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28858 | |
005 | 20150325164901 | |
007 | ta | |
008 | 150324s2015 ulk b 000c kor | |
020 | ▼a 9791130436098 ▼g 04300 | |
020 | 1 | ▼a 9791130436005 (세트) |
035 | ▼a (KERIS)BIB000013722219 | |
040 | ▼a 241002 ▼c 241002 ▼d 211009 | |
082 | 0 4 | ▼a 302.23 ▼2 23 |
085 | ▼a 302.23 ▼2 DDCK | |
090 | ▼a 302.23 ▼b 2015z1 | |
100 | 1 | ▼a 백선기 ▼0 AUTH(211009)136334 |
245 | 1 0 | ▼a 미디어 담론 / ▼d 백선기 |
260 |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c 2015 | |
300 | ▼a xix, 89 p. ; ▼c 19 cm | |
440 | 0 0 | ▼a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2.23 2015z1 | Accession No. 11173321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시리즈. '미디어 담론이란 무엇인가', '담론의 개념, 범주, 차원', '담론 구조, 의미 생성의 근원', '미디어와 젠더 담론', '미디어와 계급 담론', '미디어와 문화 담론', '미디어와 인종 담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담론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지만 그에 대한 정확한 개념이나 정의를 인식하지 못한 채 무분별하게 사용되고 있다. 담론은 대부분 특정 이슈나 의제에 대해 사회 구성원들이 집중적으로 관심을 보이고 의견을 개진하는 것을 일컫는다. 따라서 담론은 일정한 구조를 지녀야 하며, 특정 이슈나 의제에 대해 공개적으로 의견이나 주장을 제기해야 한다. 이에 대해 찬성과 반대, 수정 견해들이 제시되어 경쟁, 갈등, 대립 상황으로 전개되면서 사회 전체가 갈등 해결에 나서게 된다. 이러한 담론의 생성, 전개, 확산, 정점, 해결 또는 소멸 과정에 주도적으로 관여하는 기구가 바로 미디어다. 미디어 담론에 관심이 높은 이유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백선기(지은이)
성균관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다.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학사,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에서 석사와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미국 미네소타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전공은 언론보도, 대중문화, 문화연구, 담론연구, 기호학이며, 많은 문화현상을 기호학의 개념과 방법들로 분석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광고 기호학」(2010), 「텔레비전 영상 기호학」(2003), 「한국선거보도의 기호학」(1997), 「보도의 기호학」(1995) 등이 있다. 최근에는 보도, 영화, 광고, 미디어 현상들에 기호학을 적용하면서 의미를 파악하는 즐거움을 맛보자는 의도로 제작된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 시리즈를 출간했으며, 「미디어 기호학」(2015)과 「미디어 담론」(2015)의 이해총서를 출간했다. 한국언론학회 저서 부문(「한국선거보도의 기호학」)과 번역 부문(「문화연구란 무엇인가?」) 저술상을 수상했다. 한국기호학회 부회장, 한국방송학회장을 지냈으며, IAMCR의 국제평의회 의원, PACA 회장과 WCA 부회장을 맡고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통신은 지금도 진화하고 있다 = Ⅴ 01 연기와 횃불 = 1 02 낙타와 파발 = 13 03 초상화와 모스부호 = 23 04 나방과 전파 = 33 05 전신과 재난 = 43 06 카네기와 남북전쟁 = 53 07 통신위성과 지구촌 = 63 08 에니악과 슈퍼컴퓨터 = 73 09 스마트 미디어와 떠돌이 = 83 10 아이폰과 통신의 미래 = 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