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27461 | |
005 | 20150312140542 | |
007 | ta | |
008 | 150311s2012 ulk b 001c kor | |
020 | ▼a 9788980993635 ▼g 93740 | |
020 | 1 | ▼a 9788980993567 (Set) |
035 | ▼a (KERIS)BIB000013101645 | |
040 | ▼a 223009 ▼c 223009 ▼d 211009 | |
041 | 0 | ▼a kor ▼a eng |
082 | 0 4 | ▼a 420.141 ▼2 23 |
085 | ▼a 420.141 ▼2 DDCK | |
090 | ▼a 420.141 ▼b 2012 | |
245 | 0 0 | ▼a 영어화용론 / ▼d 김경애 [외]저 |
260 | ▼a 서울 : ▼b 종합출판EnG, ▼c 2012 | |
300 | ▼a 320 p. ; ▼c 26 cm | |
440 | 1 0 | ▼a (한국영어학회) 현대영어학총서 ; ▼v 7 |
500 | ▼a 공저자: 송경숙, 노은주, 이성범, 이혜경, 국지연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546 | ▼a 본문은 한국어, 영어가 혼합수록됨 | |
700 | 1 | ▼a 김경애, ▼e 저 ▼0 AUTH(211009)10734 |
700 | 1 | ▼a 송경숙, ▼e 저 ▼0 AUTH(211009)20865 |
700 | 1 | ▼a 노은주, ▼e 저 ▼0 AUTH(211009)118527 |
700 | 1 | ▼a 이성범, ▼e 저 ▼0 AUTH(211009)41856 |
700 | 1 | ▼a 이혜경, ▼e 저 ▼0 AUTH(211009)46468 |
700 | 1 | ▼a 국지연, ▼e 저 ▼0 AUTH(211009)59652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20.141 2012 | Accession No. 11173260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420.141 2012 | Accession No. 12126436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20.141 2012 | Accession No. 11173260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420.141 2012 | Accession No. 12126436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처음 화용론을 접하는 학부학생들이 입문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기초적인 개념에 충실한 설명을 담는 한편, 화용론을 연구하고자 하는 대학원생들을 위한 심도 있는 논의를 포함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특히 본서는 전통적인 미시화용론의 주요 과제들인 직시, 함축, 전제, 화행에 대한 논의와 담화접속어와 부정에 대한 화용론적 분석을 포함하여, 의사소통에 참여하는 대화자들의 부호화과정과 해석과정에 적용되는 보편적인 대화원리인 협조 원리 및 적합성 원리 등에 대하여 최근의 이론을 포괄하여 다루고 있다.
화용론의 주요 관심사는 특정 문맥에서 사용된 언어표현으로부터 명시적으로 얻을 수 있는 정보는 무엇이며, 말하여진 것 이상의 의미는 어떻게 전달되고 해석되는가 하는 문제들이다. 화용론의 연구는 크게 영미의 이론적 학문 전통과 유럽대륙의 경험적 학문 전통의 두 갈래 경향으로 발전해 왔으나, 최근에는 미시적 주제에 대한 경험적 연구 등 각각의 분야에서 융합적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서는 처음 화용론을 접하는 학부학생들이 입문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기초적인 개념에 충실한 설명을 담는 한편, 화용론을 연구하고자 하는 대학원생들을 위한 심도 있는 논의를 포함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특히 본서는 전통적인 미시화용론의 주요 과제들인 직시, 함축, 전제, 화행에 대한 논의와 담화접속어와 부정에 대한 화용론적 분석을 포함하여, 의사소통에 참여하는 대화자들의 부호화과정과 해석과정에 적용되는 보편적인 대화원리인 협조 원리 및 적합성 원리 등에 대하여 최근의 이론을 포괄하여 다루고 있다. 미로와 같은 화용 분석의 세계를 탐구함에 있어 흥미롭고 유익한 지침서가 되기를 바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Table of Contents
01 직시 / 송경숙 = 17 1. 서론 : 직시의 개념 = 18 2. 직시에로의 접근 = 19 2.1 직시에 대한 철학적 접근 = 20 2.2 직시에 대한 기술적 접근 = 22 3. 지표성 = 26 3.1 지표성의 특성 = 27 3.2 커뮤니케이션과 사고에서의 지표성 = 29 4. 직시적 표현 = 31 4.1 직시적 표현과 의미론 = 31 4.2 직시적 표현과 화용론 = 34 5. 직시의 유형 = 39 5.1 인칭 직시 = 39 5.2 시간 직시 = 43 5.3 장소 직시 = 48 5.4 담화 직시 = 52 5.5 사회 직시 = 54 6. 결론 = 57 참고문헌 = 58 02 영어 담화 접속어 / 노은주 = 61 1. 서론 = 62 2. 담화 접속어의 일반적 특징들 = 63 3. 담화 접속어의 의미 = 65 3.1 고정 함축으로서의 담화 접속어 = 65 3.2 담화 표지와 일관성(coherence) = 67 3.3 일관성에 기초한 기능주의적 담화 표지 이론 = 71 4. 적합성 이론적 접근 = 73 4.1 발화의 해석과 인지 효과의 유형 = 73 4.2 절차적 의미와 개념적 의미 = 75 4.3 인지 효과와 after all, so, but = 77 4.4 대조 담화 접속어 but, however, nenertheless = 81 4.5 but과 so에 대한 몇 가지 관찰 = 83 5. 결론 = 88 참고문헌 = 90 03 화행 / 김경애 = 95 1. 서론 = 96 2. Austin의 화행 이론 = 98 2.1 수행문 = 98 2.2 발화수반행위와 발화효과행위 = 101 3. 적정조건과 발화수반력 = 104 4. 수행문 가설 = 107 5. 발화수반행위의 분류 = 109 5.1 어휘적 분류 = 109 5.2 발화수반행위적 분류 = 110 6. 간접 화행 = 113 6.1 문자적 발화력 = 114 6.2 관습과 함축 이론 = 115 6.3 추론 이론과 대화공준 = 118 7. 화행과 담화 = 124 8. 화행과 문화 = 126 9. 결론 = 128 참고문헌 = 130 04 맥락의존적 추론으로서의 함축 현상 / 이성범 = 135 1. 서론 = 136 2. 함축의 이론적 토대 = 138 2.1 말해진 것과 함축된 것 = 138 2.2. 고정 함축과 대화 함축 = 142 2.3 등급 함축 = 150 3. Grice 이론의 재검토 = 158 3.1 협조의 원리 = 158 3.2 격률 = 159 3.3 함축의 본질 = 163 3.4 함축의 취소 가능성 = 165 4. 신Grice 화용론(Neo-Gricean pragmatics) = 168 4.1 Horn의 이원론 = 168 4.2 Horn의 Q원리와 R원리 = 171 4.3 Q원리에 입각한 함축 현상 = 172 4.4 R원리에 입각한 함축 현상 = 175 4.5 Levinson의 삼원론 = 178 4.6 의미의 세 층위 = 183 5. 적합성 이론 = 184 5.1 의사소통과 적합성 = 185 5.2 함축과 외축 = 189 6. 상위화용적 함축 = 197 6.1 상위화용적 지각 = 197 6.2 상위화용적 함축 = 199 7. 결론 = 200 참고문헌 = 202 05 전제 / 김경애 = 207 1. 서론 = 208 2. 전제의 정의 = 209 2.1 의미적 전제 = 209 2.2 화용적 전제 = 212 3. 전제 표현 = 214 3.1 전제 표현의 유형 = 214 3.2 전제 소실 = 217 4. 전제의 특성 = 219 4.1 공동 기저: 배경 정보 = 219 4.2 정보적 전제 = 222 4.3 논외성 = 225 5. 전제의 승계 = 226 5.1 술어의 유형과 전제 승계 = 227 5.2 만족 이론 = 230 5.3 취소 이론 = 236 5.4 결속 이론 = 238 6. 전제의 수용 = 241 6.1 전제 수용의 정의 = 241 6.2 전제 수용의 위치 = 244 7. 결론 = 248 참고문헌 = 250 06 부정 / 이혜경 = 255 1. 서론 = 256 2. 부정의 분류 = 257 3. 부정과 대안/대조 = 260 4. 긍정과 부정 = 264 5. 결론 및 향후 연구방향 = 268 참고문헌 = 269 07 적합성 이론 / 국지연 = 273 1. 서론 = 274 2. 의사소통에 관한 기본 가정 = 274 2.1 적합성 = 276 2.2 적합성 원리 = 281 3. 발화의 의미 = 282 3.1 언어적 미확정성 = 282 3.2 명시적 의미: 외축 = 284 3.3 암시적 의미: 함축 = 289 4. 이론의 적용: 아이러니 발화 이해 예시 = 292 4.1 해석적 표상으로서 메아리 용법 = 292 4.2 인지화용적 해석 = 296 5. 결론 = 298 참고문헌 = 300 색인 = 305 집필자 소개 = 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