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04
제1부 재정의 원리와 이해
제1장 재정과 시장 17
1.정부, 재정운용의 주체 17
2.경제체제에 따른 정부의 역할 18
3.국민계정과 국내총생산 22
4.시장의 실패와 정부의 개입 30
제2장 재정의 개관 39
1.재정의 개념 40
2.중앙정부의 재정 45
3.지방정부 재정 62
4.일반정부 포괄범위에 대한 고찰 67
제3장 재정의 역사 79
1.민주주의와 재정: 자유와 권리를 향한 여정 80
2.우리나라의 재정사와 시대별 특징 90
제2부 공공재와 공공선택
제4장 공공재의 개념 155
1.공공재의 의의 155
2.공공재의 공급량과 결정방식 157
3.공공재의 적정한 공급량 도출의 어려움 158
제5장 공공재의 결정방식 161
1.1인 또는 과두적 결정방식 161
2.직접민주주의와 투표방식 162
3.대의민주주의 171
제6장 공공재 배분의 실패와 극복방안 195
1.공공재 배분의 실패 이유 195
2.공공재 배분 실패의 극복방안 197
제3부 재정수입
제7장 중앙정부의 수입 219
1.재정수입의 구성과 규모 219
2.국세의 유형와 규모 220
제8장 조세의 개관 225
1.의의 225
2.조세부과의 원칙 226
제9장 소득과세 231
1.소득세 231
2.법인세 242
제10장 소비과세 255
1.부가가치세 255
2.개별소비세 263
3.교통?에너지?환경세 265
4.주세 267
5.담배소비세 268
6.관세 271
제11장 재산과세 275
1.상속세와 증여세 275
2.종합부동산세 282
3.기타 재산과세 287
제12장 기타 목적세 289
1.개관 289
2.교육세 290
3.농어촌특별세 290
4.목적세 존폐논쟁 291
제13장 세외수입 293
제14장 기금수입 295
1.개관 295
2.사회보장성 기금수입 296
3.부담금 298
제4부 재정지출
제15장 재정지출 규모와 방향 결정요인 307
1.대내?외적 요인 307
2.재정결정권자의 이념과 정책 313
제16장 재정지출의 분류와 몇 가지 사례 317
1.재정지출의 분류 317
제17장 재정지출의 국제비교 343
1.일반정부 총지출 비교 343
2.일반정부 분야별 재정지출 비교 345
제5부 재정절차
제18장 예산안의 편성 353
1.개관 355
2.예산안 편성을 위한 준비: 거시전망과 총량배분 357
3.사업별 심의: 미시적 재원배분 370
4.정부안 마련: 거시전망과 미시재원 배분의 결합 376
5.국회와 예산안 편성과정 381
제19장 국회의 심사 385
1.예산안 심사의 의미와 심사 지원기관 386
2.예산안 심사절차 개요 388
3.정부의 예산안 제출과 시정연설 393
4.상임위원회 예비심사 394
5.예산결산특별위원회 종합심사 403
6.본회의 상정 및 의결 419
7.국회의 예산안 심사의 평가 420
제20장 재정의 집행 429
1.서론 430
2.재정집행 유관기관 431
3.재정집행 절차 434
4.재정집행의 기능과 제도 439
제21장 재정결산 463
1.서론 464
2.결산절차 466
3.감사원과 결산 471
4.국회의 결산심사 479
제6부 지방재정
제22장 지방재정의 개요 493
1.일반정부 안의 지방정부 493
2.지방정부 재정의 구조와 규모 494
3.지방재정의 필요성 495
4.지방재정이론: 공공재의 공급과 티부 모형 496
제23장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재원배분 499
1.통치조직 형태와 재원배분 499
2.우리나라의 재정자립도와 재정자주도 500
3.국세와 지방세의 비중 502
4.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재정사용액 비교 503
제24장 지방재정조정제도 505
1.지방재정조정제도의 의의와 논리적 근거 505
2.지방재정조정제도의 법적 근거와 종류 507
3.지방교부세 509
4.국고보조금 516
5.지역발전특별회계 524
제25장 교육자치단체의 재정 527
1.지방정부 교육(자치)재정 527
2.최근 논의사항 528
제26장 지방공기업 531
1.현황 531
2.지방공기업 재무현황과 재무구조 개선방안 532
제27장 지방재정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535
1.재원조달 측면 536
2.재정지출 측면 540
제7부 공공기관
제28장 공공기관의 개관 551
1.공공부문 안의 공공기관 551
2.공공기관의 의의와 세 가지 유형 552
3.정부와 공공기관의 관계 556
4.공공기관이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 560
5.공공기관에 대한 이론적 시각 561
제29장 공공기관 관리정책 개요 567
1.주요국의 공공기관 관리제도 567
2.우리나라의 공공기관 관리정책 576
제30장 우리나라 공공기관 관리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585
1.우리나라 공공기관 관리정책의 문제점 585
2.우리나라 공공기관 관리정책의 개선방안 594
제31장 공공기관의 민영화 603
1.민영화의 개념 604
2.공기업 민영화에 대한 찬반론 605
3.역대 정부의 민영화 추진실적 607
4.공기업 민영화의 평가 611
5.성공적인 민영화를 위한 전제조건 613
제8부 재정제도
제32장 재정제도의 의의와 법적 체계 621
1.〈헌법〉과 재정 관련 법률 621
제33장 재정제도 일반 627
1.국가재정운용계획 627
2.성과주의 예산제도 635
3.성(性)인지 예산제도 647
제34장 예산편성?심의와 관련된 재정제도 655
1.예비타당성조사제도 655
2.수정예산안 제도 662
3.조세지출예산제도 665
4.법안비용추계 672
5.임대형민간투자사업 678
제35장 예산집행과 관련된 재정제도 685
1.총사업비 관리제도 685
제36장 재정건전성과 관련된 재정제도 695
1.추가경정예산안 제도 695
2.국가채무관리제도 703
제9부 재정개혁
제37장 재정현안: 한국사회의 도전과 과제 715
1.저출산?고령화 현상 심화 715
2.경제성장의 동력 약화 717
3.경제의 양극화 심화 719
4.통일이 재정에 미치는 영향 724
5.장기전망을 통해서 본 미래의 재정위험 725
제38장 우리나라 재정의 개혁방향과 평가 727
1.건전하고 지속가능한 재정의 확보 727
2.재정준칙의 강화 731
3.복지와 조세부담의 조화 736
4.재정정보의 투명성 강화 738
제39장 국회의 재정심사제도 개혁방안 743
1.국회 총액배분?자율편성 예산제도 도입 745
2.세입세출균형원칙 제도의 도입방향 755
·참고문헌 760
·찾아보기 7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