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한국어 문법 총론

한국어 문법 총론 (318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구본관, 저 박재연, 저 이선웅, 저 이진호, 저 황선엽, 저
서명 / 저자사항
한국어 문법 총론 / 구본관 [외]공저
발행사항
서울 :   집문당,   2015-2016   (2018)  
형태사항
2책 ; 26 cm
ISBN
9788930316736 (v.1) 9788930316743 (v.2) 9788930316750 (세트)
일반주기
공저자: 박재연, 이선웅, 이진호, 황선엽  
내용주기
1. 개관, 음운, 형태, 통사 (xvii, 408 p.) -- 2. 의미, 화용, 텍스트, 어휘, 규범, 15세기 한국어, 한국어사, 문자 (xv, 495 p.)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28857
005 20180328102430
007 ta
008 150324m20152016ulk b 001c kor
020 ▼a 9788930316736 (v.1) ▼g 94700
020 ▼a 9788930316743 (v.2) ▼g 94700
020 1 ▼a 9788930316750 (세트)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495.75 ▼2 23
085 ▼a 497.5 ▼2 DDCK
090 ▼a 497.5 ▼b 2015
245 0 0 ▼a 한국어 문법 총론 / ▼d 구본관 [외]공저
260 ▼a 서울 : ▼b 집문당, ▼c 2015-2016 ▼g (2018)
300 ▼a 2책 ; ▼c 26 cm
500 ▼a 공저자: 박재연, 이선웅, 이진호, 황선엽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505 0 0 ▼n 1. ▼t 개관, 음운, 형태, 통사 ▼g (xvii, 408 p.) -- ▼n 2. ▼t 의미, 화용, 텍스트, 어휘, 규범, 15세기 한국어, 한국어사, 문자 ▼g (xv, 495 p.)
700 1 ▼a 구본관, ▼e▼0 AUTH(211009)120978
700 1 ▼a 박재연, ▼e▼0 AUTH(211009)125675
700 1 ▼a 이선웅, ▼e▼0 AUTH(211009)85631
700 1 ▼a 이진호, ▼e▼0 AUTH(211009)53385
700 1 ▼a 황선엽, ▼e▼0 AUTH(211009)9914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5 2015 1 등록번호 111733213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0-10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5 2015 1 등록번호 11177192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5 2015 2 등록번호 11175477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5 2015 2 등록번호 111765679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0-06 예약 서비스 M
No. 5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5 2015 2 등록번호 111788142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2-11 예약 서비스 M
No. 6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97.5 2015 1 등록번호 15134280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7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97.5 2015 2 등록번호 151342801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1-20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5 2015 1 등록번호 111733213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0-10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5 2015 1 등록번호 11177192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5 2015 2 등록번호 11175477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5 2015 2 등록번호 111765679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0-06 예약 서비스 M
No. 5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5 2015 2 등록번호 111788142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2-11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97.5 2015 1 등록번호 15134280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97.5 2015 2 등록번호 151342801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1-20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언어와 한국어,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을 담고 있다. 본문 중에 ‘참고’를 두어 심화된 내용이나 본문의 기술과 다른 견해를 담아낸 것도 깊이를 더하고자 한 시도였다.

이 책은 2권 12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Ⅰ권은 ‘언어와 한국어,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을 담고 있으며 제Ⅱ권은 ‘의미론, 화용론, 텍스트 언어학, 어휘론, 어문 규범, 국어사, 15세기 한국어 문법, 문자와 표기’를 담고 있어 한국어 연구의 거의 모든 분야를 두 권에 담았다고 할 수 있다. 많은 분야를 담고 있으면서도 각각의 분야에 대해 가능한 한 깊이 있게 기술하고자 하였다. 본문 중에 ‘참고’를 두어 심화된 내용이나 본문의 기술과 다른 견해를 담아낸 것도 깊이를 더하고자 한 시도였다. 결과적으로 우리는 이 책이 한국어 문법의 공시와 통시, 이론과 응용을 아우르는 넓이와 깊이를 더한 말 그대로의 ‘총론’이 되도록 노력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구본관(지은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겸무연구원 대표 논저 『15세기 국어 파생법에 대한 연구』(1998) 『우리말 문법론』(2008, 2018개정판, 공저) 『어휘 교육론』(2014, 공저) 『다문화 시대 이주민의 한국어 의사소통』(2016, 공저) 『한국어 표준 문법』(2018, 공저)

이선웅(지은이)

경희대학교 외국어대학 한국어학과 교수 대표 논저 『국어 명사의 논항구조 연구』(2005) 『한국어 문법론의 개념어 연구』(2012) 『한국어 어휘 교육』(2010, 공저)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과 표현』 초급, 중급(2016, 공저)

이진호(지은이)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대표 논저 『국어 음운론 강의』(2005) 『국어 음운 교육 변천사』(2009) 『한국어의 표준 발음과 현실 발음』(2012) 『한국어 표준 문법』(2018, 공저)

박재연(지은이)

아주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대표 논저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2006) 「고유명 의미의 지시와 내포」(2012) 「한국어 의도 관련 어미의 환유적 의미 확장」(2013) 『한국어 어미의 의미』(2018)

황선엽(지은이)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대표 논저 『국어 연결어미의 통시적 연구』(2002) 『각필구결의 해독과 번역 1』(2005, 공저) 『석독구결사전』(2009, 공저)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ⅲ
목차 = ⅵ
참고 목차 = xiii
제1장 언어와 한국어 
 1.1. 언어의 본질 = 1
  1.1.1. 언어의 특성 = 1
   1.1.1.1. 이원성과 자의성 = 3
   1.1.1.2. 창조성과 규칙성 = 4
   1.1.1.3. 추상성과 분절성 = 5
   1.1.1.4. 사회성과 초월성 = 6
   1.1.1.5. 역사성과 문화성 = 6
   1.1.1.6. 체계성 = 7
  1.1.2. 언어의 기능 = 8
  1.1.3. 언어와 인간 = 11
   1.1.3.1. 언어와 사고 = 11
   1.1.3.2. 언어와 사회 = 13 
   1.1.3.3. 언어와 문화 = 16
 1.2. 언어와 언어 연구 = 20
  1.2.1. 언어 연구의 흐름과 한국어 문법 연구 = 20
  1.2.2. 규범 문법과 기술 문법 = 23
  1.2.3. 문법의 정의와 언어 연구의 영역 = 26
 1.3. 언어로서의 한국어와 한국어의 특질 = 28  
  1.3.1. 국어의 개념과 분포 = 28
  1.3.2. 한국어의 특질 = 30
제2장 음운론 
 2.1. 음운론에 대한 기본적 이해 = 37
  2.1.1. 발음 기관 = 37
  2.1.2. 음성과 음운 = 39
  2.1.3. 음소와 운소 = 41
 2.2. 음운 체계 = 43
  2.2.1. 자음 = 44 
   2.2.1.1. 자음의 조음 위치 = 44
   2.2.1.2. 자음의 조음 방식 = 45
  2.2.2. 모음 = 50
  2.2.3. 반모음 = 52
  2.2.4. 장단 = 55
  2.2.5. 억양 = 57
 2.3. 음절 = 59
  2.3.1. 음절의 구조 = 60
  2.3.2. 음절의 유형 = 61
 2.4. 음운 현상 = 63
  2.4.1. 음운 현상의 정의와 분류 기준 = 63 
  2.4.2. 음운의 대치 = 64
   2.4.2.1. 평파열음화 = 64
   2.4.2.2. 비음화 = 66
   2.4.2.3. 'ㄹ'의 비음화 = 68 
   2.4.2.4. 유음화 = 69 
   2.4.2.5. 경음화 = 71
   2.4.2.6. 구개음화 = 74
   2.4.2.7. 두음 법칙 = 76
   2.4.2.8. 모음 조화 = 77
   2.4.2.9. 반모음화 = 78
   2.4.2.10. 그 밖의 음운 현상 = 79
  2.4.3. 음운의 탈락 = 82
   2.4.3.1. 자음군 단순화 = 82
   2.4.3.2. 후음 탈락 = 83
   2.4.3.3. 유음 탈락 = 84
   2.4.3.4. 모음 탈락 = 85 
  2.4.4. 음운의 첨가 = 86 
   2.4.4.1. 'ㄴ' 첨가 = 86
   2.4.4.2. 반모음 첨가 = 87
  2.4.5. 음운의 축약 = 88 
 2.5. 형태소의 교체 = 89
  2.5.1. 교체의 정의와 기본형 = 89
  2.5.2. 자동적 교체와 비자동적 교체 = 92
  2.5.3. 규칙적 교체와 불규칙적 교체 = 93
  2.5.4. 음운론적 교체와 비음운론적 교체 = 95
제3장 형태론 
 3.1. 단어 구성의 기본적 이해 = 97
  3.1.1. 형태론과 형태론의 단위 = 97
   3.1.1.1. 형태론의 영역 = 97
   3.1.1.2. 단어의 분석과 형태론의 단위 = 98
  3.1.2. 형태소 = 101
   3.1.2.1. 형태소의 정의와 하위분류 = 101
   3.1.2.2. 형태소, 형태, 이형태 = 103
  3.1.3. 단어 = 104
   3.1.3.1. 단어의 정의 = 104 
   3.1.3.2. 단어의 범위와 관련한 여러 논의들 = 107
 3.2. 단어 형성론 = 108
  3.2.1. 단어 형성의 유형 = 108
   3.2.1.1. 단어 형성의 원리 = 108
   3.2.1.2. 분석의 관점과 형성의 관점 = 111
   3.2.1.3. 형성 방식에 따른 단어의 유형 = 113
   3.2.1.4. 신조어와 순화어 = 117
  3.2.2. 합성어 = 119
   3.2.2.1. 합성어와 구 = 119
   3.2.2.2. 합성어 형성에서 나타나는 음운 현상 = 121
   3.2.2.3. 합성어의 유형 = 122
   3.2.2.4. 합성 명사 = 123
   3.2.2.5. 합성 명사와 사잇소리 현상 = 124
   3.2.2.6. 합성 형용사 = 126
   3.2.2.7. 합성 동사 = 127 
   3.2.2.8. 합성 부사 = 128
   3.2.2.9. 반복 합성어 = 129
  3.2.3. 파생어 = 132
   3.2.3.1. 파생법과 파생 접사 = 132
   3.2.3.2. 파생 접사의 생산성 = 132
   3.2.3.3. 파생어 형성과 단일어화 = 133
   3.2.3.4. 파생어 형성 규칙의 제약 = 135
   3.2.3.5. 접두 파생법 = 136
   3.2.3.6. 접미 파생법 = 141
  3.2.4. 한자어 = 151
   3.2.4.1. 한자어의 범위 = 151
   3.2.4.2. 한자어 단어 형성의 특징 = 153
   3.2.4.3. 한자어 합성법 = 154
   3.2.4.4. 한자어 파생법 = 156
 3.3. 품사론 = 160  
  3.3.1. 품사 분류 = 160 
   3.3.1.1. 품사 분류의 필요성 = 160
   3.3.1.2. 품사 분류의 기준 = 161
   3.3.1.3. 한국어의 품사 체계 = 162
   3.3.1.4. 품사의 통용 = 163
  3.3.2. 명사, 대명사, 수사 = 165
   3.3.2.1. 명사 = 166
   3.3.2.2. 대명사 = 168
   3.3.2.3. 수사 = 172
  3.3.3. 동사, 형용사 = 175
   3.3.3.1. 동사 = 176
   3.3.3.2. 형용사 = 179
   3.3.3.3. 이다 = 182
  3.3.4. 관형사, 부사, 감탄사 = 183
   3.3.4.1. 관형사 = 184 
   3.3.4.2. 부사 = 187 
   3.3.4.3. 감탄사 = 191
  3.3.5. 조사와 어미 = 193
   3.3.5.1. 조사 = 193
   3.3.5.2. 어미 = 200
제4장 통사론  
 4.1. 통사론에 대한 기본적 이해 = 205
  4.1.1. 통사론과 통사 단위 = 205
  4.1.2. 문장의 구조를 보는 두 가지 관점 = 211
   4.1.2.1. 문장의 통사 구조 = 211
   4.1.2.2. 문장의 정보 구조 = 213
  4.1.3. 어순 = 215
 4.2. 문장 성분과 문형 = 219
  4.2.1. 문장 성분의 개념과 종류 = 219
  4.2.2. 주어 = 219
  4.2.3. 목적어 = 223 
  4.2.4. 보어 = 227
  4.2.5. 서술어 = 229
  4.2.6. 관형어 = 236
  4.2.7. 부사어 = 239
  4.2.8. 독립어 = 243
  4.2.9. 문장 성분과 격 = 245
  4.2.10. 서술어의 자릿수와 문형 = 246
   4.2.10.1. 논항, 자릿수, 의미역 = 246
   4.2.10.2. 문형 = 250
 4.3. 문장의 확장 = 254
  4.3.1. 단문과 복문 = 254
  4.3.2. 접속문(이어진문장) = 256
  4.3.3. 포유문(안은문장) = 259
   4.3.3.1. 명사절을 안은 문장 = 260
   4.3.3.2. 관형사절을 안은 문장 = 265
   4.3.3.3. 부사절을 안은 문장 = 269
   4.3.3.4. 서술절을 안은 문장 = 278
  4.3.4. 겹문장의 문법적 특성 = 279
 4.4. 문장의 유형 = 283
  4.4.1. 평서문 = 284 
  4.4.2. 의문문 = 286
   4.4.2.1. 판정 의문문 = 288
   4.4.2.2. 설명 의문문 = 289
   4.4.2.3. 선택 의문문 = 289
   4.4.2.4. 메아리 의문문 = 289
   4.4.2.5. 자문(自問) = 290
  4.4.3. 명령문 = 291
  4.4.4. 청유문 = 293
  4.4.5. 감탄문 = 294
  4.4.6. 문장의 유형과 화행 = 295
 4.5. 높임 표현 = 297
  4.5.1. 높임 표현의 개념과 종류 = 297
  4.5.2. 주체 높임 = 297
  4.5.3. 객체 높임 = 299
  4.5.4. 상대 높임 = 300
  4.5.5. 겸양 표현 = 307
  4.5.6. 높임의 특수 어휘 = 308
 4.6. 시제와 상 = 308
  4.6.1. 시제의 개념 = 308
  4.6.2. 절대 시제와 상대 시제 = 309 
  4.6.3. 시제의 종류 = 311
   4.6.3.1. 현재 시제 = 311
   4.6.3.2. 과거 시제 = 312
   4.6.3.3. 미래 시제 = 316
  4.6.4. 상의 개념 = 318 
  4.6.5. 문법상 = 318
   4.6.5.1. 진행상 = 318
   4.6.5.2. 완료상과 결과상태상 = 319
  4.6.6. 어휘상 = 320
  4.6.7. 문법상과 어휘상의 연관성 = 321
 4.7. 양태 = 323
  4.7.1. 양태에 대한 기본적 이해 = 323
   4.7.1.1. 양태의 의미 영역 = 323
   4.7.1.2. 양태의 실현 형식 = 326
  4.7.2. 선어말 어미로 표현되는 양태 = 328
   4.7.2.1. '-겠-' = 328
   4.7.2.2. '-더-' = 330
   4.7.2.3. '-(으)리-, -니-, -것-' = 334
  4.7.3. 종결 어미로 표현되는 양태 = 336
   4.7.3.1. '-지' = 336 
   4.7.3.2. '-네', '-구나' = 338
   4.7.3.3. '-(으)ㄹ래', '-(으)ㄹ까' = 340
  4.7.4. 연결 어미나 전성 어미로 표현되는 양태 = 341
  4.7.5. 통사적 구성으로 표현되는 양태 = 344
 4.8. 피동과 사동 = 345
  4.8.1. 피동과 사동의 개념 = 345
  4.8.2. 피동의 종류 = 348
   4.8.2.1. 피동사 피동 = 348
   4.8.2.2. '-아/어지다' 피동 = 350
  4.8.3. 피동의 특성 및 제약 = 351
  4.8.4. 사동의 종류 = 353
   4.8.4.1. 사동사 사동 = 353
   4.8.4.2. '-게 하다' 사동 = 355
  4.8.5. 사동의 특성 및 제약 = 356
   4.8.5.1. 직접 사동과 간접 사동 = 356
   4.8.5.2. 사동의 제약 = 357
 4.9. 부정문 = 358
  4.9.1. 부정문의 개념 = 358
  4.9.2. 부정의 종류 = 358
   4.9.2.1. 통사적 부정과 어휘적 부정 = 358 
   4.9.2.2. 단형 부정과 장형 부정 = 359
   4.9.2.3. '안' 부정과 '못' 부정, '말다' 부정 = 359
  4.9.3. 부정문의 특성 = 361
   4.9.3.1. 부정극어와의 어울림 = 361
   4.9.3.2. 부정문의 중의성 = 361
   4.9.3.3. 부정문과 확인문 = 363
   4.9.3.4. 부정문 관련 제약 = 363
참고 문헌 = 365
찾아보기 = 39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