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23985 | |
005 | 20230725143349 | |
007 | ta | |
008 | 150219s2015 ulkad b 001c kor | |
020 | ▼a 9788932472898 ▼g 9334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27 ▼2 23 |
085 | ▼a 327 ▼2 DDCK | |
090 | ▼a 327 ▼b 2015 | |
245 | 0 0 | ▼a 세계정치론 / ▼d 존 베일리스, ▼e 스티브 스미스, ▼e 퍼트리샤 오언스 편저 ; ▼e 하영선 외 옮김 |
246 | 1 9 | ▼a (The) globalization of world politics : ▼b an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relations ▼g (6th ed.) |
260 | ▼a 서울 : ▼b 을유문화사, ▼c 2015 | |
300 | ▼a 772 p. : ▼b 삽화, 도표 ; ▼c 25 cm | |
500 | ▼a 공역자: 김범수, 김상배, 김준석, 김치욱, 남궁곤, 도종윤, 민병원, 신기영, 신욱희, 이상현, 이왕휘, 이정환, 이혜정, 전재성, 조동준, 황지환 | |
500 | ▼a 세계정치의 역사와 이론, 구조와 과정 그리고 주요 쟁점을 망라한 종합 개론서 | |
504 | ▼a 참고문헌(p. 709-729)과 색인수록 | |
650 | 0 | ▼a Globalization |
650 | 0 | ▼a World politics ▼y 1989- |
700 | 1 | ▼a Baylis, John, ▼d 1946-, ▼e 편 ▼0 AUTH(211009)125225 |
700 | 1 | ▼a Smith, Steve, ▼d 1952-, ▼e 편 ▼0 AUTH(211009)7776 |
700 | 1 | ▼a Owens, Patricia, ▼d 1975-, ▼e 편 ▼0 AUTH(211009)12487 |
700 | 1 | ▼a 하영선 ▼g 河英善, ▼e 역 ▼0 AUTH(211009)144133 |
700 | 1 | ▼a 김범수, ▼e 역 ▼0 AUTH(211009)78165 |
700 | 1 | ▼a 김상배, ▼e 역 ▼0 AUTH(211009)3877 |
700 | 1 | ▼a 김준석, ▼g 金俊奭, ▼d 1969-, ▼e 역 ▼0 AUTH(211009)133667 |
700 | 1 | ▼a 김치욱, ▼e 역 ▼0 AUTH(211009)104534 |
700 | 1 | ▼a 남궁곤, ▼e 역 ▼0 AUTH(211009)83316 |
700 | 1 | ▼a 도종윤, ▼e 역 ▼0 AUTH(211009)69585 |
700 | 1 | ▼a 민병원, ▼g 閔丙元, ▼d 1963-, ▼e 역 ▼0 AUTH(211009)8070 |
700 | 1 | ▼a 신기영, ▼e 역 ▼0 AUTH(211009)35199 |
700 | 1 | ▼a 신욱희, ▼e 역 ▼0 AUTH(211009)32457 |
700 | 1 | ▼a 이상현, ▼e 역 ▼0 AUTH(211009)92527 |
700 | 1 | ▼a 이왕휘, ▼e 역 ▼0 AUTH(211009)140543 |
700 | 1 | ▼a 이정환, ▼e 역 ▼0 AUTH(211009)69485 |
700 | 1 | ▼a 이혜정, ▼e 역 ▼0 AUTH(211009)97449 |
700 | 1 | ▼a 전재성, ▼e 역 ▼0 AUTH(211009)34467 |
700 | 1 | ▼a 조동준, ▼e 역 ▼0 AUTH(211009)60805 |
700 | 1 | ▼a 황지환, ▼e 역 ▼0 AUTH(211009)78135 |
900 | 1 0 | ▼a 베일리스, 존, ▼e 편 |
900 | 1 0 | ▼a 스미스, 스티브, ▼e 편 |
900 | 1 0 | ▼a 오언스, 퍼트리샤, ▼e 편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 청구기호 327 2015 | 등록번호 11173127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7 2015 | 등록번호 11173276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1997년 초판이 출간된 이후 세계정치의 역사와 이론, 구조와 과정 그리고 주요 쟁점들을 포괄적으로 다루어 세계 주요 대학의 표준 교과서로 자리 잡았으며, 가장 권위 있고 완벽한 국제정치학 개론서로서 인정받고 있다.
이번 제6판에는 2000년대 중반 이후 세계 질서의 구조적 변화를 다룬 「부상하는 국가들과 신흥 지구 질서」가 추가되었고, 「핵확산」에 대한 장이 대폭 수정되었으며, 브릭스, 가자 자유 함대, 수단 내전, 무인항공기 드론, 후쿠시마 원전 사고, 중국의 부상, 점령하라 운동, 시리아 혁명 등 최신 국제정세를 충실히 반영하는 새로운 사례연구들이 대폭 포함되었다. 또한 아랍의 봄, 유로존 위기와 지구화 영향, 신흥 경제국의 역할 등이 주요 쟁점으로 다뤄지고 있다.
1. 책 소개
세계 최고 판매 부수를 자랑하는 표준 교과서, 최신 개정판 출간
국제정치학 분야의 가장 권위 있고 완벽한 개론서
전 세계 120여 개국 30만 명 이상의 학생들이 사용하는 『세계정치론』은 1997년 초판이 출간된 이후 세계정치의 역사와 이론, 구조와 과정 그리고 주요 쟁점들을 포괄적으로 다루어 세계 주요 대학의 표준 교과서로 자리 잡았으며, 가장 권위 있고 완벽한 국제정치학 개론서로서 인정받고 있다. 이번 제6판에는 2000년대 중반 이후 세계 질서의 구조적 변화를 다룬 「부상하는 국가들과 신흥 지구 질서」가 추가되었고, 「핵확산」에 대한 장이 대폭 수정되었으며, 브릭스, 가자 자유 함대, 수단 내전, 무인항공기 드론, 후쿠시마 원전 사고, 중국의 부상, 점령하라 운동, 시리아 혁명 등 최신 국제정세를 충실히 반영하는 새로운 사례연구들이 대폭 포함되었다. 또한 아랍의 봄, 유로존 위기와 지구화 영향, 신흥 경제국의 역할 등이 주요 쟁점으로 다뤄지고 있다.
세계정치의 다양한 주제에 대한 최신 국제정세를 충실히 반영
제1부 ‘역사적 배경’에서는 21세기의 역사적 변환을 제대로 추적하기 위해 탈냉전 이후의 역사를 수정·보완하고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가의 부상과 이에 따라 새롭게 떠오르는 지구 질서를 새로운 장으로 다루었다. 제2부 ‘세계정치이론’에서는 새롭게 단장했던 제5판의 기본 골격을 그대로 유지하는 대신, 최근의 사례연구들을 보다 많이 포함시켜 현실을 이론적 시야에서 깊이 있게 들여다보도록 했다. 제3부 ‘구조와 과정’에서는 21세기 세계정치의 핵심인 전쟁과 안보, 국제정치경제, 젠더, 국제법, 국제레짐, 국제연합, 초국가 행위자와 국제기구의 최근 변화들을 최대한 반영하고 있다. 제4부 ‘국제적 쟁점’에서는 제5판에 있던 「세계 문제와 문화」의 장을 삭제하고 「핵확산」을 새로운 저자가 새롭게 집필했다. 그리고 마지막 제5부 ‘미래의 지구화’에서는 사례연구들을 새롭게 추가했다.
이 책의 특징
1. 국제정치학 분야의 모든 주제를 균형 잡힌 시각으로 서술한 종합 개론서
2. 전공 학생을 위한 전문적 주제를 각 분야의 최고 전문가들이 체계적으로 정리
3. 다양한 도표와 상자, 일람표, 사례연구, 요점 정리, 주석 등을 효과적으로 활용
4. 독자들의 학습 편의를 위해 풍부한 참고문헌과 다양한 토론 주제 제시
5. 부록으로 국제정치학의 핵심 용어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용어 해설’ 수록
2. 서평
『세계정치론』은 가장 이해하기 쉬운 국제정치학 교과서이다.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다양한 주제들로 인해, 이 책은 매우 유연한 교육 도구가 된다.
-펠릭스 치우타,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이 교과서는 역사·개념·주제가 탁월하게 조합되어 있고, 국제정치의 최고 전문가들이 이해하기 쉽게 썼으며, 규모 면에서 진정으로 지구적인 관점을 제공한다. 전 세계 국제관계학 학생이라면 꼭 읽어야 할 책이다.
-알렌 B. 티크너, 로스안데스대학교
이 놀라운 교과서는 서로 다른 배경을 지닌 많은 학생이 수강하는 입문 수업에서 공통 기반을 만드는 데 도움을 준다.
-피아 리찌로찌, 사우샘프턴대학교
포괄적이며, 편견이 없고, 교수가 가르칠 수 있고, 학생이 배울 수 있는 다양한 부가 정보를 수록한 책.
-아녜스 쿠스, 사이먼프레이저대학교
이 책은 가장 포괄적인 국제관계학 교과서이며, 당연하게도 학과의 교육에 가장 중요한 책이다.
-애드리아나 싱클레어, 이스트앵글리아대학교
매우 포괄적이면서도 압축적으로 권위 있는 설명을 제공한다.
-마틴 홀, 룬드대학교
매우 도전적이고 복잡한 주제에 대해 『세계정치론』은 학부생들에게 유익하고 접근 가능한 개관을 제공한다.
-케네스 맥도나, 더블린시티대학교
지구화를 둘러싼 이론적 논쟁에 대해 비판적 개관을 제공하며, 이를 국제적 의제를 둘러싼 광범위한 안보·경제 이슈에 적용하고 있다.
-케네스 A. 로드먼, 콜비대학
매우 전문적이며, 반들반들한 교과서.
-에이드리언 하이드-프라이스, 바스대학교
포괄적이며, 빈번하게 개정되며, 매력적으로 디자인되었다.
-노리 맥퀸, 던디대학교
정보제공 :

저자소개
존 베일리스(지은이)
스완지대학교 정치·국제관계학과 명예교수이며 부총장보를 역임했다. 웨일스대학교에서 철학박사와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공동 편집한 Strategy in the Contemporary World (2006)와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2006)를 비롯해 20여 권의 책을 출간했다.
스티브 스미스(지은이)
액서터대학교의 부총장이다. 애버리스트위스의 웨일스대학교와 이스트앵글리아대학교의 국제관계학 교수를 역임했다. 2003~2004년 미국국제정치학회 회장을 맡았고, 2000년에는 사회과학학술회원으로 선출되었다. 공동 편집한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ies: Discipline and Diversity (2010)와 『oreign Policy: Theories, Actors, Cases (2008)를 비롯해 15권의 책을 출간했다.
퍼트리샤 오언스(지은이)
런던대학교의 정치학과 부교수이다. 저서로 Between Was and Politics: International Relations and the Thought of Hannah Arendt (2007) Human Security and the Rise of the Social (근간) 등이 있다.
하영선(옮긴이)
국제정치 이론과 역사를 반세기 동안 연구해 온 한국의 대표적 국제정치학자다. 현재 동아시아연구원 이사장이며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에서 학사 및 석사학위를, 미국 워싱턴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교수(1980-2012)로 재직했고 미국 프린스턴 대학 국제문제 연구소와 스웨덴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의 초청 연구원이었으며, 서울대학교 국제문제 연구소장, 미국학 연구소장, 한국 평화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에 20년 동안 400편의 시론을 썼고, “하영선 칼럼”을 7년 동안 연재했다. 전파연구, 한국외교사, 정보세계 정치, 동아시아연구원의 연구 모임들을 이끌며 한국 국제 정치학의 길을 개척해 왔다. 강의와 답사를 연계해서 ‘체험하는 외교사’라는 학습 모델을 개발하여 ‘서울대 교육상’을 수상하였으며, 서울대학교와 동아시아연구원에서 지난 20년 동안 동아시아 질서 건축사와 한국의 생존전략을 젊은 세대들과 함께 공부하고 현장을 찾아보는 학술답사를 계속하고 있다. 최근 저서 및 편저로는 국제정치이론 분야에서 『사랑의 세계정치: 전쟁과 평화』(2019), 『미중의 아태질서 건축경쟁』(2017), 『복합 세계정치론: 전략과 원리 그리고 새로운 질서』(2012), 『변환의 세계정치』(2012), 한국외교사 분야에서 『한국외교사 바로보기: 전통과 근대』(2019), 『사행의 국제정치: 16-19세기 조천?연행록 분석』(2016), 한국외교정책 분야에서 『1972 한반도와 주변4강 2014』(2015), 『2020 한국외교 10대과제: 복합과 공진』(2013), 『하영선 국제정치 칼럼 1991-2011』(2012), 『북한2032: 선진화로 가는 공진전략』(2010), 『한일 신시대를 위한 제언: 공생을 위한 복합 네트워크의 구축』(2010), 한국개념사연구 분야에서 『한국 사회과학 개념사』(2018), 『냉전기 한국 사회과학 개념사』(2018), 『근대 한국의 사회과학 개념 형성사 1/2』(2009/2012) 등이 있다.
이상현(옮긴이)
세종대학교 명예교수 이상현(아호 玄谷)은 1940년 서울 서대문구 홍은동에서 태어났다. 서울중고등학교 재학 당시, 학교 담을 넘어 YMCA에서 만나던 유영모 선생과 함석헌 선생의 영향으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학과에 진학하였다. 4·19 때 교수단 데모를 실제로 이끈 우관 이정규 성균관대학교 총장의 조언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 진학하여 역사철학을 연구, 1966년에 <베네데토 크로체의 역사사상>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그 후 공군사관학교 교관으로 역사학을 강의하다가 1973년 공군대위로 전역한 후, 2년간 시간강사로 떠돌다 1975년 9월에 숭의여자전문대학 교수가 되었다. 이때에 R.G 콜링우드의 《역사학의 이상》을 번역했고, 《자유·투쟁의 역사》를 발표하였다. 1980년 세종대학교 역사학과 교수로 자리를 옮겨 학보사주간, 2부교학처장, 학생처장 등을 역임하면서 《역사철학과 그 역사》를 출간하였고, 김성식 교수의 권유와 지도로 경희대학교에서 <신이상주의 역사사상>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86년 보직을 사퇴하고 1년간 미국 버클리대학 객원교수로 갔다온 뒤, 15년간 강의와 논문 저술 활동에 열중하여 《지성으로 본 세계사》, 《역사적 상대주의》, 《다시 쓰는 역사, 그 지식의 즐거움》, 《세계적 한국사 38강》, 《종교, 그 벽을 넘어 진리의 세계로》 등을 펴냈으며, 1997년부터는 문필계에 뛰어들어 수필가와 문학비평가로 활동하면서 역사 에세이집 《역사 속 사랑이야기》, 수필집 《아버진 홍은동 이발쟁이었다》, 회고록 《고백》을 발표하였다. 한국사학사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현재는 세종대학교 명예교수와 한국사학사학회 명예회장으로 있으며, 명상을 통한 수행의 결과로 《관자재보살들》을 집필・출간하였다.
장인성(옮긴이)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에서 공부하고 도쿄대학교 총합문화연구과에서 개항기 한일 국제정치사상에 관한 비교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구 분야는 동아시아 국제정치사상, 한일 정치사상사, 동아시아 개념사이다. 저서로 『장소의 국제정치사상』(서울대학교출판부, 2002),『근대한국의 국제관념에 나타난 도덕과 권력』(서울대학교출판부, 2006),『메이지유신』(살림, 2007),『동아시아 국제사회와 동아시아 상상』(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서유견문: 한국보수주의의 기원에 관한 성찰』(아카넷, 2017), 『현대일본의 보수주의』(연암서가, 2021) 등이 있다.
신욱희(옮긴이)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미국 예일대학교 정치학 박사 논저: 『삼각관계의 국제정치: 중국, 일본과 한반도』, 『한미일 삼각 안보체제: 형성, 영향, 전환』, “구성주의 국제정치이론의 의미와 한계”
이혜정(옮긴이)
중앙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전재성(옮긴이)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저로 『동북아 국제정치이론: 불완전주권국가들의 국제정치』(2020), 『주권과 국제정치: 근대주권국가체제의 제국적 성격』(2019) 등이 있다.
김상배(옮긴이)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 인디애나대학교(Indiana University)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 사이버안보학회 회장과 서울대 미래전연구센터 센터장을 맡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신흥안보, 사이버 안보, 디지털 경제, 공공외교, 미래전, 중견국 외교다. 대표 저서로 『미중 디지털 패권경쟁: 기술·안보·권력의 복합지정학』(2022), 『버추얼 창과 그물망 방패: 사이버 안보의 세계정치와 한국』(2018), 『아라크네의 국제정치학: 네트워크 세계정치이론의 도전』(2014) 등이 있다.
강윤희(옮긴이)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후 영국 Glasgow Universotoy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논문으로는 <스탈린의 산업화 전략과 소련 공산당 기능의 변화, 1928-1932: 레닌그라드의 사례연구>,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기간의 소련 공산당 세포조직의 발달-레닌그라드 공장 당세포조직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현재 국민대학교 유라시아학과 교수다.

목차
목차 서문 = 5 『세계정치론』에 대한 찬사들 = 6 감사의 말 = 7 서론 = 13 국제정치에서 세계정치로 세계정치에 관한 이론들 세계정치이론들과 지구화 지구화와 그 전조들 지구화 : 신화인가, 현실인가 제1장 지구화와 지구정치 = 30 머리말 지구화 입증하기 지구화의 개념화 지구화 해석하기 지구화와 지구정치 맺음말 제1부 역사적 배경 제2장 국제사회의 진화 = 54 머리말 : 국제사회의 관념 고대 세계 기독교와 이슬람 질서 근대 국제사회의 출현 국제사회의 지구화 맺음말: 지구적 국제사회의 문제점 제3장 국제관계의 역사, 1900∼1990 = 74 머리말 현대 총력전 제국의 종말 냉전 맺음말 제4장 냉전의 종식에서 새로운 지구시대로? = 94 머리말: 냉전의 흥망 미국과 단극의 순간 소련의 붕괴 이후 유럽: 부상과 쇠퇴? 새로운 아시아 세기? 새로운 지구 남반구 9ㆍ11에서 아랍의 봄으로 오바마와 세계 맺음말 제5장 부상하는 국가들과 신흥 지구 질서 = 114 머리말 탈냉전 질서 도전에 직면한 미국 중심의 질서 신흥국가들에 대한 세 가지 질문 맺음말: 부상하는 국가들과 세계정치의 지구화 제2부 세계정치 이론 제6장 현실주의 = 136 머리말 : 현실주의의 영속적 지혜 하나 또는 여러 현실주의? 현실주의의 핵심 맺음말 : 현실주의와 세계정치의 지구화 제7장 자유주의 = 156 머리말 국제관계에 대한 자유주의 사고의 핵심 개념 자유주의가 직면한 도전 맺음말 제8장 현대 주류 접근법 : 신현실주의와 신자유주의 = 174 머리말 신현실주의 신자유주의 신현실주의-신자유주의 논쟁 지구화에 관한 신현실주의와 신자유주의 맺음말 : 국제관계 의제의 협소화 제9장 마르크스주의 국제관계이론 = 194 머리말 : 마르크스주의의 계속되는 적실성 마르크스주의 세계정치론의 핵심 요소들 국제화된 마르크스 : 제국주의에서부터 세계체제 이론까지 그람시주의 비판 이론 신마르크스주의 맺음말 : 마르크스주의 국제관계이론과 지구화 제9장 사회구성주의 = 212 머리말 구성주의의 부상 구성주의 구성주의와 지구적 변화 맺음말 제11장 탈구조주의 = 230 머리말 사회적 세계의 연구 정치 이론으로서의 탈구조주의 국가 주권 해체하기 정체성과 외교정책 맺음말 제12장 탈-식민주의 = 250 머리말 : 국제관계에 대한 탈-식민주의적 사고 식민지와 국제관계학의 만남 역사 교정과 간극 극복 탈-식민 되기 맺음말 : 탈-식민주의와 국제관계학 제13장 국제윤리 = 270 머리말 경계의 윤리적 중요성 : 범세계주의와 그 대안들 반범세계주의 : 현실주의와 다원주의 정의의 의무와 자연적 의무 : 인도주의와 피해 지구적 윤리 문제 맺음말 제3부 구조와 과정 제14장 전쟁의 변화 양상 = 292 머리말 정의 전쟁의 본질 군사 혁신 탈근대 전쟁 새로운 전쟁 맺음말 제15장 국제 안보와 지구 안보 = 310 머리말 정의 전쟁의 본질 군사 혁신 탈근대 전쟁 새로운 전쟁 맺음말 제16장 지구화 시대의 국제정치경제 = 328 머리말 전후의 세계경제 국제정치경제에 대한 전통적 접근법과 새로운 접근법 국제정치경제의 지구화 논쟁 세계경제의 지구화와 국제제도 맺음말 제17장 젠더와 세계정치 = 348 머리말 페미니즘 이론들 페미니즘의 젠더 개념 정의 젠더의 렌즈로 세계정치 보기 안보의 젠더화 세계경제 속의 젠더 지식에서 정책 실천으로 맺음말 제18장 국제법 = 368 머리말 : 국제법의 역설 질서와 제도 근대 국제법 제도 국제법에서 초국가법으로? 전쟁법 국제법의 이론적 접근 맺음말 제19장 국제레짐 = 386 머리말 레짐의 본질 레짐 형성에 관한 여러 이론들 맺음말 제20장 국제연합 = 404 머리말 국제연합의 약사와 주요 기구들 국제연합과 국제 평화 및 안보의 유지 국제연합과 국내 문제 개입 국제연합과 경제ㆍ사회 문제 맺음말 제21장 지구정치에서의 초국가 행위자와 국제기구 = 424 머리말 국가 중심 접근법의 문제점 정치 행위자로서의 초국가기업 정치 행위자로서의 비합법 집단과 해방운동 정치 행위자로서의 비정부기구 지구정치구조로서의 국제기구 맺음말 : 지구정치의 의제와 정책 체계 제4부 국제적 쟁점 제22장 환경 이슈 = 448 머리말 국제 의제로서의 환경 이슈 : 역사적 개관 국제 환경 협력의 기능 기후 변화 환경과 국제관계이론 맺음말 제23장 테러리즘과 지구화 = 468 머리말 정의 테러리즘 : 초국가 현상에서 지구적 현상으로(1968∼2001) 테러리즘 : 지구화의 영향 지구화, 기술 그리고 테러리즘 테러리즘과의 전투 맺음말 제24장 핵확산 = 488 머리말 핵무기의 기술과 확산 핵확산에 관한 이론적 논쟁 비확산 노력의 진화 맺음말 제25장 민족주의 = 508 머리말 : 개념과 논쟁 민족주의, 민족국가, 그리고 역사 속의 세계정치 민족주의, 민족국가, 그리고 현재의 지구정치 맺음말 제26장 국제관계의 지역주의 = 528 머리말 지역 협력과 지역 통합 지구적 맥락에서의 지역 협력 유럽 통합의 과정 맺음말 제27장 지구 무역과 금융 = 548 머리말 무역과 금융의 지구화 지구무역의 규제 지구금융의 규제 맺음말 제28장 빈곤, 개발 그리고 기아 = 564 머리말 빈곤 개발 기아 맺음말: 미래에 대한 전망-인간의 얼굴을 가진 지구화? 제29장 인간 안보 = 586 머리말 인간 안보란 무엇인가? 인간 안보 논쟁 인간 안보의 여러 측면 인간 안보의 증진 맺음말 제30장 인권 = 606 머리말 세계 인권 레짐 양자 관계에서 인권의 정치 비정부 행위자와 인권의 정치 인권과 국제정치 이론 맺음말 제31장 인도주의 개입 = 626 머리말 인도주의 개입 옹호론 인도주의 개입 반대론 1990년대 : 인도주의 개입의 전성기? 보호 책임 맺음말 제5부 미래의 지구화 제32장 지구화와 정치 공동체의 변환 = 648 머리말 : 정치 공동체란 무엇인가? 민족주의와 정치 공동체 공동체와 시민권 변화하는 정치 공동체의 속성 지구적 상호연계성에 대한 도전 맺음말 제33장 지구화와 탈냉전 질서 = 668 머리말 질서 유형 현대 질서의 구성 요소 지구화와 탈베스트팔렌 질서 지구화와 정당성 지구화된 국가의 국제질서? 지구 금융위기 맺음말 집필진 소개 = 689 제6판 번역의 말 = 697 제5판 번역의 말 = 698 제4판 번역의 말 = 699 제3판 번역의 말 = 700 제2판 번역의 말 = 701 참고문헌 = 709 용어해설 = 731 찾아보기 = 7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