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재정의 이해 (2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국경복
서명 / 저자사항
재정의 이해 / 국경복 지음
발행사항
파주 :   나남,   2015  
형태사항
771 p. : 도표 ; 26 cm
총서사항
나남신서 ;1791
ISBN
9788930087919 9788930080019 (세트)
일반주기
재정은 어렵다? 국회예산정책처장이 소개하는 재정운용의 모든 것  
서지주기
참고문헌(p. 760-766)과 색인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25562
005 20150305111148
007 ta
008 150303s2015 ggkd b 001c kor
020 ▼a 9788930087919 ▼g 94320
020 1 ▼a 9788930080019 (세트)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36 ▼a 352.4 ▼2 23
085 ▼a 336 ▼2 DDCK
090 ▼a 336 ▼b 2015z1
100 1 ▼a 국경복 ▼0 AUTH(211009)132717
245 1 0 ▼a 재정의 이해 / ▼d 국경복 지음
260 ▼a 파주 : ▼b 나남, ▼c 2015
300 ▼a 771 p. : ▼b 도표 ; ▼c 26 cm
440 0 0 ▼a 나남신서 ; ▼v 1791
500 ▼a 재정은 어렵다? 국회예산정책처장이 소개하는 재정운용의 모든 것
504 ▼a 참고문헌(p. 760-766)과 색인수록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6 2015z1 등록번호 11173199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국경복(지은이)

원광대에서 경영학을 전북대 대학원에서 경제학을 전공했으며, 파리1대학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회 운영위원회 입법심의관, 주 프랑스 한국대사관 참사관(의회담당), 국회사무처 교육담당관.행정관리담당관,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문화관광위원회 입법조사관 역임했으며, 제5회 입법고등고시에 합격했다. 논문에 '유로화 통용이 한국경제에 주는 의미', '유럽연합의 역사: 하나를 향한 긴 여정', '유로화 출범과 우리의 대응', '정치적 렌트 추구활동과 경제적 효과' 등이 있다. 젊은 시절부터 꿈 해석에 관심을 두고 40여 년간 공부해 왔다. 꿈의 심리적 기제에 관해 더 깊이 공부하기 위해 가톨릭대 상담심리대학원에서 석사학위 과정을 마쳤다. 이후 상담심리사 2급과 청소년상담사 2급 자격증을 취득했다. 2018년 11월 대한트라우마협회가 주관한 추계학술대회에서 “트라우마의 기억과 꿈의 특징에 관한 고찰”이라는 제목으로 발표를 진행했다. 현재 고양시 건강가족지원센터 상담위원, 한국상담심리학회 정회원 그리고 한국정신치료학회 준회원이다. 국회예산정책처장(차관급)을 끝으로 34년의 공직 생활을 마친 후, 서울시립대 초빙교수로 ‘재정학’과 ‘현대사회와 세금’을 강의했고, 지금은 전북대 석좌교수로 ‘재정학’과 ‘지방재정론’을 가르치고 있다. [블로그] blog.naver.com/cook8104 [홈페이지] dreamonline.co.kr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머리말 04

제1부 재정의 원리와 이해

제1장 재정과 시장 17
1.정부, 재정운용의 주체 17
2.경제체제에 따른 정부의 역할 18
3.국민계정과 국내총생산 22
4.시장의 실패와 정부의 개입 30

제2장 재정의 개관 39
1.재정의 개념 40
2.중앙정부의 재정 45
3.지방정부 재정 62
4.일반정부 포괄범위에 대한 고찰 67

제3장 재정의 역사 79
1.민주주의와 재정: 자유와 권리를 향한 여정 80
2.우리나라의 재정사와 시대별 특징 90

제2부 공공재와 공공선택

제4장 공공재의 개념 155
1.공공재의 의의 155
2.공공재의 공급량과 결정방식 157
3.공공재의 적정한 공급량 도출의 어려움 158

제5장 공공재의 결정방식 161
1.1인 또는 과두적 결정방식 161
2.직접민주주의와 투표방식 162
3.대의민주주의 171

제6장 공공재 배분의 실패와 극복방안 195
1.공공재 배분의 실패 이유 195
2.공공재 배분 실패의 극복방안 197

제3부 재정수입

제7장 중앙정부의 수입 219
1.재정수입의 구성과 규모 219
2.국세의 유형와 규모 220

제8장 조세의 개관 225
1.의의 225
2.조세부과의 원칙 226

제9장 소득과세 231
1.소득세 231
2.법인세 242

제10장 소비과세 255
1.부가가치세 255
2.개별소비세 263
3.교통?에너지?환경세 265
4.주세 267
5.담배소비세 268
6.관세 271

제11장 재산과세 275
1.상속세와 증여세 275
2.종합부동산세 282
3.기타 재산과세 287

제12장 기타 목적세 289
1.개관 289
2.교육세 290
3.농어촌특별세 290
4.목적세 존폐논쟁 291

제13장 세외수입 293

제14장 기금수입 295
1.개관 295
2.사회보장성 기금수입 296
3.부담금 298

제4부 재정지출

제15장 재정지출 규모와 방향 결정요인 307
1.대내?외적 요인 307
2.재정결정권자의 이념과 정책 313

제16장 재정지출의 분류와 몇 가지 사례 317
1.재정지출의 분류 317

제17장 재정지출의 국제비교 343
1.일반정부 총지출 비교 343
2.일반정부 분야별 재정지출 비교 345

제5부 재정절차

제18장 예산안의 편성 353
1.개관 355
2.예산안 편성을 위한 준비: 거시전망과 총량배분 357
3.사업별 심의: 미시적 재원배분 370
4.정부안 마련: 거시전망과 미시재원 배분의 결합 376
5.국회와 예산안 편성과정 381

제19장 국회의 심사 385
1.예산안 심사의 의미와 심사 지원기관 386
2.예산안 심사절차 개요 388
3.정부의 예산안 제출과 시정연설 393
4.상임위원회 예비심사 394
5.예산결산특별위원회 종합심사 403
6.본회의 상정 및 의결 419
7.국회의 예산안 심사의 평가 420

제20장 재정의 집행 429
1.서론 430
2.재정집행 유관기관 431
3.재정집행 절차 434
4.재정집행의 기능과 제도 439

제21장 재정결산 463
1.서론 464
2.결산절차 466
3.감사원과 결산 471
4.국회의 결산심사 479

제6부 지방재정

제22장 지방재정의 개요 493
1.일반정부 안의 지방정부 493
2.지방정부 재정의 구조와 규모 494
3.지방재정의 필요성 495
4.지방재정이론: 공공재의 공급과 티부 모형 496

제23장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재원배분 499
1.통치조직 형태와 재원배분 499
2.우리나라의 재정자립도와 재정자주도 500
3.국세와 지방세의 비중 502
4.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재정사용액 비교 503

제24장 지방재정조정제도 505
1.지방재정조정제도의 의의와 논리적 근거 505
2.지방재정조정제도의 법적 근거와 종류 507
3.지방교부세 509
4.국고보조금 516
5.지역발전특별회계 524

제25장 교육자치단체의 재정 527
1.지방정부 교육(자치)재정 527
2.최근 논의사항 528

제26장 지방공기업 531
1.현황 531
2.지방공기업 재무현황과 재무구조 개선방안 532

제27장 지방재정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535
1.재원조달 측면 536
2.재정지출 측면 540

제7부 공공기관

제28장 공공기관의 개관 551
1.공공부문 안의 공공기관 551
2.공공기관의 의의와 세 가지 유형 552
3.정부와 공공기관의 관계 556
4.공공기관이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 560
5.공공기관에 대한 이론적 시각 561

제29장 공공기관 관리정책 개요 567
1.주요국의 공공기관 관리제도 567
2.우리나라의 공공기관 관리정책 576

제30장 우리나라 공공기관 관리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585
1.우리나라 공공기관 관리정책의 문제점 585
2.우리나라 공공기관 관리정책의 개선방안 594

제31장 공공기관의 민영화 603
1.민영화의 개념 604
2.공기업 민영화에 대한 찬반론 605
3.역대 정부의 민영화 추진실적 607
4.공기업 민영화의 평가 611
5.성공적인 민영화를 위한 전제조건 613

제8부 재정제도

제32장 재정제도의 의의와 법적 체계 621
1.〈헌법〉과 재정 관련 법률 621

제33장 재정제도 일반 627
1.국가재정운용계획 627
2.성과주의 예산제도 635
3.성(性)인지 예산제도 647

제34장 예산편성?심의와 관련된 재정제도 655
1.예비타당성조사제도 655
2.수정예산안 제도 662
3.조세지출예산제도 665
4.법안비용추계 672
5.임대형민간투자사업 678

제35장 예산집행과 관련된 재정제도 685
1.총사업비 관리제도 685

제36장 재정건전성과 관련된 재정제도 695
1.추가경정예산안 제도 695
2.국가채무관리제도 703

제9부 재정개혁

제37장 재정현안: 한국사회의 도전과 과제 715
1.저출산?고령화 현상 심화 715
2.경제성장의 동력 약화 717
3.경제의 양극화 심화 719
4.통일이 재정에 미치는 영향 724
5.장기전망을 통해서 본 미래의 재정위험 725

제38장 우리나라 재정의 개혁방향과 평가 727
1.건전하고 지속가능한 재정의 확보 727
2.재정준칙의 강화 731
3.복지와 조세부담의 조화 736
4.재정정보의 투명성 강화 738

제39장 국회의 재정심사제도 개혁방안 743
1.국회 총액배분?자율편성 예산제도 도입 745
2.세입세출균형원칙 제도의 도입방향 755

·참고문헌 760
·찾아보기 767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