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초등교직실무 (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명주, 저 전제상, 저 최경섭, 저 주도연, 저 전병두, 저 정일화, 저
서명 / 저자사항
초등교직실무 / 이명주 [외]공저
발행사항
서울 :   학지사,   2015  
형태사항
366 p. ; 26 cm
ISBN
9788999701023
일반주기
공저자: 전제상, 최경섭, 주도연, 전병두, 정일화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28866
005 20150325175207
007 ta
008 150324s2015 ulk b 001c kor
020 ▼a 9788999701023 ▼g 9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2.11 ▼2 23
085 ▼a 372.11 ▼2 DDCK
090 ▼a 372.11 ▼b 2015
245 0 0 ▼a 초등교직실무 / ▼d 이명주 [외]공저
260 ▼a 서울 : ▼b 학지사, ▼c 2015
300 ▼a 366 p. ; ▼c 26 cm
500 ▼a 공저자: 전제상, 최경섭, 주도연, 전병두, 정일화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700 1 ▼a 이명주, ▼e▼0 AUTH(211009)62331
700 1 ▼a 전제상, ▼e▼0 AUTH(211009)110515
700 1 ▼a 최경섭, ▼e▼0 AUTH(211009)1387
700 1 ▼a 주도연, ▼e▼0 AUTH(211009)118902
700 1 ▼a 전병두, ▼e▼0 AUTH(211009)135693
700 1 ▼a 정일화, ▼e▼0 AUTH(211009)106667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2.11 2015 등록번호 11173322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초임교사는 사전에 교직사회의 적응을 위한 준비교육을 철저히 해야 한다. 학교적응교육 목적은 초임교사에 대한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초임교사의 사회화 과정을 도와주는 것이고, 학교조직에 관한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학교조직의 규범을 인식시켜 초임교사들이 효과적인 교수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있다. 외국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학교적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입문교육의 유무에 따른 교직적응의 차이를 분석하며 그 효과를 평가하는 단계에까지 이르고 있다.
교사 임용고시에 합격하면 해당 교육청에서 약 1주일간의 ‘신규교사 연수’를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교사 임용 전 연수는 개별 학교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단위학교에서의 신속한 학교적응을 도와주는 데 한계가 있다. 단위학교에서도 신규교사 오리엔테이션과 같은 프로그램을 갖추고 있지 않고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학교 안내를 해 준다거나, 앞으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가르쳐 주는 사람이 없다. 그냥 시간이 흐르면서 스스로 터득하라는 식과 같다.
이 책은 초등교직실무에서 겪게 되는 제반 문제 해결에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이 책이 교사로 임용되는 순간부터 현장적응력과 실무능력을 기를 수 있는 지침서로 유용하게 활용되길 기대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이명주(지은이)

충남 청양에서 태어나 자란 그는 공주교육대학교를 졸업하고 충남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은 후 교사와 장학사를 거쳐 모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도전과 혁신, 열정에서만큼은 아직도 ‘청춘’이라고 말하는 그는 교육인적자원부 지방대학육성위원회 위원, 전국 교육대학원 평가위원, 대전일보 칼럼니스트, 대전광역시 교육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3
제1부 교직의 이해
 제1장 교직의 전문화와 교원의 역할 = 11
  1. 교직의 전문화 = 11
  2. 교직관과 교원의 지위 = 16
  3. 교직사회 변화와 교원의 역할 = 18
  4. 교직생애발달 = 22
  5. 초등교사 직무의 실제 = 26
 제2장 학생의 이해 = 37
  1. 학생의 특성 = 37
  2. 학생 발달의 의미와 특징 = 40
  3. 학생의 인지 발달과 심리사회성 발달 = 46
  4. 학생의 신체 발달 = 51
 제3장 교직윤리 = 55
  1. 윤리의 정의 = 55
  2. 직업윤리의 정의 = 58
  3. 교육윤리의 새로운 패러다임 = 63
  4. 교원윤리강령 = 66
  5. 법률 및 의료 전문직의 윤리강령 = 72
 제4장 교직단체 = 79
  1. 교직단체의 개념 = 79
  2. 교직단체의 변천과 활동 = 88
  3. 교직단체 참여 방법 = 97
  4. 교직단체의 전망과 과제 = 99
제2부 학급경영 실무
 제5장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 105
  1. 교육과정의 개념과 성격 = 105
  2.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 111
  3. 2009개정교육과정 = 118
 제6장 학급담임과 학급경영 = 129
  1. 초등학교 교육의 이해 = 129
  2. 학급경영 = 134
  3. 학급조직 = 141
  4. 학급환경 및 사무관리 = 147
  5. 학급경영의 실제 = 150
 제7장 교수ㆍ학습지도 = 175
  1. 수업의 개념 = 175
  2. 수업 설계 방법 = 176
  3.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 = 191
 제8장 교육평가 = 199
  1. 교육평가의 정의 및 목적 = 199
  2. 교육평가의 모형 및 관점 = 205
  3. 교육평가의 절차와 방법 = 210
  4. 평가문항의 제작 = 214
 제9장 생활지도와 상담 = 219
  1. 생활지도와 상담의 이해 = 219
  2. 학교폭력의 예방 및 지도 = 227
  3. 생활지도의 실제 = 236
제3부 학교행정 실무
 제10장 교원 복무 = 247
  1. 교원의 복무 및 책임 = 247
  2. 교원의 휴가 업무 = 253
  3. 교원의 휴직 및 복직 = 262
 제11장 교원연수 = 273
  1. 교원연수의 의미와 유형 = 273
  2. 교원의 자격종별 및 검정 = 275
  3. 교원능력개발평가 = 279
 제12장 학교회계 및 업무관리 = 293
  1. 학교회계시스템 = 293
  2. 업무관리 = 298
  3. 업무관리시스템의 실제 = 309
 제13장 교육법규 = 315
  1. 법과 교육법 = 315
  2. 교육법규의 존재 형식 = 319
  3. 교육법규의 구조 및 체계 = 322
  4. 교원의 신분상 불이익 처분과 법적 구제 = 332
 제14장 학교자치의 이해 = 337
  1. 학교운영위원회의 이해 = 337
  2. 학교운영위원회의 도입 및 발달과정 = 341
  3.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 실제 = 343
  4. 학부모 교육과 참여의 이해 = 351
찾아보기 = 363

관련분야 신착자료

한성심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