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교육정책론

교육정책론 (Loan 37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이종재, 1944-, 저 이차영, 저 김용, 저 송경오, 저
Title Statement
교육정책론 = Education policy studies / 이종재 [외]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학지사,   2015   (2016 2쇄)  
Physical Medium
475 p. : 도표 ; 24 cm
ISBN
9788999705663
General Note
공저자: 이차영, 김용, 송경오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462-465)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27481
005 20180918143214
007 ta
008 150311s2015 ulkd b 001c kor
020 ▼a 9788999705663 ▼g 93370
035 ▼a (KERIS)BIB000013655838
040 ▼a 222001 ▼c 222001 ▼d 222001 ▼d 222001 ▼d 211009
082 0 4 ▼a 379 ▼2 23
085 ▼a 379 ▼2 DDCK
090 ▼a 379 ▼b 2015
245 0 0 ▼a 교육정책론 = ▼x Education policy studies / ▼d 이종재 [외]저
260 ▼a 서울 : ▼b 학지사, ▼c 2015 ▼g (2016 2쇄)
300 ▼a 475 p. : ▼b 도표 ; ▼c 24 cm
500 ▼a 공저자: 이차영, 김용, 송경오
504 ▼a 참고문헌(p. 462-465)과 색인수록
700 1 ▼a 이종재, ▼d 1944-, ▼e▼0 AUTH(211009)116887
700 1 ▼a 이차영, ▼e▼0 AUTH(211009)19376
700 1 ▼a 김용, ▼e▼0 AUTH(211009)93541
700 1 ▼a 송경오, ▼e▼0 AUTH(211009)10075
900 1 0 ▼a Lee, Chong-jae, ▼e
900 1 0 ▼a Lee, Cha-young, ▼e
900 1 0 ▼a Kim, Yong, ▼e
900 1 0 ▼a Song, Kyong-oh,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9 2015 Accession No. 111732622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0-16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9 2015 Accession No. 11179704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교육‘정책’은 중요하다. 이는 교육활동이 보다 바람직하게 이루어지도록 방향을 제시하고 조건을 정비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좋은 교육정책은, 바른 길로 인도된 물이 산야를 윤택하게 하고 시절을 좇아 실과를 맺게 하는 것처럼, 학교를 활기차게 하고 교사와 학생의 삶을 풍요롭게 한다. 반면, 잘못된 교육정책은 차라리 없느니만 못하다고 할 정도로 교육활동을 오도하고 교육조직 구성원의 삶을 괴롭힌다. 정책이 미치는 영향과 파급력은 그만큼 심대하다.
교육정책 ‘연구’는 중요하다. 직관과 경험으로 교육정책을 세우고 시행할 수도 있지만, 연구를 하면 좋은 정책을 만들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정책연구를 통해 정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것도 필요하지만, 그 이해를 통해 좋은 정책을 개발할 수 있다면 금상첨화일 것이다. 정책에 대한 깊은 연구 없이, 성급하게 구상하고 채택하는 교육정책은 시행착오와 부작용을 낳는다. 연구를 통해 정책의 타당성과 적합성을 높이는 일이 중요하다.
『교육정책론』은 총 4개의 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에서는 교육정책을 그 환경과 맥락 속에서 파악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2부에서는 정책에 관여하는 주요 행위자들의 정치적 교섭과정으로서 교육정책을 파악한다. 3부에서는 합리적 관점에서 교육정책을 분석하는 절차와 방법을 논의한다. 4부에서는 교육정책의 설계와 주장 문제를 다룬다. 이 책의 내용은 4개의 부와 13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교육정책의 전모를 이해하고 보다 나은 정책을 개발하는 데 기여한다는 공통의 목적 아래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이종재(지은이)

서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교육학과에서 석사과정(교육행정전공)을 수료하고, 미국 플로리다주립대학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교육행정학회 회장, 한국교육개발원 원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명예교수로 있다. 저서로 『한국교육 60년』(2010, 공저), 『사교육: 현상과 대응』(2010, 공저), 『한국교육행정론』(2012, 공저), 『교육정책론』(2015, 공저) 외 다수가 있다.

송경오(지은이)

조선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다.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졸업 후 서울대학교 교육행정 전공에서 석사를, 그리고 미시간주립대학 교육정책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교육정책과 조직이론을 강의한다. 근래에는 초·중등 책무성 정책, 대학 평가정책, 교육 행정에서의 자기소외 현상 등의 주제를 연구한다. 공저로서는 『교육정책론』(2015), 『한국교육책무성 탐구』(2014), 『한국교육 행정론』(2013), 『일제고사를 넘어서』(2010) 등이 있다. 최근 논문으로는 “학교 혁신을 위한 교사의 전문적 정체성의 의미와 중요성 탐색 : 자유학기제와 혁신학교 사례를 중심으로”(2015), “교육 행정구현과정에서 자기소외 현상 탐구”(2017), “Does high quality professional development make a difference? Evidence from TIMSS”(2017) 등이 있다.

김용(지은이)

청주교육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학박사학위를, 충북대학교 대학원에서 법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신자유주의 교육 개혁과 교육정책 수립과 집행의 법적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근래에는 신자유주의 통치성과 교육정책, 담론과 상징으로서의 교육정책, 교육행정에서의 법화, 지방 교육 자치 제도의 실증 분석 등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와 역서로 『교육 개혁의 논리와 현실』(2012), 『한국교육행정론』(공저, 2012), 『교육의 사사화와 공교육의 해체』(역서, 2013), 『신자유주의 교육정책, 계보와 그 너머』(역서, 2015) 등이 있다.

이차영(지은이)

한서대학교 융합교양학부의 교수이다. 이 책을 쓰기 전에는 『한국교육행정론』(2012, 공저), 『교육정책론』(2015, 공저) 등을 쓴 바 있고, 한서대학교에서 교양학부장, 기획처장, 교무처장, 부총장 등을 경험하였다. 저자는 교육행정 연구자답게 학교의 운영에 영향을 주는 국가의 교육제도와 교육정책에 관심이 많았다. 그러다 요즘에는 학교교육에 실제로 힘을 가하는 교사와 학생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들여다보는 일에 관심이 더해지고 있다. 다양한 변인들의 영향을 받는 교사와 학생이 만나 어떻게 어우러지는지에 따라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그리고 교육의 실제 모습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4차 산업혁명이 화두가 되는 요즘에도 교사와 학생이 진솔하게 만나 서로 상대방의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모습이 교육의 본질이라는 다소 진부한 생각을 바탕으로 교육 현상을 폭넓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다양한 소재에 관심을 두고 있다. 이전에는 흘려보냈던 익숙한 소재들 속에서 교육에 대한 창의적인 아이디어나 감춰진 지혜를 새롭게 발견하는 재미를 느껴 가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3
제1부 교육정책의 맥락과 정책연구
 제1장 교육정책의 맥락 = 15
  1. 교육정책의 개념과 정책 환경 = 15
  2. 경제 환경의 변화와 교육정책 = 20
  3. 세계화와 교육정책 = 28
  4. 인구 구조의 변화와 교육정책 = 34
  5. 정치 구조의 변화와 교육정책 = 41
  6. 이념 지형의 변화와 교육정책 = 48
  7. 한국의 교육정책 환경 변화의 함의 = 53
 제2장 교육정책의 제도적 구조 = 61
  1. 교육정책의 제도화 = 62
  2. 교육정책과정의 제도적 구조 = 66
  3. 교육정책에 대한 사법심사의 제도적 구조 = 83
  4. 교육정책의 제도적 구조 개선의 과제 = 89
 제3장 교육정책연구 = 95
  1. 교육정책의 성격 = 95
  2. 교육정책연구의 도구와 이론 = 104
  3. 교육정책연구의 범위와 내용 = 116
제2부 교육정책의 과정
 제4장 교육정책행위자 = 133
  1. 교육정책행위자의 개념과 의의 = 134
  2. 교육정책행위자 모형 = 135
  3. 한국의 교육정책행위자 = 140
  4. 교육정책행위자의 상호작용 유형 = 153
  5. 전망과 시사점 = 157
 제5장 교육정책 형성과정 = 161
  1. 교육정책 형성과정의 개념과 의의 = 162
  2. 교육정책 형성이론 = 168
  3. 전망과 시사점 = 183
 제6장 교육정책 집행과정 = 187
  1. 교육정책 집행과정의 개념과 의의 = 188
  2. 정책집행이론의 전개과정 = 190
  3. 교육정책 집행모형 = 194
  4. 전망과 시사점 = 208
 제7장 교육정책 평가과정 = 213
  1. 교육정책평가의 개념과 의의 = 214
  2. 정책평가이론의 전개과정 = 217
  3. 교육정책평가모형 = 221
  4. 교육정책평가의 정치화 = 228
  5. 전망과 시사점 = 233
제3부 교육정책의 분석
 제8장 정책분석의 개요 = 241
  1. 정책분석의 성격 = 241
  2. 정책분석의 단계 = 251
  3. 정책분석의 접근 방식 = 257
  4. 정책분석의 유형 = 259
  5. 정책분석의 윤리 = 263
 제9장 정책분석의 단계와 방법 = 271
  1. 문제의 규정과 대안의 구상 = 272
  2. 평가 준거의 개발과 대안의 평가 = 283
  3. 결론의 도출과 정책결과의 평가 = 301
 제10장 교육정책분석과 학문적 관점 = 317
  1. 역사학 = 318
  2. 정치학 = 322
  3. 경제학 = 329
  4. 사회학 = 334
  5. 인류학 = 337
  6. 정책학 = 339
  7. 개별 학문적 관점의 종합 논의와 교육학적 관점 = 340
제4부 교육정책의 설계와 주장
 제11장 교육정책의 설계와 규범적 정합성 = 353
  1. 교육정책분석에서 규범적 논의의 필요성 = 353
  2. 공리주의 관점과 정책논리 = 358
  3. 교육의 기회균등론 = 360
  4. 민주적 공동체 관점 = 367
  5. 전인교육론 = 377
  6. 전망과 과제: 교육정책의 규범적 가치에 대한 대안적 관점의 탐색 = 379
 제12장 교육정책 설계의 역사적 맥락 = 385
  1. 교육정책의 맥락부합성 = 386
  2. 한국교육정책의 전개과정 = 393
  3. 주요 교육정책의 흐름 = 408
 제13장 교육정책의 주장과 정책지도성 = 431
  1. 정책문제에 대한 관여 = 432
  2. 정책형성의 과제와 역기능적인 정치작용 = 436
  3. 정책주장을 위한 순기능적 정치적 접근 = 445
  4. 정책의 주장을 위한 유용한 정책지식의 창출 = 454
찾아보기 = 46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