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25951 | |
005 | 20150313091603 | |
007 | ta | |
008 | 150303s2015 ulka 000c kor | |
020 | ▼a 9791185020679 ▼g 13100 | |
035 | ▼a (KERIS)BIB000013700189 | |
040 | ▼d 222001 ▼a 244002 ▼c 244002 ▼d 244002 | |
082 | 0 4 | ▼a 001.3 ▼2 23 |
085 | ▼a 001.3 ▼2 DDCK | |
090 | ▼a 001.3 ▼b 2015z2 | |
100 | 1 | ▼a 최원석 |
245 | 2 0 | ▼a (상식으로 시작하는) 한 뼘 인문학 : ▼b 사고의 틀을 바꾸는 유쾌한 지적 훈련 / ▼d 최원석 지음 |
260 | ▼a 서울 : ▼b 북클라우드, ▼c 2015 | |
300 | ▼a 380 p. : ▼b 삽화 ; ▼c 20 cm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01.3 2015z2 | 등록번호 11174569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 청구기호 001.3 2015z2 | 등록번호 15132429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01.3 2015z2 | 등록번호 11174569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 청구기호 001.3 2015z2 | 등록번호 15132429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상식으로만 세상을 바라보면 세상일이 당연해지고 변화도 창출할 수 없다. 이 책에 제시된 사례들은 세상을 지금까지의 잣대로만 재서는 제대로 알 수 없다는 것을 증명한다. 그런 예가 우리 삶에, 역사에, 문화에 스며들어 있다. 《상식으로 시작하는 한 뼘 인문학》은 다양한 분야의 상식을 의심하고 그것을 자기 삶에 체화하는 과정이 곧 인문학의 시작이라고 말한다. 결국 상식의 진리를 통찰한다는 것은 인문학적 접근을 통해야 축적될 수 있는 소양이기 때문이다.
이 책에는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80여 가지의 ‘뜻밖의 역사’와 ‘상식의 오류’들이 담겨 있다. <조선일보> 사회부 기자로 20년 넘게 일해 온 저자는, 다양한 분야를 종횡무진하며 얻은 지적 파편들을 모아 한 권에 꼼꼼히 엮었다. 세상을 알아가는 작은 파편들이지만 그 엄선된 조각들을 모으면 세계관을 폭발적으로 넓히고 인문학에 쉽게 다가서는 출발점이 될 수 있다.
지적 매력으로 무장하기 위해 반드시 읽어야 할 한 권의 책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상식을 새롭게 읽는 일
간디와 마틴 루터 킹의 삶은 청렴했을까? 신문고는 백성을 위한 민원 해결 도구였을까? 굴은 자 연산이 맛있을까? 남대문을 국보 1호로 정한 것은 누구일까? 한글 띄어쓰기는 누가 만들었을까?
사람들은 본능적 직관으로 답할 것이다. 위인들의 삶은 깨끗했을 것이고, 신문고는 백성들이 억 울함을 호소할 때 치던 북이며, 굴은 양식보다는 자연산이 당연히 맛있을 거라고. 또 남대문을 국보 1호로 정한 것은 정부이며, 한글 띄어쓰기는 세종대왕이나 국내 언어학자가 만들었을 거라 고. 그것이 누구나 알고 있는 이 시대의 ‘상식’이라고 말이다. 하지만 이 답변들은 틀렸다.
상식은 우리가 세상을 더 잘 이해하게 도와주기도 하지만 동시에 세상을 보는 시야를 좁게 만들 기도 한다. 조선 시대 삼종지도가 지금은 케케묵은 유물이 된 것처럼, 역사가 이를 증명한다. 이 시점에 필요한 것은 상식을 새롭게 읽는 일이다. 명백한 진리라고 믿어온 것들을 뒤집고 비틀어 보자! 기존의 사고 틀을 깸으로써 생각을 확장하고 세상에 속지 않는 눈을 갖게 될 것이다.
인문학에 쉽게 다가서는
또 하나의 지름길
요즘 각광받는 인문학. 그러나 입문이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상식으로 시작하는 한 뼘 인문학》은 상식으로 인문학에 쉽게 다가가는 방법을 알려준다. 상식은 인간의 본성과 밀접히 맞닿아 있는 사고방식이나 지식이기 때문에 인문학과 상식은 결코 떨어질 수 없다. 상식이 인간 사회의 발전과 궤도를 같이 했으므로 결국 올바른 상식이란 인문학적 접근을 통해야 축적될 수 있는 소양인 셈이다.
가령, 민중을 위하려다 민중의 손에 죽은 로베스피에르, 가난한 나라에 신발이나 옷을 기부하지만 의도치 않게 그들의 산업이 클 가능성을 막는 톰스(Toms)와 유니클로(Uniqlo), 시민을 위해 희생했지만 오히려 그들에게 폭군이 되어버린 장 칼뱅의 이야기는 좋은 뜻이라도 관점에 따라 해가 될 수 있음을 새롭게 통찰하고 판단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이 책에는 정치, 경제, 사회, 문학, 윤리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80여 가지의 ‘뜻밖의 역사’와 ‘상식의 오류’가 담겨 있다. <조선일보> 사회부 기자로 20년 넘게 일해 온 저자는, 다양한 분야를 종횡무진하며 얻은 지적 파편들을 모아 한 권으로 엮었다. 책에 소개된 반전의 상식들은 세상을 알아가는 작은 파편들이지만 그 엄선된 조각들을 모으면 당신의 지적 수준을 한 단계 올리고 세계관을 폭발적으로 넓히는 출발점이 될 것이다.
알아두면 반드시 써 먹는
쓸모 있는 절대 상식 사전
이 책은 생활 속에서 매우 쓸모 있고 실용적이다. 센스 있는 스몰토크가 생존전략이 되는 이 시대에, 반전의 상식들은 대화의 물꼬를 트기에 아주 좋은 소재가 된다. 또 이미 알고 있거나 널리 알려진 사실이라도 이면에 숨어 있는 의미를 파악하게 해 창의적이고 남다른 사고를 할 수 있게 해준다. 정치·경제적으로 위기감이 고조되는 현 사회에서 결코 가볍게만 볼 수 없는 사례의 조각들은 사람과의 대화에서, 논술이나 면접에서 얼마든지 써 먹을 수 있는 필수 교양 지식들이다.
책에 실린 낱낱의 지식들은 따로 골라내 읽어도 좋고 소설처럼 순서대로 읽어도 무방하다. 조목조목 근거와 출처를 밝힌 흥미로운 이야기와 사진은 시각적인 즐거움을 선사하며, 에피소드마다 놓인 각주는 새로운 상식의 가지를 마구 뻗어 나가게 한다. 한 권의 책으로 펼쳐지는 지식의 향연에 당신을 초대한다!
★ 이 책을 꼭 읽어야 할 사람 ★
□ 지적 매력으로 무장하고 싶은 직장인
□ 취업을 앞두고 폭넓은 지식이 급한 대학생
□ 창의적 사고와 남다른 관점을 갖고 싶은 사람
□ 인문학적 소양을 두루 갖추고 싶은 사람
□ 일상의 이면에 숨은 지식의 조각들을 추적하고 싶은 사람
정보제공 :

저자소개
최원석(지은이)
30년간 기자로서 실체적 진실을 추적해온 저자가 자기만의 시선으로 복잡한 세상을 보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한다. 저자는 기자로서의 삶을 통해 ‘사유하기’의 힌트를 얻었다고 한다. 초짜 기자 시절부터 사건과 현상의 표피만 보지 말라는 선배들의 주문에 따라 질문하고 의심하고 주의 깊게 관찰하는 훈련을 해왔다. 어느새 30여 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 사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자신의 생각과 연결시켜 스스로를 성장시키는 사고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습관이자 일상이 되었다. 저자가 학자가 아님에도 ‘사유하기’에 대해 책을 쓰겠다고 결심한 이유다. 이 책이 자신만의 관점을 세우고, 사람의 수만큼 다양한 의견과 생각이 있음을 이해하는 발판이 되길 바란다. 또한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과 대립하지 않고 논리적으로 대화하고 소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고려대학교 국문학과와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을 졸업했다. 1989년 연합통신사(현 연합뉴스) 기자로 입사한 후, 조선일보로 옮겨서 사회부, 정치부 기자, 논설위원으로 일했다. 법조, 행정 부처, 정당 및 국회 등을 취재했다. 현재는 CS본부장 직을 맡고 있다. 다양한 분야를 취재한 경험을 바탕으로 폭넓은 글쓰기를 해왔다. 저서로 《신문이 보이고 뉴스가 들리는 시사 인문학》 《상식으로 시작하는 한 뼘 인문학》 《인터넷으로 뉴욕타임즈 마음대로 읽기》 《세상은 바꾸고 역사는 기록하라》(편저) 등이 있다.

목차
목차 들어가며 = 4 1 상식은 믿을 게 못 된다 한글 띄어쓰기는 서양 선교사가 창안했다 = 18 〈걸리버 여행기〉는 동화가 아니다 = 22 '마지노선'은 최후의 보루가 아니다 = 26 공명정대와 정론직필의 상징 퓰리처는 '옐로 저널리즘'의 창시자 = 32 대기만성은 '큰 그릇은 만들어지지 않는다'는 뜻이다 = 38 양식과 자연산의 구분이 의미가 없는 굴 = 43 힌두교에서 이슬람으로 개종한 아들을 두었던 간디 = 47 조선의 왕비가 되려면 미모보다 관상 = 50 강태공이 낚은 것은 세월이 아니라 진짜 물고기 = 55 형벌 도구인 '칼'은 여성에게 씌우지 않았다 = 59 신문고는 백성이 아니라 귀족의 민원 해결 도구 = 62 발명왕만이 아니라 '마케팅의 귀재'였던 에디슨 = 67 오페라극장 고층 박스 석의 주된 용도는? = 73 고려 시대까지 여성이 우위였다 = 77 사약을 마신 죄인이 바로 죽는 드라마는 틀렸다 = 81 조선 초에는 곤장을 칠 수 없었다 = 85 2 우연이라 쓰고 필연이라 읽는다 콘플레이크는 성욕 억제 음식? = 92 제2차 세계대전이 없었다면 환타도 없었다 = 96 전투용 레이더 장비를 만들던 중 발명된 것은? = 100 젊음을 되찾는 보톡스는 원래 사시 교정 치료에 쓰였다 = 104 기자들의 성급한 보도가 만들어낸 독일의 통일 = 107 우연이 개입한 발칸 반도의 인종청소 = 111 미국 철도 공사 사고로 알게 된 뇌의 진실 = 115 프랑스 혁명은 뜻밖의 역풍을 맞아 일어난 사건이다 = 118 루터의 종교개혁이 낳은 부산물 = 122 우연히 다가온 시련이 바꾸어놓은 운명 = 126 유배 가서 완성된 추사체와 세한도 정신지체아를 낳고 작가가 된 펄 벅 3 진짜 원조, 가짜 원조 "내일 세상이 망하더라도 오늘 사과나무를 심겠다"는 말의 원조는? = 140 우리말에서 일본식 표현을 빼면 대화가 힘들다 = 144 우리의 전통술 소주는 아랍 술이었다 = 149 씨 없는 수박을 만든 사람은 우장춘 박사가 아니다 = 154 제너는 종두법의 창시자가 아니다 = 159 '적자생존'은 다윈의 작품이 아니다 = 164 남대문을 '국보 1호'로 정한 것은 누구일까? = 168 "여성은 만들어지는 것이다"의 저작권자는? = 173 아프리카 노예무역은 아랍이 먼저 했다 = 178 인종 차별은 히틀러보다 미국이 먼저였다 = 181 4 사소하지만 유쾌한 뜻밖의 상식 배트맨의 '조커'는 위대한 소설가 덕분에 생긴 캐릭터 = 190 징크스는 새 이름에서 나왔다 = 193 카푸치노는 가톨릭 수도사의 옷에서 나온 명칭 = 197 중세까지 유럽 귀족은 손으로 음식을 먹었다 = 201 방사성 물질 '라듐'은 한때 만병통치약으로 여겨졌다 = 206 폼페이 유적 발굴이 늦어진 것은 그림 때문이다 = 210 전쟁으로 파괴된 바르샤바는 그림을 통해 복원됐다 = 214 〈유토피아〉는 사회주의 교과서인가 = 218 남자와 여자는 어떻게 다른가 = 224 노인의 '나이 기준'은 언제부터 있었을까? = 228 5 세상은 괴짜가 바꾼다 나이팅게일은 백의의 천사라기보다 냉정한 행정가였다 = 236 역사의 진정한 반항아,〈홍길동전〉의 허균 = 241 정신병자는 만들어질 수 있다 = 245 매혹적 그림의 비밀을 풀다 = 249 광기를 예술로 만든 천재 화가들 = 253 'Guy'는 저항을 상징하는 인물에서 나온 표현 = 258 미켈란젤로는 위작으로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 263 프로이센이 강성해진 것은 섹스 장려 덕분이다 = 267 6 상식에 배반당하다 이들은 사실, 색마였다 = 276 금욕을 지키기 위해 기상천외한 실험을 했던 간디 이중적인 삶을 살았던 마틴 루터 킹 기적의 치료제 '페니실린' 발견의 뒷이야기 = 284 파스퇴르는 1세대 황우석이었다? = 290 광해군은 한 여인 탓에 알고도 역모를 당했다 = 295 공정무역은 과연 공정한가 = 300 테레사 수녀는 신의 존재를 의심했다 = 304 혈액형별 성격 판정법을 믿을 것인가 = 308 다수결이 항상 옳은 것은 아니다 = 313 지옥으로 가는 길은 '선의'로 포장되어 있다 = 317 민중을 위하려다 민중의 손에 죽은 로베스피에르 과연 누구를 위한 제도인가 시민을 개조하려다 폭군이 된 칼뱅 네덜란드 댐 구멍을 막은 소년 이야기는 사실일까? = 326 록펠러는 자선가 이전에 가혹한 자본가였다 = 330 두 얼굴의 지식인, 장 자크 루소 = 335 여성 해방을 외치면서 독립적 여성을 싫어한 입센 = 340 시몬 드 보부아르도 암코양이였다 = 345 〈닥터 지바고〉는 CIA 덕분에 노벨상을 받았다 = 349 그들은 사실, 사회주의자였다 = 353 마음속의 눈과 귀로 현실을 직시한 헬렌 켈러 과학과 정치로 양분된 삶을 살았던 아인슈타인 애덤 스미스의〈국부론〉은 자본주의 찬양서일까? = 362 〈1984〉와〈동물농장〉은 우리나라에서 반공 도서였다 = 368 19세기 발레리나는 부유층의 전유물이었다 = 373 나오며 = 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