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26921 | |
005 | 20150310110708 | |
007 | ta | |
008 | 150309s2015 ggka b 001c kor | |
020 | ▼a 9788925409108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3690603 | |
040 | ▼a 211062 ▼c 211062 ▼d 211009 | |
082 | 0 4 | ▼a 374 ▼2 23 |
085 | ▼a 374 ▼2 DDCK | |
090 | ▼a 374 ▼b 2015 | |
100 | 1 | ▼a 차갑부 ▼0 AUTH(211009)100304 |
245 | 1 0 | ▼a 평생학습자본의 인문학적 통찰 : ▼b 기초자본을 넘어 촉진자본으로 = ▼x Lifelong & lifewide learning capital in humanities / ▼d 차갑부 |
246 | 3 1 | ▼a Lifelong and lifewide learning capital in humanities |
260 | ▼a 파주 : ▼b 교육과학사, ▼c 2015 | |
300 | ▼a 461 p. : ▼b 삽화 ; ▼c 25 cm | |
504 | ▼a 참고문헌(p. 427-449)과 색인수록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4 2015 | 등록번호 11173242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4 2015 | 등록번호 51102737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74 2015 | 등록번호 52100353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74 2015 | 등록번호 15132655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4 2015 | 등록번호 11173242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4 2015 | 등록번호 51102737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74 2015 | 등록번호 52100353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74 2015 | 등록번호 15132655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평생교육학자인 차갑부 교수의 신간인 『평생학습자본의 인문학적 통찰』은 기존 인간자본의 확대개념으로서 ‘평생학습자본’을 제시한다. 그는 인간자본론자들이 지지했던 학교교육만을 인간자본으로 보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고, 여기에 사회교육을 포함해야 시대적 상황에 맞는 학습자본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평생학습을 자본으로 개념화한 최초의 주장이라는 점에서 관심을 끈다.
저자는 학교교육은 기초자본에 불과하고, 학교 밖에서 축적한 촉진자본이 추가되어야 평생학습의 개념을 정확히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에 덧붙여 저자는 평생학습(자본)지수를 산출할 수 있는 공식, 일명 ‘차갑부 공식(Cha’s formula)’을 독창적으로 개발하여 개인이 축적한 평생학습(자본)의 양을 산정할 수 있는 새 길을 텄다.
저자가 정의하는 평생학습자본지수란 개인이 1년 또는 다년간 축적한 기초(학력)자본과 촉진(학습)자본의 양을 통합한 학습자의 평생학습 점수이다. 이 결과에 기초하여 저자는 학습자를 학습젬병, 중도포기형, 대기만성형, 학습달인 등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누구나 학습달인이 되도록 하는 것이 평생학습의 진정한 목적 내지 방향이라고 주장한다.
호모 헌드레드(homo-hundred). 말로만 듣던 100세 시대가 열리고 있다. 과학문명과 의학기술의 발달, 건강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 고양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덕분이다. 정년의 개념이 없어지고 퇴직 연령이 낮아지고 있는 현실에서 인간 수명의 연장은 긍정적이지만은 않은 것 같다. 퇴직 후 40~50년간의 긴 시간을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 백수로 지내기에는 너무도 긴 시간이다. 하지만 무엇을 하든지간에 꼭 해야 할 것이 있다. 공부하는 것이다. 평생학습이란 말이 이제는 이념의 차원을 넘어 필수적인 실천의 단계에 와 있다. 과거에는 무엇을 소유하기 위해(to have) 학습했다고 한다면 이제는 존재하기 위해(to be) 배우고 익혀야 한다. 어지러울 정도로 변화의 속도가 빠른 시대에서 배우지 않으면 존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호모 헌드레드는 평생학습과 맥을 같이 한다.
1960년대 인간자본론(human capital theory)은 교육, 특히 학교교육에 드는 비용은 소비가 아니라 투자라는 주장을 하였다. 학교에 다니기 위해 들어가는 모든 비용은 소모되는 게 아니라 미래에 더 큰 이익으로 되돌아온다는 주장이다. 이것은 사람들로 하여금 학교, 그것도 높은 수준의 학교를 다녀야 할 당위성을 제공하는 논거가 됨으로써 대학의 문호가 넓어지고 급기야 과잉학력 내지 학력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제는 가방끈이 길다고 해서 좋기만한 것이 아닌 시대가 되었다.
평생교육학자인 차갑부 교수(명지전문대학 청소년교육복지과)의 신간(2015. 1. 출간, 교육과학사)인 『평생학습자본의 인문학적 통찰』은 기존 인간자본의 확대개념으로서 ‘평생학습자본(lifelong learning capital)’을 제시한다. 그는 인간자본론자들이 지지했던 학교교육만을 인간자본으로 보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고, 여기에 사회교육을 포함해야 시대적 상황에 맞는 학습자본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평생학습을 자본으로 개념화한 최초의 주장이라는 점에서 관심을 끈다. 저자는 학교교육은 기초자본에 불과하고, 학교 밖에서 축적한 촉진자본이 추가되어야 평생학습의 개념을 정확히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에 덧붙여 저자는 평생학습(자본)지수를 산출할 수 있는 공식, 일명 ‘차갑부 공식(Cha’s formula)’을 독창적으로 개발하여 개인이 축적한 평생학습(자본)의 양을 산정할 수 있는 새 길을 텄다. 저자가 정의하는 평생학습자본지수란 개인이 1년 또는 다년간 축적한 기초(학력)자본과 촉진(학습)자본의 양을 통합한 학습자의 평생학습 점수이다. 이 결과에 기초하여 저자는 학습자를 학습젬병, 중도포기형, 대기만성형, 학습달인 등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누구나 학습달인이 되도록 하는 것이 평생학습의 진정한 목적 내지 방향이라고 주장한다.
저자는 이러한 주장을 함에 있어서 인문학적 지식을 동원한다. 인간의 본질에 대한 물음에 대한 답을 주는 인문학적 시각을 통하여 학습의 목적이 소유뿐만 아니라 존재성을 지향한다는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한다. 지금까지 시대변화에 따른 평생학습의 필요성에 초점을 두었던 기존의 주장보다 진일보한 것으로 향후 평생학습계좌제를 추진하고 있는 국가와, 자신의 평생학습의 위치를 파악하여 학습전략을 세우고자 하는 학습자 개인에게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차갑부(지은이)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명지전문대학교 청소년교육복지과 명예교수이자 시인이며, 교육 칼럼니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 역서 및 저서 학교교육과 사회(역), 한서출판사, 1985. 평생교육론(역), 교육과학사, 1990. 교육과 선발(역), 양서원, 1992. 신교육학개론(저), 형설출판사, 1992. 성인교육방법론(저), 양서원, 1993. 열린사회의 평생교육(저), 양서원, 1997. 사회교육방법의 탐구(저), 양서원, 1999. 성인교육사회학(저), 양서원, 2002. 평생교육의 이해(저), 학지사, 2004. 텔리아고지(저), 교육과학사, 2009. (2010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명강의를 위한 40가지 이야기(저), 교육과학사, 2010. 평생교육론(저), 교육과학사, 2012. 예화로 푸는 공감교수법(저), 교육과학사, 2013. 평생학습자본의 인문학적 통찰(저), 교육과학사, 2015. (2015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평생효학(平生斅學, 저), 교육과학사, 2017. 문제해결을 위한 창의적 교수법(저), 교육과학사, 2018. 학습력사회의 평생교육(저), 교육과학사, 2020. 평생교육론(3판, 저), 교육과학사, 2021.

목차
목차 집필의 변 = 3 서장 : 생각의 틀 = 13 1. 학력자본 = 13 1) 인간자본론 = 13 2) 학력인플레이션 = 16 3) 인간자본을 넘어서 = 18 2. 학습자본 = 20 1) 우문현답: 교육인가, 학습인가 = 20 2) 학습의 시대 = 21 3. 자본의 시대 = 24 1) 또 하나의 자본: 평생학습 = 24 2) 평생학습자본 = 26 4. 자본의 인문학 = 27 1) 인간과 자본 = 27 2) 자본과 인문학 = 29 제1부 논의의 출발 제1장 교육과 학습의 코드 = 33 1. 교육과 학습의 좌표 = 33 1) 교육자의 입장 = 34 2) 학습자의 입장 = 39 2. 인간 학습론 = 51 1) 인간학습 오밀노 = 51 2) 학이상습론 = 58 제2장 자본의 인문학 = 61 1. 왜 인문학인가 = 61 1) 발자취 = 61 2) 학문적 성격 = 63 2. 자본의 인문학적 해석 = 65 1) 밑천 = 66 2) 종잣돈 = 69 3) 마중물 = 73 4) 황금알 = 75 3. 자본의 특성 = 78 1) 투자성: 현재의 만족유예 = 78 2) 장기성: 대기만성 = 80 3) 모험성: 고위험 고수익 = 84 제2부 학력자본론 제3장 인간자본론 = 91 1. 인간자본론의 실체 = 91 1) 인간의 경제적 가치 = 91 2) 고전적 인간자본론 = 94 3) 인간자본론의 탄생과 전개 = 96 4) 인간자본의 개념 = 101 2. 교육의 이익 = 103 1) 교육의 경제적 이익 = 103 2) 교육의 비경제적 이익 = 109 3. 인간자본론의 비판 = 117 1) 수익률 측정의 문제 = 117 2) 인과성의 문제 = 119 3) 이익과 비용의 문제 = 120 4) 사회적 수익 계산의 문제 = 121 5) 자료의 원천 = 122 4. 인간자본의 인문학 = 123 1) 학력의 마시멜로 효과 = 123 2) 돈의 의미 = 125 3) 인간은 자본인가 = 128 제4장 인간자본론과 선별/신호이론 = 133 1. 정보 비대칭론 = 133 1) 조지 애컬로프: 비대칭 정보, 부정적 선발, 반작용 기관들 = 134 2) 스펜스: 신호, 신호균형 = 136 3) 스티글리치: 선별 = 137 2. 선별가설과 인간자본론 = 139 1) 이론적 기초 = 138 2) 인간자본론과 선별가설의 비교 = 142 3. 신호모형 = 144 1) 이론적 기초 = 144 2) 경험적 검증 = 145 4. 졸업장의 인문학 = 149 1) 인재의 조건 = 149 2) 경계를 넘은 대학 = 152 3) 또 하나의 학력: 학벌주의 = 157 제5장 인간자본론과 자격증이론 = 161 1. 자격증이론의 해부 = 161 1) 인간자본론에 대한 회의 = 161 2) 지위집단론과 자격증이론 = 163 2. 자격증이론과 인문학 = 180 1) 학문의 순혈주의 = 180 2) 학력바벨탑의 파괴 = 183 제6장 과잉교육과 교육 불일치 = 187 1. 고등교육이란풍선 = 187 1) 지금 여기 = 187 2) 고등교육 팽창의 원인 = 191 2. 과잉교육 = 196 1) 경과 = 196 2) 이론적 설명 = 199 3. 과잉교육의인문학 = 202 1) 교육열의 과유불급 = 202 2) 학력거품 = 206 제3부 평생학습론 제7장 학력사회론의 퇴조와 학습문화론의 등판 = 215 1. 학력사회의 덧 = 215 1) 학력의 가치 하락 = 215 2) 인골탑이 된 대학 = 218 3) 학력의 성형수술과 과잉학력 = 220 2. 새로운 방향 모색 = 223 1) 학력파괴 및 능력사회 건설 = 223 2) 기초자본으로서 학력 = 225 3. 학습의 세기 = 227 1) 학습문화의 전개 = 227 2) 학습하는 존재로서의 삶 = 239 3) 학습자본: 학습체중의 법칙 = 241 제8장 학이상습론 = 245 1. 평생교육론 = 245 1) 국제기구의 평생교육 = 245 2) 한국의 평생교육 = 249 2. 평생학습론 = 251 1) 국제기구의 평생학습 = 251 2) 한국의 평생학습 = 259 3. 학이상습의 인문학 = 260 1) 평생학습 면장론 = 260 2) 무지일탈 = 262 제9장 지식경제와 평생학습 = 265 1. 지식자본의 사회 = 265 1) 지식기술의 발달: 황의 법칙 = 265 2) 지식기반경제 = 270 2. 지식경제와 평생학습 = 278 1) 평생학습의 접근방식 = 278 2) 지식경제의 인간상: 학습노동자 = 284 3. 지혜의 인문학 = 286 1) 지식과 지혜: 탈미드 훗헴 = 286 2) 유태인의 지혜 = 288 3) 지혜자본: 골리앗의 승리 = 291 제4부 평생학습자본론 제10장 자본으로서 평생학습 = 297 1. 학력자본의 문제 = 297 1) 사회적 선발지표로서 학력 = 297 2) 학력의 자본화 = 300 3) 학교교육이 능사인가 = 302 2. 평생학습자본 = 305 1) 왜 평생학습자본인가 = 305 2) 기초자본 = 306 3) 촉진자본 = 310 제11장 평생학습자본지수 개발 = 319 1. 평생학습자본지수 = 319 1) 개발 배경 = 319 2) 계산식 = 322 2. 사회유형별 평생학습자본지수 = 324 1) 산업사회의 평생학습자본비율 8.2 = 324 2) 지식사회의 평생학습자본비율 7.3 = 330 3) 능력사회의 이상적 평생학습자본비율 6.4 = 334 4) 학습자 유형별 평생학습자본지수 = 338 3. 학습달인을 위한 평생학습복지 = 342 1) 보상형 평생학습복지: 역연필형 성인학습 = 342 2) 평생학습복지 시행 사례 = 347 제12장 평생학습자본 지표 측정 = 353 1. 기초자본의 지표 측정 = 353 1) 의무자본 = 353 2) 선택자본 = 365 2. 촉진자본의지표 측정 = 376 1) 배움(학)의 자본 = 376 2) 공부(습)의 자본 = 382 3) 기초자본 및 촉진자본의 변인 측정 종합 = 389 3. 평생학습계좌제와 평생학습자본지수 = 393 1) 추진 경과 = 393 2) 주요 내용 = 396 제13장 평생학습자본의 효과 = 399 1. 촉진자본의 경제적 효과 = 399 1) 고용증대 효과 = 399 2) 소득증대 효과 = 402 2. 촉진자본의 '광의의 학습이익' 접근 = 403 1) 광의의 학습이익 모형 = 403 2) 광의의 학습이익에 관한 경험적 증거 = 409 3.촉진자본의 사회적 이익: 사회자본 = 415 1) 사회자본 = 415 2) 평생학습과 사회자본 = 418 3) 학습공동체와 사회자본 = 422 참고문헌 = 427 찾아보기 = 4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