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25654 | |
005 | 20150305115333 | |
007 | ta | |
008 | 150303s2015 ulkad b 000c kor | |
020 | ▼a 9788959757862 ▼g 13320 | |
035 | ▼a (KERIS)BIB000013682564 | |
040 | ▼a 241026 ▼c 241026 ▼d 211009 | |
082 | 0 4 | ▼a 330.126 ▼2 23 |
085 | ▼a 330.126 ▼2 DDCK | |
090 | ▼a 330.126 ▼b 2015 | |
100 | 1 | ▼a 차두원 ▼0 AUTH(211009)141425 |
245 | 1 0 | ▼a 초연결시대, 공유경제와 사물인터넷의 미래 : ▼b 거의 모든 것이 공유되고 연결되는 거대한 경제혁명 IoT / ▼d 차두원, ▼e 진영현 지음 |
260 | ▼a 서울 : ▼b 한스미디어, ▼c 2015 | |
300 | ▼a 295 p. : ▼b 삽화, 도표 ; ▼c 23 cm | |
500 | ▼a 새로운 연결의 시대, 우리의 미래는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 |
500 | ▼a IoT = Internet of Things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700 | 1 | ▼a 진영현, ▼e 저 ▼0 AUTH(211009)99526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0.126 2015 | Accession No. 11173201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공유경제와 사물인터넷 등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고 이들이 경제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지는지, 국내 과학기술 및 IT 정책전문가들이 그 실체를 소개한 책.
저자들은 초연결시대에 사물인터넷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위협 요인들과 경제사회의 변화, 그리고 반드시 잊지 말아야 할 사용자 경험의 중요성과 기술획득 전략을 제시하고 ‘연결’ 없이 살 수 없는 우리가 앞으로 초연결사회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만들어갈지에 대해 서술했다.
공유경제와 인터넷의 발전이 누구에게나 황금의 땅 엘도라도는 아니다. 이 책은 공유경제와 사물인터넷 등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고 이들이 경제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궁금한 개발자와 일반인, 정책 관련 연구자을 위한 주옥 같은 선물이 될 것이다.
새로운 연결의 시대,
우리의 미래는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공유경제’와 ‘사물인터넷’을 모르고서는 결코 미래를 논할 수 없는 시대가 되었다. 신간 《 초연결시대, 공유경제와 사물인터넷의 미래》은 공유경제와 사물인터넷 등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고 이들이 경제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지는지, 국내 최고의 과학기술 및 IT 정책전문가들이 그 실체를 소개한 책이다.
초연결시대에 사물인터넷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위협 요인들과 경제사회의 변화, 그리고 반드시 잊지 말아야 할 사용자 경험의 중요성과 기술획득 전략을 제시하고 ‘연결’ 없이 살 수 없는 우리가 앞으로 초연결사회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만들어갈지에 대해 서술했다.
이것이 진짜 사물인터넷이다!
한국 최고의 IT 전문가가 바라본 공유경제와 사물인터넷의 미래!
도대체 ‘공유경제’(Sharing Economy)와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이란 무엇일까. 이 두 가지는 어떠한 연결고리로 미래 산업을 뒤바꿀 것인가. 한국 최고의 IT 전문가로 꼽히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의 차두원 전략기획실장과 진영현 박사의 신간 《초연결시대, 공유경제와 사물인터넷의 미래》에서 이에 대한 해답을 제시한다.
작년 한해, 차량 공유서비스 ‘우버’는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주택 공유 서비스인 ‘에어비앤비’의 인기 또한 눈부셨다. 그러나 이들이 보여준 모습은 공유경제와 사물인터넷의 극히 일부일 뿐이다. 공유경제와 사물인터넷의 미래는 이제 갓 시작되었을 뿐이다.
저자들은 사물인터넷 기술력의 보유 여부에 따라 기업의 존속이 결정될 것이라고 단언한다. 또한 사물인터넷은 인간의 생활과 문화뿐만 아니라 경제사회 형태를 바꿀 것이다. 한 예로 구글은 이미 대표적 사물인터넷 플랫폼인 무인자동차, 드론, 스마트홈 등 핵심기술들을 자체 개발 혹은 인수합병M&A을 통해 확보했을 뿐만 아니라 180여 개의 인공위성과 드론, 무인 풍선기구를 이용해 전 세계 어디서나 인터넷을 연결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공유경제와 인터넷의 발전이 누구에게나 황금의 땅 엘도라도는 아니다. 이 책은 공유경제와 사물인터넷 등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고 이들이 경제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궁금한 개발자와 일반인, 정책 관련 연구자을 위한 주옥 같은 선물이 될 것이다.
공유경제와 사물인터넷은 우리에게 황금의 땅 엘도라도를 선사할 것인가?
다가오는 초연결시대, 공유경제와 사물인터넷의 미래에 대한 놀라운 통찰!
1장에서는 공유경제와 파괴적 혁신을 정리했다. 다소 논란이 있기는 하지만 현재 공유경제란 용어는 우버와 에어비앤비 등의 기업으로 대표되고 있다. 이들이 왜 주목을 받고 있는지, 어떤 이유로 어떤 논란이 벌어지고 있는지, 그리고 무엇보다 공유경제가 가져오는 비즈니스의 변화와 기존 상업경제와의 차이점을 알아본다.
2장에서는 공유경제가 파괴적 혁신인지에 대해 서술했다. 파괴적 혁신이 무엇인지 다시 한 번 돌아보고, 과거 파괴적 혁신이 유발했던 러다이트Luddite운동과 혁신을 저해한 적기조례Red Flag Act를 살펴본다. 또한 드론, 자동주행 시스템, 로봇 등 최근 시장에 출시 예정인 혁신들이 어떻게 제도권과 상호작용하고 있는지 정리했다. 이들을 통해 공유경제 기업들의 시장 선점을 위한 도전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제도권과 어떻게 공존하고 타협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공유경제가 미래에 파괴적 혁신을 유발할 가능성을 기술했다.
3장에서는 요즘 우리나라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제러미 리프킨의 사물인터넷이 한계비용을 제로로 만들고 자본주의를 종식시킨다는 주장에 대해 나름의 의견을 제시했다. 먼저 사물인터넷이 어떠한 과정으로 발전했는지, 그리고 한계비용이란 무엇인지 상세히 살펴보고 제러미 리프킨의 몇 가지 주장에 대한 반론을 제시한다. 이와 함께 아직까지 정리되지 않은 공유경제의 개념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구체적으로 기술했다.
4장에서는 초연결경제와 민첩한 혁신을 말했다. 인구증가, 인터넷과 소셜네트워크 사용자의 증가에 따라 현실화되고 있는 초연결사회를 살펴보고, 점차 빨라지고 있는 혁신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연구개발과 사업화, 비즈니스의 변화 등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그러나 사실 모든 기술이 항상 장밋빛 미래로 인도하지는 않는다. 초연결시대에 사물인터넷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위협 요인들과 경제사회의 변화, 그리고 반드시 잊지 말아야 할 사용자 경험의 중요성과 기술획득전략을 제시하고 ‘연결’ 없이 살 수 없는 우리가 앞으로 초연결사회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만들어갈지에 대해 서술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차두원(지은이)
아주대학교 산업공학과에서 자동차 인간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차두원모빌리티연구소를 만들어 운영 중이다. 인간공학 기술사로 일본자동차연구소 방문연구원, 현대모비스연구소 휴먼-머신 인터페이스(Human-Machine Interface) 팀장,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겸직연구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위원, 혁신전략연구소 정책위원, 포티투닷 정책총괄 등을 경험했다. 국토교통부 모빌리티혁신위원회, 대통령직속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문위원, 한양대학교 겸임교수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국무조정실 신산업규제혁신위원회 신서비스 분과 위원장, 국토교통부 플랫폼운송사업심의위원회와 자율주행차 융복합 미래포럼 사회분과, 기획재정부 제5기 중장기전략위원회, 한국공학한림원 자율주행위원회, 현대자동차 4기 고용안정위원회 위원, 민간R&D협의체 UAM분과 모더레이터로 활동하는 등 모빌리티 관련 선행연구와 양산, 정책과 전략, 규제 등 관련 분야를 두루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 과학기술유공표창, 과학기술발전 공로 국회사무총장상, 4차 산업혁명위원회 공로상, 규제혁파공로 국민포장 등을 수상했다. 앞으로 모빌리티 산업이 미래 핵심 산업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확신하고 있으며,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이들이 경제사회와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과 효율적인 정책 반영을 항상 고민하며 새롭고 안전한 모빌리티 생태계를 꿈꾼다. 국내 다수 기업 및 공공조직의 프로젝트와 장단기 자문을 수행했고, 《이동의 미래》 《잡 킬러》 《초연결시대, 공유경제와 사물인터넷의 미래》 등을 집필했다.
진영현(지은이)
서울과학고등학교를 2년만에 수료하고 KAIST에 입학, 기계공학을 공부했다. 기계공학과 전자공학의 융합 분야인 마이크로머신(MEMS)에 관심을 가지고, 눈으로는 잘 보이지도 않을 정도로 작은 기계에 관한 연구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 학위 후, 스위스 로잔 공대(EPFL)와 독일 프라이브루크 대학 마이크로시스템 연구소(University of Freiburg, IMTEK)에서 연구원 생활을 하며 EU 프레임워크 프로그램(EU Framework Programme)에 참여, 뇌의 신경신호를 읽기 위한 초소형 임플란트 센서를 연구했다. 연구원으로서의 본업과 함께, 재유럽 한인 과학자 협회 활동, 법학, 철학, 상경계열 학생들이 주축이던 프라이브루크 학생회 활동을 하며 과학이 가지고 있는 사회와의 연결고리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전공분야 연구에 깊이를 더해 큰 열매를 맺는 나무가 되는 것보다, 많은 나무를 크게 키우는 비옥한 토양을 만드는 데 힘쓰고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에 입사, 4년째 근무중이다. 새로운 기술의 출현, 기술과 기술과의 융합, 과학기술과 사회의 관계 속에서 과학기술의 발전과 사회발전의 속도를 어떻게 맞출 것인가에 관심이 많다. 기술의 혁신에 대해 근거 없는 두려움과 맹목적인 신뢰 양 쪽 모두를 경계할 수 있는 사회 형성에 기여하고자 한다.

Table of Contents
목차 프롤로그 : 공유경제와 사물인터넷은 우리의 미래를 어떻게 바꾸는가 = 4 1장 공유경제의 본격적 도전 01 실리콘밸리 최고의 밸류에이션 - 공유경제 기업 = 15 허츠와 현대자동차를 뛰어넘은 우버 = 15 힐튼을 능가한 에어비엔비 = 19 02 공유경제와 제도권의 충돌 - 불법과 탈세 = 22 우버가 유발한 파업과 폭력시위 = 22 에어비앤비의 탈세 논란 = 26 03 경제 불황과 인터넷의 합작품 - 공유경제의 급성장 = 29 공유경제의 본질 - 협력적 소비 = 29 공유경제가 가져온 변화 - P2P 비즈니스 = 40 2장 다시 돌아보는 파괴적 혁신 01 파괴적 혁신의 의미 = 49 02 파괴적 혁신과 시장 = 56 충돌 - 러다이트 운동 = 56 시장의 주도권 상실 - 적기조례 = 58 03 파괴적 혁신과 규제 = 64 혁신 트리거링 기술과 규제 = 64 새로운 무인자동차의 규제 - 혁신에 대한 불안감 = 72 파괴적 혁신의 요람 - DARPA = 76 04 공유경제와 파괴적 혁신 = 82 시장 선점을 위한 과감한 충돌과 경쟁 = 82 제도권과 공존, 그리고 타협 = 87 거부하기엔 버거운 새로운 파괴적 혁신 = 92 3장 사물인터넷과 한계비용, 그리고 공유경제 01 제러미 리프킨의 사물인터넷과 공유경제 = 109 02 한계비용 이해하기 = 118 03 새로운 접속의 시대 - 사물인터넷의 등장과 발전 = 124 사물인터넷 이전의 인터넷 = 124 사물인터넷의 등장 = 133 사물인터넷의 발전과 경제적 가치 = 140 04 제러미 리프킨의 한계 - 일반화의 오류 = 150 고정비용을 무시한 한계비용 = 151 디지털시장의 변화 - 플랫폼 기업의 독점과 프리미엄 시장 확대 = 154 05 커먼즈와 공유경제 = 167 커먼즈의 의미 = 167 공유경제의 3가지 유형 = 172 4장 초연결경제와 민첩한 혁신 01 다가오는 초연결경제 시대 = 185 증가하는 모든 것들 = 185 초연결성과 초연결사회 = 194 02 초연결경제 시대로의 진입 = 201 스쳐지나간 연결경제 = 201 연결경제를 넘은 초연결경제 = 207 03 혁신의 진화 - 기술의 한계와 민첩한 혁신 = 212 04 초연결경제 시대의 고민 = 222 사물인터넷의 명과 암 = 222 기술발전과 일자리 = 236 망중립성에 대한 논란 = 244 05 초연결경제 시대의 대응 = 250 짧아지는 혁신의 발생 경로 = 250 촘촘하고 효율적인 비즈니스 생태계 = 258 혁신 장벽을 넘는 사다리 - 크라우드펀딩과 소싱 = 264 새로운 핵심 가치의 등장 - 경험혁신과 사용자 경험 = 270 무너지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경계 - O2O = 276 에필로그 : 혁신의 혁신을 기대하며 = 2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