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창의적 사고와 소통

창의적 사고와 소통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연도, 편 최윤경, 편 한수영, 편 홍경남, 편 홍달오, 편
서명 / 저자사항
창의적 사고와 소통 = Creative thinking & communication / 이연도 [외 편저]
발행사항
서울 :   중앙대학교,   2015  
형태사항
352 p. : 천연색삽화 ; 26 cm
ISBN
9788972078487
일반주기
공편자: 최윤경, 한수영, 홍경남, 홍달오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28856
005 20150325163750
007 ta
008 150324s2015 ulka AT 000c kor
020 ▼a 9788972078487 ▼g 038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153.35 ▼2 23
085 ▼a 153.35 ▼2 DDCK
090 ▼a 153.35 ▼b 2015z1
245 0 0 ▼a 창의적 사고와 소통 = ▼x Creative thinking & communication / ▼d 이연도 [외 편저]
246 3 1 ▼a Creative thinking and communication
260 ▼a 서울 : ▼b 중앙대학교, ▼c 2015
300 ▼a 352 p. : ▼b 천연색삽화 ; ▼c 26 cm
500 ▼a 공편자: 최윤경, 한수영, 홍경남, 홍달오
700 1 ▼a 이연도, ▼e▼0 AUTH(211009)61681
700 1 ▼a 최윤경, ▼e▼0 AUTH(211009)99551
700 1 ▼a 한수영, ▼e▼0 AUTH(211009)93190
700 1 ▼a 홍경남, ▼e▼0 AUTH(211009)31156
700 1 ▼a 홍달오, ▼e▼0 AUTH(211009)27623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3.35 2015z1 등록번호 11173321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이연도(지은이)

중앙대 다빈치교양대학 교수. 중앙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중국 북경대학에서 중국 근현대철학을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동양철학과 함께 인문학과 고전에 대한 저술과 강연 작업을 꾸준히 하고 있다. 중앙대·서울대·강원대 등에서 중국철학과 동양윤리사상, 중국미학 등을 가르쳤으며, 고전 읽기의 즐거움을 대학 내외의 강의를 통해 전파하고 있다. 저서로는 《근현대 중국 이상사회론》(2018), 《강유위가 들려주는 대동 이야기》(2008), 《처음 읽는 중국현대철학》(2016, 공저), 《세계를 바꾼 철학자들》(2015, 공저), 《삐뚤빼뚤 생각해도 괜찮아》(2013, 공저), 《인문치료》(2009, 공저)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공자전(孔子傳)》(2013), 《징비록(懲毖錄)》(2009)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I. 노래, 창의의 소리 

1장 감각의 즐거움 
1. 저 소리를 들어라 : What a wonderful world, 「계란 한 판」 
2. 그 먼 냄새 속을 쏘다니다 : 『내 가난한 발바닥의 기록 개』『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3. 보여주는 것, 보고 싶은 것 : 『타인의 고통』 

2장 청춘의 감수성 
1. 높고 푸른 빈 방 : 「일곱 살의 시인들」 
2. 배가 텅 비었을 때 진정으로 꿰뚫어볼 수 있음을 : 『파리는 날마다 축제』 
3. 너의 노래를 불러라 : 「개미도 노래를 부른다」 


II. 거울, 창의의 내면 

3장. 행복의 조건 
1. 그는 나에게서 거울을 보고 있었던 거였다 : 「이발소 거울」 
2. ‘그’라고 말하는 것은 ‘나’라고 말할 수가 없기 때문이네 : 『지킬 박사와 하이드』 
3. ‘사랑에 빠진다’는 말은 모순이다 : 『소유냐 삶이냐』 

4장. 자유의 무게 
1. 스스로 택한 감금은 강제적인 감금보다 훨씬 더 힘들다는 점이오 : 「내기」 
2.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 : 『세상을 바꾼 법정』 
3. 자유로운 삶을 위해서는 약간의 용기가 있어야 한다 : 『삶을 위한 철학수업』 


III. 춤 , 창의의 몸짓 

5장. 일상의 선택 
1. 나는 구조의 희생양이다 :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2. 얼마나 더 업그레이드 돼야 밖으로 나갈 수 있을까: 『철수사용설명서』 
3. 오직 인간만이 춤출 수 있다 : 『피로사회』 

6장. 시장과 가치 
1. 인간은 인센티브에 의해서 움직이는가 :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 
2. 빵 한 덩이에서 삶은 시작되고 : 『레미제라블』 
3. ‘균 본위제’ 빵집의 실험 : 『시골빵집에서 자본론을 굽다』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