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28851 | |
005 | 20150528160056 | |
007 | ta | |
008 | 150324s2015 ggk b 001c kor | |
020 | ▼a 9788932916927 ▼g 9318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h ger |
082 | 0 4 | ▼a 154.2 ▼2 23 |
085 | ▼a 154.2 ▼2 DDCK | |
090 | ▼a 154.2 ▼b 2015 | |
100 | 1 | ▼a Freud, Anna, ▼d 1895-1982 ▼0 AUTH(211009)88821 |
245 | 1 0 | ▼a 자아와 방어 기제 / ▼d 안나 프로이트 지음 ; ▼e 김건종 옮김 |
246 | 1 | ▼i 영어번역표제: ▼a The ego and the mechanisms of defence |
246 | 1 9 | ▼a Das Ich und die Abwehrmechanismen |
246 | 3 0 | ▼a Ego and the mechanisms of defence |
246 | 3 9 | ▼a Ich und die Abwehrmechanismen |
260 | ▼a 파주 : ▼b 열린책들, ▼c 2015 | |
300 | ▼a 237 p. ; ▼c 20 cm | |
504 | ▼a 참고문헌(p. 225-228)과 색인수록 | |
546 | ▼a 영어로 번역된 독일어 원작을 한국어로 중역 | |
650 | 0 | ▼a Ego (Psychology) |
650 | 0 | ▼a Defense mechanisms (Psychology) |
700 | 1 | ▼a 김건종, ▼e 역 ▼0 AUTH(211009)14339 |
900 | 1 0 | ▼a 프로이트, 안나,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4.2 2015 | 등록번호 11173320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4.2 2015 | 등록번호 13104923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154.2 2015 | 등록번호 15132552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학과비치/ | 청구기호 독일문화학과 154.2 2015 | 등록번호 151324832 |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4.2 2015 | 등록번호 11173320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4.2 2015 | 등록번호 13104923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154.2 2015 | 등록번호 15132552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학과비치/ | 청구기호 독일문화학과 154.2 2015 | 등록번호 151324832 |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딸로 태어나 그의 제자, 학문적 동지인 동시에 그 스스로 아동 정신 분석학의 권위자인 안나 프로이트의 대표 저서 <자아와 방어 기제>가 번역 출간되었다. 독일에서의 첫 출간과 동시에 이미 정신 분석학에 있어서의 주요한 공헌으로 인정받은 이 책은 출간 직후의 영어 번역본을 시작으로 80여 년이 지난 현재까지 다양한 번역본과 수많은 개정판을 생산하고 있다.
<자아와 방어 기제>를 통해 처음 소개되는 '공격자와의 동일시' 사례를 보자. 어두운 거실을 가로지르는 것을 두려워한 한 소녀가 있다. 두려움의 실체는 유령을 볼지도 모른다는 공포였다. 어느 날 소녀는 문득 어떤 생각에 이르렀고 곧 불안에서 해방된다. 대신 소녀는 온갖 괴상한 몸짓을 하며 거실을 내달리기 시작한다. 그리고 동생에게 자신이 불안을 극복하게 된 방법을 이야기해 준다.「하나도 걱정할 필요 없어. 마주칠지도 모르는 유령인 척하면 되거든.」 소녀의 괴상한 동작은 자신이 상상한 유령에 대한 표상이었던 것이다.
안나 프로이트에 따르면 이러한 유형의 행동은 원시적 자아에서 볼 수 있는 자연스러운 행동 양식 중 하나로, 오래전부터 원시적 종교 의식에서도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또한 일상에서 아이들의 역할 놀이를 이해하는 또 다른 관점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 안나 프로이트의 분석이다. 놀이의 이면에는 주체가 무서운 대상으로 변신함으로써 불안을 안전한 쾌락으로 바꾸는 방어 기제의 형식이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현재 진행형의 정신 분석학 고전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딸로 태어나 그의 제자, 학문적 동지인 동시에 그 스스로 아동 정신 분석학의 권위자인 안나 프로이트의 대표 저서 <자아와 방어 기제>가 번역 출간되었다. 독일에서의 첫 출간과 동시에 이미 정신 분석학에 있어서의 주요한 공헌으로 인정받은 이 책은 출간 직후의 영어 번역본을 시작으로 80여 년이 지난 현재까지 다양한 번역본과 수많은 개정판을 생산하고 있다. 안나 프로이트의 학문적 역량이 모두 녹아들어 있는 이 책은 정신 분석학을 이해하는 데에 꼭 필요한 필독서로서 현재까지 그 학문적 가치를 유지하고 있다.
처음 책이 출간되었던 1936년은 정신 분석학에서 인간 정신의 세 측면 중 하나인 자아에 대한 연구가 미진하던 시기였다. 분석가들이 정신적 지층의 깊이에 비례해서 분석의 가치가 결정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안나 프로이트는 이전까지 무의식에만 몰두했던 정신 분석 이론의 일방성을 비판하며 자아의 복잡성과 방어 기제에 집중하며 치료 과정에서의 분석가의 역할과 분석의 입장을 새롭게 정의했다. 이전까지 거추장스러운 장애물에 불과했던 자아를 그 자체로서 연구할 가치가 있는 정신 분석학적 탐구의 대상으로 확립시켰고, 모호하고 막연하고 신비했던 정신 분석을 좀 더 명료하고 일상적인 존재로 만든 것이다. 이 책 『자아와 방어 기제』에서 우리는 이러한 거대한 변화의 시작을 목도할 수 있다.
생생한 사례 연구를 통한 새로운 학문적 시도
이 책의 전반을 통해 안나 프로이트는 다양한 자아 방어 기제들(퇴행, 억압, 반동 형성, 격리, 취소, 투사, 내사, 자기 향하기, 역전, 승화, 동일시, 주지화 등)을 소개하고 체계화한다. 지그문트 프로이트를 포함한 이전 학자들의 저서와 논문 들에서는 그 개념적 소개정도만 이루어진 것들이 대부분이었던 바, 안나 프로이트의 가장 큰 업적들 중 하나라면 이런 방어 기제들을 분류하고 구체화했다는 데에 있다. 이런 작업을 통해서 안나 프로이트는 각각의 방어 기제를 실제 사례 속에서 이해하고자 하는데, 특히 아동과 청소년을 중심으로 하는 분석 사례는 안나 프로이트에게 기존 학문의 분석 대상을 확장시킨 획기적 공로를 부여한다.
<자아와 방어 기제>를 통해 처음 소개되는 '공격자와의 동일시' 사례를 보자. 어두운 거실을 가로지르는 것을 두려워한 한 소녀가 있다. 두려움의 실체는 유령을 볼지도 모른다는 공포였다. 어느 날 소녀는 문득 어떤 생각에 이르렀고 곧 불안에서 해방된다. 대신 소녀는 온갖 괴상한 몸짓을 하며 거실을 내달리기 시작한다. 그리고 동생에게 자신이 불안을 극복하게 된 방법을 이야기해 준다.「하나도 걱정할 필요 없어. 마주칠지도 모르는 유령인 척하면 되거든.」 소녀의 괴상한 동작은 자신이 상상한 유령에 대한 표상이었던 것이다. 안나 프로이트에 따르면 이러한 유형의 행동은 원시적 자아에서 볼 수 있는 자연스러운 행동 양식 중 하나로, 오래전부터 원시적 종교 의식에서도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또한 일상에서 아이들의 역할 놀이를 이해하는 또 다른 관점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 안나 프로이트의 분석이다. 놀이의 이면에는 주체가 무서운 대상으로 변신함으로써 불안을 안전한 쾌락으로 바꾸는 방어 기제의 형식이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사례 연구의 생생한 현장성을 통해 안나 프로이트가 강조하려는 것은 무엇일까? 안나 프로이트의 주장은 다음과 같다. 정신 조직을 관찰하는 데 적합한 자리는 항상 자아라는 것, 그리고 자아는 그것을 통해 다른 두 조직을 이해할 수 있는 일종의 매개체라는 것이다. 이드, 자아, 초자아라는 세 정신 측면의 가장 조화로운 관계 구축은 건강한 정신생활에서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할 필수 요소다. 세 조직에 대해서 가능한 최대의 지식을 얻고, 이 조직들이 서로 어떤 관계를 맺으며, 또 각 조직은 외부 세계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에 대해서 탐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이 아동의 사례에 적용될 때 우리는 인간 발달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모두 설명할 수 있는 힘을 얻게 된다는 것이다. 이는 결국 인간의 이해라는 궁극적 목표에 도달하는 길이 된다. 완전히 새로운 것을 시도하면서도 기존 이론들과의 완벽한 상호 작용을 이루고 있는 이 책 <자아와 방어 기제>는 정신 분석 이론뿐만 아니라 안나 프로이트가 기틀을 마련한 자아 심리학의 이해하기 위해서도 반드시 통과해야 할 관문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안나 프로이트(지은이)
1895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여섯 자녀 중 막내딸로 태어났다. 일찍이 교직에 몸담으며 아동 교육의 중요성을 깨우친 안나 프로이트는 이후 정신 분석에 관심을 가지며 현장에서의 체험과 아이들에 대한 직접적인 관찰 결과를 자신의 분석 이론에 그대로 반영했다. 『자아와 방어 기제』는 이러한 아동 분석 이론의 결과로써, 정신 분석학 전반에 커다란 공헌을 한 대표적인 저작이다. 안나 프로이트는 이 책에서 무의식에 편중되어 있던 기존 학문의 시야를 자아의 영역으로 확장시키고, 정신 분석학의 대상을 성인으로부터 아동 및 청소년으로 확대시킴으로써 정신 분석이 현대 자아 심리학으로 전환되는 역사적 계기를 가져다주었다. 이 밖에도 안나 프로이트의 사춘기 자아론은 정신 분석의 영역에서뿐만 아니라 현대의 사춘기 심리학 및 청년 심리학의 출발점이 되었고 오늘날에도 그 이론의 타당성은 유지되고 있다. 만년에는 런던의 햄스테드 아동 임상 클리닉을 중심으로 아동의 자아 발달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였다. 1982년 그녀가 영국 런던에서 사망하자 이 치료소는 <안나 프로이트 센터>로 이름이 바뀌었고, 그녀가 살던 집은 프로이트 박물관으로 재탄생했다. 주요 저서로 『교사와 부모를 위한 정신 분석』, 『자아와 방어 기제』, 『아동기의 정상과 병리』 등이 있다.
김건종(옮긴이)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수련받고 정신건강의학과 의사가 되었다. 『마음의 여섯 얼굴』 『우연한 아름다움』 『바라;봄』을 썼고, 『자아와 방어기제』 『정신적 은신처』 『수치어린 눈』 『황홀』 『충분히 좋은 엄마』 등을 우리말로 옮겼으며, 『피글』과 『리딩 위니코트』를 감수했다. 위니코 트를 좋아하여 오랫동안 곁에 두고 공부해왔다.

목차
목차 서문 = 5 1부 방어 기제 이론 = 9 1장 관찰하는 자리로서의 자아 = 11 2장 정신 조직 연구에서 분석 기법의 적용 = 21 3장 분석 대상으로서 자아의 방어 활동 = 43 4장 방어 기제 = 61 5장 불안 및 위험의 원천에 따른 방어 작용의 적응 = 77 2부 객관적 불쾌 및 객관적 위험의 회피 사례: 예비적 방어 단계 = 93 6장 환상에서의 부인 = 95 7장 말과 행동에서의 부인 = 113 8장 자아의 제한 = 125 3부 두 유형의 방어 사례 = 141 9장 공격자와의 동일시 = 143 10장 이타주의 = 159 4부 본능의 힘에 대한 두려움이 유발하는 방어: 사춘기 현상을 통한 고찰 = 175 11장 사춘기의 자아와 이드 = 177 12장 사춘기의 본능적 불안 = 195 결론 = 221 참고 문헌 = 225 옮긴이의 말 = 229 찾아보기 = 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