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우리는 무엇을 하는 회사인가? : 철학과 인문학으로부터 업의 본질을 묻고 답하다 (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Madsbjerg, Christian Rasmussen, Mikkel B., 저 박수철, 역
서명 / 저자사항
우리는 무엇을 하는 회사인가? : 철학과 인문학으로부터 업의 본질을 묻고 답하다 / 크리스티안 마두스베르그, 미켈 B. 라스무센 지음 ; 박수철 옮김
발행사항
서울 :   타임비즈,   2014  
형태사항
272 p. ; 23 cm
원표제
(The) moment of clarity : using the human sciences to solve your hardest business problems
ISBN
9788928626496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67-272
일반주제명
Social sciences and management Management --Psychological aspects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24227
005 20150224110419
007 ta
008 150223s2014 ulk b 000c kor
020 ▼a 9788928626496 ▼g 03320
035 ▼a (KERIS)BIB000013541276
040 ▼a 211029 ▼c 21102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0 ▼a 658.8/34 ▼2 23
085 ▼a 658.834 ▼2 DDCK
090 ▼a 658.834 ▼b 2014z1
100 1 ▼a Madsbjerg, Christian
245 1 0 ▼a 우리는 무엇을 하는 회사인가? : ▼b 철학과 인문학으로부터 업의 본질을 묻고 답하다 / ▼d 크리스티안 마두스베르그, ▼e 미켈 B. 라스무센 지음 ; ▼e 박수철 옮김
246 1 9 ▼a (The) moment of clarity : ▼b using the human sciences to solve your hardest business problems
260 ▼a 서울 : ▼b 타임비즈, ▼c 2014
300 ▼a 272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 p. 267-272
650 0 ▼a Social sciences and management
650 0 ▼a Management ▼x Psychological aspects
700 1 ▼a Rasmussen, Mikkel B., ▼e
700 1 ▼a 박수철, ▼e▼0 AUTH(211009)20828
900 1 0 ▼a 마두스베르그, 크리스티안, ▼e
900 1 0 ▼a 라스무센, 미켈 B.,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58.834 2014z1 등록번호 11173133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아무리 변화의 속도가 빠르고 불확실성이 커졌다고는 하지만, 요즘처럼 기업들이 강한 패닉 상태에 빠진 것은 사상 유례가 없는 정도다. 1, 2년이 아니라 분기 단위로 전략을 세우고 시장의 흐름을 면밀히 주시하지만, 무엇으로 지속적인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을지 눈앞이 캄캄하다.

더군다나 이들을 더 힘들게 하는 것은 소위 MBA 식 해결책, 즉 현상을 관찰하고 가설을 세운 다음 데이터를 검증해 유용한 솔루션을 만들어내는 비용 중심, 효율화 중심의 경영이 그 약효를 잃어버렸다는 점이다. 뭔가 새로운 대안이 필요한데, 마땅치가 않다.

이 책은 ‘인간에 대한 깊은 이해’를 통해 오늘날 회사들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근본부터 다시 짚어준다. 인텔, 아디다스, 삼성, 레고, 콜로플라스트 등 업계를 망라한 현장의 사례도 흥미진진하다. 무엇보다 유려한 필체로 철학과 인류학, 심리학 등 인문학의 세계를 넘나들며 경영의 해법을 탐구하는 것 자체가 읽는 재미를 배가시킨다.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Harvard Business School) 최고의 화제작
경영의 최전선에서 분투하는 리더를 위한 인문학, 인문경제학의 새 장을 연 첫 책

아무리 변화의 속도가 빠르고 불확실성이 커졌다고는 하지만, 요즘처럼 기업들이 강한 패닉 상태에 빠진 것은 사상 유례가 없는 정도다. 1, 2년이 아니라 분기 단위로 전략을 세우고 시장의 흐름을 면밀히 주시하지만, 무엇으로 지속적인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을지 눈앞이 캄캄하다.
더군다나 이들을 더 힘들게 하는 것은 소위 MBA 식 해결책, 즉 현상을 관찰하고 가설을 세운 다음 데이터를 검증해 유용한 솔루션을 만들어내는 비용 중심, 효율화 중심의 경영이 그 약효를 잃어버렸다는 점이다. 뭔가 새로운 대안이 필요한데, 마땅치가 않다.
여기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이 주목한 새로운 조류, ‘인문경제학’의 기념비적인 저작을 소개한다. 바로 ‘인간에 대한 깊은 이해’를 통해 오늘날 회사들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근본부터 다시 짚어준다. 인텔, 아디다스, 삼성, 레고, 콜로플라스트 등 업계를 망라한 현장의 사례도 흥미진진하다. 무엇보다 유려한 필체로 철학과 인류학, 심리학 등 인문학의 세계를 넘나들며 경영의 해법을 탐구하는 것 자체가 읽는 재미를 배가시킨다.

출판사 서평

불확실성의 시대, 기업은 무엇을 어떻게 창조할 것인가?
자신만의 관점, 철학, 세계관이 없는 기업은 오래 갈 수 없다

바야흐로 무한경쟁의 시대, 혼돈과 변화의 와중이다. 어제 웃던 기업이 오늘은 울고, 오늘 쇠락해가는 듯 보이던 기업이 내일은 부활한다. 국경과 언어와 인종을 초월한 글로벌 경기장에서 끊임없이 벌어지는 운명을 건 격투, 그 전장에서 승리하기 위해 오늘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
초일류 기업을 지향하는 거대 기업의 경영자들이 연일 ‘인문학 예찬’이다. CEO들을 대상으로 한 인문학 강의가 인기를 끌고 동서양의 고전으로부터 지혜를 배우자는 흐름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바로 오늘날 대부분의 기업이 사람, 세상, 흐름, 미래를 읽는 혜안을 잃어버렸기 때문이다. 당장의 경쟁력 제고에만 급급해 원가를 낮추고 비용을 줄이고 사양을 덧붙이고 신상품을 줄지어 선보이고 마케팅에 열을 올리는 데 집중하면서 열심히 달려왔는데, 이제 정작 그것들 중 그 어떤 것으로도 지속적인 승부수를 만들어낼 수 없는 막다른 벽에 부딪혀버렸기 때문이다.
잘나가는 기업을 벤치마킹하기도 하고 최신 트렌드를 줄줄 꿰기도 하고 행동경제학으로 소비자의 심리를 읽어보기도 하고 빅 데이터와 플랫폼 솔루션에 귀를 기울여보기도 하지만, 정작 가슴 깊은 곳은 구멍이라도 뚫린 듯 텅 비어 있다. 우리를 우리이게 했던 나아가야 할 바에 대한 신념, 난관을 뚫고 기필코 길을 찾아내던 열정, 골몰하며 탐구하던 정신이 자꾸만 실종되어간다. 바로 ‘우리는 무엇을 하는 회사인가?’라는 근본적인 물음을 잃어버렸기 때문이다.
여기, 수백 년에 걸친 인문학의 지혜와 자산, 낡은 철학자의 가방 속에서 오늘날 기업이 잃어버린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보고자 한다. 업종, 제품, 산업을 막론하고 물어야 할 ‘업의 본질’, ‘사람(소비자)의 마음을 움직이는 법’, ‘버둥거리며 뒤만 좇는 대신, 길목을 지키고 넓은 보폭을 유지하는 비결’에 대한 혜안을 구한다. 지금 다음과 같은 고민으로 갈증을 느끼는 독자라면, 그 힌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회사가 세상의 흐름과 동떨어져 있다는 께름칙한 느낌이 든다.’
‘뭔가 변화가 다가온다는 것은 알지만, 뭘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
‘전략계획을 수립하고 회의도 자주 하지만, 공허한 반복일 뿐이다.’
‘이전의 논리로는 해석할 수 없는 고객층이 등장하고 있다.’
‘근근이 버티고는 있지만 뭔지 모르게 본질과 점점 멀어지는 기분이다.’
‘이것저것 손은 대는데 어느 것 하나 확실히 장악하지는 못한다.’

왜 오늘날의 기업, 거기 몸담은 구성원들은 에너지와 활력을 잃었나?
자신만의 내러티브, 스토리가 있는 기업이 사람과 성공을 얻는다

희한한 회사가 있다. 중국에 사는 60대 노부부의 집을 며칠이고 찾아가 죽치고 앉아 그들의 생활을 관찰하고 대화를 나누는 인류학자. 하이데거와 키에르케고르, 후설에 열광하는 철학자의 연구실을 찾아 ‘기계와 인간의 차이점’에 관한 조언을 청하는 철학 연구가. 망치, 부엌칼, 제초기, 라디오 같은 흔하디흔한 물건을 마치 부시맨이 콜라병을 쳐다보듯 생뚱맞은 표정으로 새삼스레 탐색하는 민족지학자. 맥킨지나 BCG, 베인앤드컴퍼니 컨설턴트 출신이면서 후줄근한 셔츠에 캐주얼한 재킷을 입고 경영학 책이 아닌 인문학 책을 끼고 다니며 전략보다 사람 사는 얘기를 더 많이 하는 기업전략 전문가…….
이들이 모여 있는 곳이 바로 요즘 가장 핫한 전략컨설팅 회사, 레드 어소시에이츠(ReD Associates)다. 뉴욕과 코펜하겐에 사무실을 두고 있는 이들은 철학, 미학, 인류학, 심리학 등 인문학에 바탕을 두고 비즈니스 전략을 지원하는 것이 필생의 임무다. 파산의 위기에 처한 레고에 제2의 전성기를 안겨준 것도, 낡아빠진 스포츠계 골동품으로 전락할 뻔한 아디다스를 구출한 것도, 반도체 회사 인텔을 전방위적인 플랫폼 기업으로 변신시키는 데 일조한 것도 바로 이들이다. 바로 ‘우리는 무엇을 하는 회사인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다시 던지고, 사람과 시장, 변화를 바라보는 시야를 파티션 안 책상에서 벗어나 진짜 살 냄새가 나는 현실의 공간으로 향하게 하고, 제품과 서비스를 개선하고 거듭나게 하는 인문학적 통찰을 가능케 함으로써 그런 일이 가능했다. 이 책은 그 엑기스이자, 최초의 보고서이기도 하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크리스티안 마두스베르그(지은이)

레드 어소시에이츠ReD Associates의 공동창립자이자 뉴욕 지국장. 코펜하겐과 런던에서 철학과 정치학을 공부했으며 런던 대학교에 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인류학자, 사회학자, 예술사학자와 철학자가 소속된 레드 어소시에이츠는 인간 과학에 기반한 전략 컨설팅으로 포춘 300대 기업이 직면한 비즈니스 과제를 해결해왔다. 2004년 사상 최대의 적자에 시달리던 레고에 ‘아이들이 어떤 장난감을 좋아하는가’가 아닌, ‘아이들에게 놀이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진 것이 대표적인데, 아이들의 생활 속에 잠입해 심층 인터 뷰를 진행한 결과 레고의 원점인 ‘블록’에 집중한다는 전략을 도출 해냈다. 레고에 새로운 중흥기를 맞이하게 한 이 컨설팅 사례는 비즈니스 전략에서 인문학적 통찰의 힘이 관여된 대표적인 케이스로 회자되고 있다. 《센스메이킹, 이것은 빅데이터가 알려주지 않는 전략이다》는 레드 어소시에이츠의 핵심 전략인 ‘센스메이킹’을 집대성한 책으로 피 상적인 데이터가 아닌 느낌, 사실, 경험, 관찰을 종합해 패턴을 발견하고 현실과 연결하는 능력의 중요성을 논한다. 방대한 데이터들의 혼합물을 해석하고 결론을 도출해내는 비범한 능력인 ‘센스 메이킹’은 압도적 기술의 시대에 비즈니스에서 살아남기 위한 생존전략과 데이터가 놓치고 있는 숨겨진 기회까지도 포착할 수 있는 승부수이다. 국내 출간된 저서로는 레드 어소시에이츠의 공동창립자 미켈 라스무센과 함께 저술한 《우리는 무엇을 하는 회사인가》가 있다.

미켈 B. 라스무센(지은이)

레드 어소시에이츠의 공동창립자이자 혁신과 비즈니스 창의성 분야의 전문가. 특히 유럽의 여러 기업들과 일하면서 시장에서 각광받는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하는 다양한 방법론을 인문학과 결합하여 연구하는 일에 집중한다. 네덜란드 마스트릭트 대학교에서 혁신관리 석사 학위를, 덴마크 로스킬레 대학교에서 경영학과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수철(옮긴이)

고려대학교 서양사학과를 졸업하였으며, 현재 번역 에이전시 엘코리아에서 출판기획 및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역사를 바꾼 위대한 장군들』, 『열정, 몰입, 혁신이 넘치는 신뢰 주식회사』, 『창조성, 신화를 다시 쓰다』, 『5분 철학: 누구나 궁금해하지만 답할 수 없는 80가지 이야기』, 『1434: 중국의 정화 대함대,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불을 지피다』, 『돈의 거의 모든 것: 돈의 복잡한 시스템을 한 권으로 이해한다』, 『하우스 스캔들: 은밀하고 달콤 살벌한 집의 역사』 등 다수가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서문 _ 뭔가 잘못되어가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면

1장. 우리는 지금 안개 속을 항해하고 있다
우리를 번성하게 한 바로 그것이 어느 순간부터 독(毒)이 된다
전문가, 경험자, 1인자라는 위치가 만들어내는 맹점(blind-spot)
디폴트 사고 _ 모든 기업이 숭앙하는 손에 잡히는 논리적 귀결점
센스메이킹 _ 안개 속에 갇힌 기업을 위한 네비게이터
흐릿했던 모든 것이 명료해지는 순간

1부. 우리의 고객은 누구이며 무엇을 원하는가 
_ 소비자, 사용자, 인간에 대해 우리가 잘못 생각해왔던 것들

2장. 분석, 데이터, 로직 _ 우리가 의지해온 현실 인식 도구들의 한계
변화하는 모든 것에 호들갑을 떨 필요는 없다, 물론이다
쉬운 질문부터 해 보자, 우리 회사는 지금 왜 ‘위기’인가?
디폴트 사고 만능주의 _ 예전에도 먹혔으므로 지금도 먹힐 것이다
첫 번째 의심 _ 사람들은 합리적이며 충분한 정보에 따라 의사결정 한다?
두 번째 의심 _ 내일도 오늘과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다?
세 번째 의심 _ 모든 가설은 객관적이며 편향되지 않는다? 
네 번째 의심 _ 오로지 숫자로 표시할 수 있는 것만이 유일한 진리다? 
다섯 번째 의심 _ 전문용어에는 인간성 따위는 배제되어야 한다?

3장. 창의적이라는 환상 _ ‘상자 밖에서 생각하기’의 오류
‘상자 밖에서 생각하기’란 대체 무엇이며 과연 쓸모가 있는가? 
창의성에 대한 오해 1 _ 창의적인 것은 유별나고 신기하고 낯선 것이다
창의성에 대한 오해 2 _ 프로세스만 잘 만들면 창의성은 저절로 나온다
창의성에 대한 오해 3 _ 아이디어는 느닷없이 떠오르게 마련이다
창의성에 대한 오해 4 _ 창의성은 급진적인 변화와 관련이 있다
창의성에 대한 오해 5 _ 창의성은 신나고 재미있는 환경에서 생겨난다

2부. 우리는 무을 위해 존재해야 하는가 
_ 세상, 사람, 기업, 비즈니스, 일의 본질을 다시 생각한다

쉬어가기. 기업 미래 전략 연구에 유용하다는 새로운 분석 도구들
빅 데이터 솔루션 _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데이터를 모은다고 답이 나올까?
스티브 잡스 솔루션 _ 위대한 천재만이 우리를 구원해줄 수 있을까?
고객 맞춤형 솔루션 _ 고객의 소리를 경청하기만 하면 답이 나올까?
오픈 이노베이션 솔루션 _ 과연 내 돈벌이를 남이 대신해줄까?
소셜 미디어 솔루션 _ 고객과의 케미가 비즈니스의 활로가 되어줄까?

4장. 수백 년에 걸친 인문과학의 자산으로부터 배운다 
더 이상 스펙이 아니다, 사람들의 경험 세계를 추적하라
객관적인 사실이 아니라 맥락 안에서의 경험에 주목하라
‘익숙한 것을 낯설게 멀리 있는 것을 가깝게’ _ 일상의 철학하기
인간 경험에 대한 정교한 조망은 어떻게 가능한가?
인간을 다시 제대로 이해하기 위한 인문과학 1 _ 민족지학
인간을 다시 제대로 이해하기 위한 인문과학 2 _ 상세 묘사
인간을 다시 제대로 이해하기 위한 인문과학 3 _ 문화적 언어의 이해
인간을 다시 제대로 이해하기 위한 인문과학 4 _ 이중순환
인간을 다시 제대로 이해하기 위한 인문과학 5 _ 귀추적 추론

5장. 레고의 역습 _ 쇠락해가던 재래 장난감이 모두가 열광하는 주인공이 되다
다시 브릭으로 _ 아이들과 놀이에 대한 우리의 이해는 틀렸다!
레고의 안개 탈출 전략 1(프레임) _ ‘아이들에게 놀이란 무엇인가?’
레고의 안개 탈출 전략 2(컬렉트) _ 밀착해 생활하며 관찰해 실체를 파악하다
레고의 안개 탈출 전략 3(룩) _ 놀이 속에 감춰진 아이들의 욕망은 무엇인가
레고의 안개 탈출 전략 4(크리에이트) _ 우리의 고객은 ‘장래의 설계자들’이다
레고의 안개 탈출 전략 5(임팩트) _ 도출된 핵심 가치를 전사적으로 확산시키다

6장. 콜로플라스트 _ 점진적인 개선이 아니라 핵심을 관통하는 승부수
당신이 해결하려고 하는 ‘그 문제’는 과연 진짜 풀어야 할 문제인가?
끊임없이 혁신하고 개선하는데도 소비자가 만족하지 않는 진짜 이유 

7장. 인텔과 아디다스 _ 다음 10년이 아니라 향후 100년을 준비한다
인텔 _ 컴퓨팅의 미래는 ‘경험’이다, 미래의 길목을 지킨다
미래의 문제에 힌트를 줄 수 없는 과거의 영광은 버려라
아디다스 _ 운동선수와 일반 소비자는 전혀 다른 종족이 아니다
원점으로 돌아가 다시 묻다 
우리가 종사하는 이 분야의 본질은 무엇인가?

8장. 현실에 깊게 뿌리내리고 미래를 자유롭게 조망하는 리더
TV 시장을 뒤집은 삼성의 관점 혁명 _ 텔레비전은 가구의 일종이다
우리 회사가 세상과 동떨어진 느낌, 께름칙한 기분이 든다면 그게 신호다
안개를 헤쳐 기업을 항해시키려면 양수겸장의 리더십이 필요하다
리더라면 깊이 있고 배려 넘치는 관심으로 리드하라
기업에 대안을 안겨줄 탁월한 천재성의 기본 전제는 관점이다
서로 다른 세계를 연결시킴으로써, 더 크고 아름다운 꿈을 꾸게 하라
미래를 과감히 개척하고자 하는 리더에게 필요한 협력자들

결론 _ 검증되지 않은 미지의 영토에 대한 탐험정신을 북돋우라
용어 해설
참고문헌

관련분야 신착자료

Jacobs, F. Robert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