337
  2) 브루너의 수업이론 = 339
  3) 오수벨의 수업이론 = 343
  4) 가네의 수업이론 = 348 
  5) 캐롤의 학교학습 모형 = 354
제12장 효과적인 교육평가 = 359
 (1) 교육평가의 이해 = 360
  1) 교육평가의 개념 = 360
  2) 교육평가의 목적 = 361 
  3) 교육평가의 절차 = 362
 (2) 교육평가의 유형 = 364
  1) 교육과 평가의 두 가지 관점: 규준지향평가와 준거지향평가 = 365
  2) 수업의 진행과정과 평가의 목적에 따른 교육평가의 유형 = 369
  3) 평가방법에 따른 구분: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 = 372
 (3) 검사와 문항 = 374
  1) 검사와 문항의 성격 = 374
  2) 문항의 유형 = 376
 (4) 평가 도구의 양호도 = 384
  1) 타당도 = 385
  2) 신뢰도 = 388  
  3) 객관도 = 391
  4) 실용도 = 392
제13장 부적응 행동의 예방과 지도 = 395
 (1) 부적응 행동의 개념 = 395
 (2) 부적응 행동의 원인 = 397
 (3) 학교에서의 부적응 행동의 유형 = 398
 (4) 부적응 행동의 지도 = 399
  1) 부적응 행동의 예방적 지도 = 400
  2) 학생들의 자기 통제를 통한 부적응 행동의 지도 = 412

관련분야 신착자료

장상호 (2023)
이용길 (2023)
小原國芳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