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예제와 함께하는) 미시경제학 제2판

(예제와 함께하는) 미시경제학 제2판 (Loan 104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임봉욱
Title Statement
(예제와 함께하는) 미시경제학 = Micro economics / 임봉욱
판사항
제2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박영사,   2015  
Physical Medium
xxvi, 790 p. : 도표 ; 26 cm
ISBN
9791130301600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771)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25568
005 20150305101107
007 ta
008 150303s2015 ulkd b 001c kor
020 ▼a 9791130301600 ▼g 93320
035 ▼a (KERIS)BIB000013673765
040 ▼a 211015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38.5 ▼2 23
085 ▼a 338.5 ▼2 DDCK
090 ▼a 338.5 ▼b 2015
100 1 ▼a 임봉욱 ▼0 AUTH(211009)22857
245 2 0 ▼a (예제와 함께하는) 미시경제학 = ▼x Micro economics / ▼d 임봉욱
250 ▼a 제2판
260 ▼a 서울 : ▼b 박영사, ▼c 2015
300 ▼a xxvi, 790 p. : ▼b 도표 ; ▼c 26 cm
504 ▼a 참고문헌(p. 771)과 색인수록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8.5 2015 Accession No. 11173199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8.5 2015 Accession No. 11176892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임봉욱(지은이)

성균관대학교 경제학과(경제학 학사) 미국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경제학과(경제학 석사) 미국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경제학과(경제학 박사) 미국 University of Michigan-Ann Arbor, Visiting Scholar 역임 대전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역임 현재 대전대학교 명예교수 이메일: limbu@dju.kr [저 서] ∙최적과세이론, 도서출판 지샘, 2005. ∙경제학에서 세상을 배우다, 도서출판 지샘, 2010. ∙빚과 금융, 신론사, 2013. ∙미시경제학연습(제5판), 율곡출판사, 2021 ∙공공경제학(제6판), 율곡출판사, 2022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서론
 제1장 미시경제학과 분석 방법 = 3
  1.1 경제학이란 = 4
  1.2 미시경제학이란 = 5
  1.3 미시경제학의 분석 방법 = 7
  1.4 미시경제학의 분석 도구 = 16
제1편 소비자이론
 제2장 예산 = 23
  2.1 예산 = 24
  2.2 예산선의 변화 = 31
  2.3 기준가격 = 35
 제3장 선호와 효용 = 37
  3.1 선호 = 38
  3.2 무차별곡선 = 40
  3.3 효용함수와 무차별곡선 = 45
  3.4 '일반적인 무차별곡선'의 성질 = 52
  3.5 한계대체율 = 55
 제4장 소비자의 최적선택 = 63
  4.1 최적선택의 성격과 조건 = 64
  4.2 선호의 유형과 'MR[TEX]$$S_{xy}$$[/TEX]=[TEX]$$p_x$$[/TEX]/[TEX]$$p_y$$[/TEX] 조건'의 관계 = 69
  4.4 선호와 최적선택 = 71
  4.4 수요함수 = 75
  4.5 소득의 변화와 수요량의 변화 = 78
  4.6 가격의 변화와 수요량의 변화 = 88
 제5장 현시선호이론 = 101
  5.1 현시선호 = 102
  5.2 현시선호의 약공리 = 105
  5.3 현시선호의 강공리 = 113
  5.4 현시선호로부터 선호순서의 도출 = 114
  5.5 수량지수 = 115
  5.6 가격지수 = 123
  5.7 지수문제 = 130
 제6장 대체효과ㆍ소득효과ㆍ소비자잉여 = 135
  6.1 가격변화의 효과 = 136
  6.2 슬러츠키방정식과 수요곡선이 우하향하는 이유 = 140
  6.3 힉스대체효과 = 147
  6.4 특이한 경우 = 151
  6.5 응용 : 정률보조 = 154
  6.6 후생변화의 측정 = 158
 제7장 부존소득모형 : 노동공급과 저축ㆍ차입 = 182
  7.1 부존소득모형 = 183
  7.2 노동공급 = 191
  7.3 저축과 차입 = 201
 제8장 시장수요 = 210
  8.1 시장수요 = 211
  8.2 탄력성 = 215
  8.4 가격탄력성과 총수입 및 한계수입 = 219
제2편 생산자이론
 제9장 기술과 생산함수 = 229
  9.1 생산요소 = 230
  9.2 단기생산함수 = 232
  9.3 장기생산함수와 등량곡선 = 238
  9.4 기술적 한계대체율 = 244
  9.5 대체탄력성 = 248
  9.6 흔히 등장하는 1차동차 생산함수의 대체탄력성 : 일정 = 250
  9.7 규모에 대한 보수 = 252
  9.8 기술의 변화 : 기술진보 = 255
 제10장 비용함수 = 257
  10.1 비용의 개념 = 258
  10.2 단기비용함수 = 259
  10.3 장기비용함수 = 271
  10.4 단기비용곡선과 장기비용곡선의 관계 = 281
  10.5 규모에 대한 보수와 장기비용곡선 = 288
  10.6 비용곡선의 이동 = 294
 제11장 이윤극대화와 기업의 공급 = 298
  11.1 이윤극대화의 원리 : 한계수입=한계비용 = 299
  11.2 경쟁기업의 이윤극대화 = 300
  11.3 공급곡선 = 305
  11.4 생산자잉여 = 316
 제12장 시장균형 = 319
  12.1 시장균형 = 320
  12.2 비교정학과 탄력성 = 326
  12.3 농산물 가격의 파동 = 328
  12.4 조세의 귀착 = 329
  12.5 조세의 비효율(초과부담) = 334
  12.6 무역의 이익 = 340
  12.7 관세 = 342
제3편 시장이론
 제13장 완전경쟁 = 347
  13.1 완전경쟁의 조건 = 348
  13.2 단기 = 350
  13.3 장기 = 354
  13.4 완전경쟁시장에 대한 평가 = 368
  13.5 경제적 지대 = 369
 제14장 독점 = 373
  14.1 독점의 원인 = 374
  14.2 독점기업의 이윤극대화 = 375
  14.3 독점에 대한 평가와 독점의 규제 = 387
  14.4 자연독점 = 393
  14.5 가격차별 = 396
  14.6 가격차별의 변형 = 412
  14.7 독점적 경쟁 = 419
 제15장 과점 = 423
  15.1 과점시장의 특성 = 424
  15.2 꾸르노모형 = 426
  15.3 베르뜨랑모형 = 437
  15.4 스타켈버그모형 = 441
  15.5 가격선도모형 = 447
  15.6 담합 = 451
 제16장 게임이론 = 461
  16.1 게임의 구성요소 = 462
  16.2 우월전략균형 = 463
  16.3 내쉬균형 = 464
  16.4 용의자의 딜레마 = 472
  16.5 순차게임 = 479
  16.6 순차게임의 예 : 진입게임 = 486
제4편 생산요소시장
 제17장 완전경쟁과 생산요소시장 = 493
  17.1 이윤극대화의 기본원리 = 494
  17.2 생산요소수요곡선 = 496
  17.3 생산요소시장의 균형과 소득분배 = 513
  17.4 대체탄력성과 생산요소에 대안 상대적 분배 몫 = 515
 제18장 불완전경쟁과 생산요소시장 = 519
  18.1 생산요소수요곡선 : 생산물시장이 불완전경쟁인 경우 = 520
  18.2 수요독점 : 생산요소시장이 불완전경쟁인 경우 = 523
  18.3 쌍방독점 = 535
제5편 일반균형이론 및 후생경제학
 제19장 일반균형이론 = 541
  19.1 일반균형의 의미 = 542
  19.2 교환의 효율 : 2×2 모형 = 543
  19.3 경쟁균형 = 557
  19.4 왈라스법칙 = 565
  19.5 상대가격 = 569
  19.6 일반균형의 존재 = 571
 제20장 후생경제학 = 573
  20.1 파레토효율 조건 : 2×2×2 모형 = 574
  20.2 우생경제학의 제1정리 = 589
  20.3 후생경제학의 제2정리 = 596
  20.4 사회후생함수 = 600
  20.5 사회후생극대화의 성격 = 606
  20.6 시장실패 = 612
제6편 공공재 및 외부효과
 제21장 공공재와 공공선택 = 617
  21.1 공공재의 성격과 유형 = 618
  21.2 공공재 공급의 효율 조건 = 619
  21.3 공공재와 시장실패 = 629
  21.4 공공선택 = 635
 제22장 외부효과 = 639
  22.1 외부효과와 시장실패 = 640
  22.2 외부효과의 사적 해결 = 646
  22.3 외부효과의 공적 해결 = 655
  22.4 공적 해결책 비교 = 668
제7편 불확실성 및 정보경제학
 제23장 불확실성 = 673
  23.1 기대효용극대화 = 674
  23.2 위험에 대한 태도와 그 특성 = 678
  23.3 위험비용과 위험평가 = 687
  23.4 상황-선호접근법(state-preference approach) = 691
  23.5 상황-선호접근법의 예 1 : 내기 = 699
  23.6 상황-선호접근법의 예 2 : 보험 = 708
  23.7 상황조건부상품시장의 불완전성과 시장실패 = 719
 제24장 비대칭정보 = 721
  24.1 비대칭정보 = 722
  24.2 역선택 = 724
  24.3 신호발송 : 역선택에 대한 대응 = 734
  24.4 선별 : 역선택에 대한 대응 = 742
  24.5 도덕적 해이 = 748
  24.6 본인대리인문제 = 754
  24.7 비대칭정보와 시장실패 = 770
참고문헌 = 771
국문색인 = 773
영문약어 및 관계식 색인 = 789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Higgins, Tim, (Journalist)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