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행정학 : 시간의 관점에서

행정학 : 시간의 관점에서 (2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임도빈
서명 / 저자사항
행정학 = Public administration : 시간의 관점에서 / 임도빈
발행사항
서울 :   박영사,   2014  
형태사항
xiii, 531 p. : 도표 ; 27 cm
ISBN
9791130301150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23370
005 20150212142447
007 ta
008 150212s2014 ulkd b 001c kor
020 ▼a 9791130301150 ▼g 93350
035 ▼a (KERIS)BIB000013592998
040 ▼a 222001 ▼c 222001 ▼d 222001 ▼d 211009
082 0 4 ▼a 351 ▼2 23
085 ▼a 351 ▼2 DDCK
090 ▼a 351 ▼b 2014z5
100 1 ▼a 임도빈 ▼0 AUTH(211009)81600
245 1 0 ▼a 행정학 = ▼x Public administration : ▼b 시간의 관점에서 / ▼d 임도빈
260 ▼a 서울 : ▼b 박영사, ▼c 2014
300 ▼a xiii, 531 p. : ▼b 도표 ; ▼c 27 cm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900 1 0 ▼a Im, Tobin, ▼e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 2014z5 등록번호 51102742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 2014z5 등록번호 51102742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51 2014z5 등록번호 12123215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1 2014z5 등록번호 15132653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 2014z5 등록번호 51102742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 2014z5 등록번호 51102742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51 2014z5 등록번호 12123215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1 2014z5 등록번호 15132653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임도빈(지은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를 나온 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그리고 파리 정치대학에서 사회박 박사를 취득하였다. 한국행정학회 회장,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원장을 역임하였다. 정부 경쟁력 이론을 정립하고, 사람중심의 더 좋은 한국 사회를 만들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특히 인적자원관리라는 측면에서 공공부분의 역할과 대학교육의 중요성에 관심을 갖고 있다. 한국정책학회, 한국행정학회 그리고 서울대학교에서 각각 학술상을 수여받았다. 40여 권의 저서와 주요 국내외 주요학술지에 200여 편 가량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국가와 좋은 행정, 왜 서번트 리더십인가, 행정학, 인사행정론, 한국행정조직론, 비교행정학, The Two Sides of Korean Administrative Culture(2019), The Experience of Democracy and Bureaucracy in South Korea(2017) 등이 있다. (tobin@snu.ac.kr)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행정현상과 행정학
 제1절 행정현상의 특성 = 5
  Ⅰ. 행정현상 = 5
  Ⅱ. 행정현상의 독특성 = 6
 제2절 사회과학으로서의 행정학 = 15
  Ⅰ. 외국의 행정학 = 15
  Ⅱ. 한국행정학의 역사적 발달 = 25
 제3절 본서의 시각 = 30
  Ⅰ. 시간의 중요성 = 30
  Ⅱ. 정부경쟁력 모델: 팽이모델 = 33
  Ⅲ. 본서의 구성 = 35
제2장 세계 속의 행정
 제1절 국제적 환경: 시간통제와 국가형성 = 47
  Ⅰ. 국가형성과 시간 = 47
  Ⅱ. 세계화와 행정학 = 50
 제2절 국제기구와 국제협력행정 = 53
  Ⅰ. 국가 간 관계 = 53
  Ⅱ. 국제기구의 조직 = 54
  Ⅲ. 국제기구의 활동 방법 = 56
  Ⅳ. 국제행정문제의 사례 = 58
  Ⅴ. 국제행정론 = 59
 제3절 빈부격차와 개발협력 = 60
  Ⅰ. 경제수준의 차이는 왜 날까 = 60
  Ⅱ. 정부개발원조 = 63
  Ⅲ. 비교행정연구의 필요성 = 67
제3장 한국사회 속의 행정
 제1절 적극적 행정행위자 = 79
  Ⅰ. 언론기관 = 79
  Ⅱ. 시민단체 = 82
 제2절 경제행위자: 시장과 정부 = 88
  Ⅰ. 경제정책의 중요성 = 88
  Ⅱ. 시장과 정부 간 관계 = 94
  Ⅲ. 노동조합 = 99
 제3절 새로운 행위자 = 101
  Ⅰ. 인구학적 변화 = 101
  Ⅱ. 사회적 기업 = 103
제4장 국민과 행정의 상호작용
 제1절 항상성과 행정 = 113
  Ⅰ. 시간흐름선상에서 본 행정활동 = 113
  Ⅱ. 행정-국민의 관계유형 = 115
 제2절 행정수단 = 117
  Ⅰ. 행정수단의 시간적 변화 = 117
  Ⅱ. 정부규제 = 120
  Ⅲ. 신고포상금 = 122
 제3절 공공서비스 = 124
  Ⅰ. 공공재와 행정 = 124
  Ⅱ. 공공서비스 제공의 방법 = 126
  Ⅲ. 국민과 행정서비스 만족 = 131
 제4절 재난관리행정 = 135
  Ⅰ. 위험사회와 행정의 항상성 = 135
  Ⅱ. 재난관리단계별 시간특성 = 137
제5장 ICT와 행정
 제1절 정보통신기술(ICT) = 149
  Ⅰ. 아날로그와 디지털 = 149
  Ⅱ. 디지털과 행정 = 150
 제2절 전자정부화 = 153
  Ⅰ. 전자정부의 개념진화 = 153
  Ⅱ. 한국정부의 정보화 과정 = 155
  Ⅲ. 전자정부의 효과 = 156
 제3절 정부 3.0 = 161
제6장 정책
 제1절 정책과정 = 173
  Ⅰ. 정책과정단계론 = 173
  Ⅱ. 포스트모더니즘 = 176
 제2절 정책형성 = 178
  Ⅰ. 기본시각 = 178
  Ⅱ. 정책형성 = 180
 제3절 정책결정 = 183
  Ⅰ. 의사결정사전차단론 = 184
  Ⅱ. 합리성의 문제 = 185
  Ⅲ. 현실론적 모델 = 186
 제4절 정책의 집행 = 190
  Ⅰ. 집행을 보는 시각 = 190
  Ⅱ. 정책집행의 현실적 이해 = 191
  Ⅲ. 정책의 변동 = 194
  Ⅳ. 정책집행의 결정요인: 일선관료 = 196
 제5절 정책분석과 정책평가 = 200
  Ⅰ. 정책분석과 정책평가의 필요성 = 200
  Ⅱ. 정책분석 = 203
  Ⅲ. 정책평가모델 = 207
제7장 정부
 제1절 정부 = 219
  Ⅰ. 국내행정에서 환경구분은 무의미 = 219
  Ⅱ. 정부의 두 가지 의미 = 220
 제2절 국회 = 224
  Ⅰ. 국회의 특성 및 권한 = 224
  Ⅱ. 행정부 통제 = 227
  Ⅲ. 국회 권한의 시간적 특성 = 232
  Ⅳ. 국회 구성원과 시간 = 235
 제3절 대통령 = 236
  Ⅰ. 대통령의 중요성 = 236
  Ⅱ. 대통령 권한의 시간적 특성: 5년 단임제 = 241
  Ⅲ. 청와대: 옥상옥? = 244
 제4절 사법부와 법조계 = 245
  Ⅰ. 분쟁해결기관 = 245
  Ⅱ. 법률체계와 법치주의 = 248
  Ⅲ. 시간과 법 = 252
제8장 지방정부
 제1절 지방거버넌스와 권력 = 261
  Ⅰ. 지방에서의 거버넌스 = 261
  Ⅱ. 중앙권력과 중앙집권 = 262
  Ⅲ. 지방자치개혁 주기: 4-5년 = 264
 제2절 지방의 거버넌스 = 267
  Ⅰ. 공간분할(zoning) = 267
  Ⅱ. 공식적 행위자의 구조 = 273
  Ⅲ. 자치권의 내용 = 277
 제3절 지방자치와 주민참여 = 282
  Ⅰ. 주민참여의 양면성 = 282
  Ⅱ. 대표적 주민참여제도 = 283
  Ⅲ. 주민참여와 새로운 형태 = 287
 제4절 지역갈등과 협력 = 289
  Ⅰ. 지역갈등 = 289
  Ⅱ. 지역협력: 새마을 운동 = 290
제9장 돈에 관한 행정
 제1절 나라의 살림 = 303
  Ⅰ. 정부예산의 중요성 = 303
  Ⅱ. 정부예산의 내용 = 306
  Ⅲ. 예산의 원칙 = 309
  Ⅳ. 예산의 종류 = 312
 제2절 예산의 1년 주기 = 318
  Ⅰ. 회계연도와 세수예측 = 318
  Ⅱ. 예산편성 = 320
  Ⅲ. 예산심의 = 323
  Ⅳ. 예산집행 = 325
  Ⅴ. 예산의 결산 = 328
 제3절 세무행정과 회계 = 330
  Ⅰ. 재원의 동원 = 330
  Ⅱ. 정부회계 = 337
 제4절 단년도 예산제도의 단점 극복 = 344
  Ⅰ. 1년 제도의 문제점 = 344
  Ⅱ. 중기재정계획 = 346
  Ⅲ. 정치적 안정성 = 348
제10장 사람에 관한 행정
 제1절 인사행정의 특수성 = 361
  Ⅰ. 사람의 중요성 = 361
  Ⅱ. 인사권의 중요성 = 362
  Ⅲ. 인사행정의 주요 제도 = 364
  Ⅳ. 공직의 분류 = 369
 제2절 인사행정의 1년 주기 = 372
  Ⅰ. 인사행정업무의 구성활동 = 372
  Ⅱ. 인적자원의 충원 = 374
  Ⅲ. 동기부여 = 378
  Ⅳ. 인적자원의 개발 및 평가 = 383
  Ⅴ. 보상 = 389
  Ⅵ. 공무원의 징계와 권리보호 = 394
 제3절 새로운 인사행정 = 400
  Ⅰ. 시간관점에서의 인적자원관리 = 400
  Ⅱ. 공정성의 문제: 대표관료제 = 406
제11장 조직에 관한 행정
 제1절 행정조직과 시간 = 417
  Ⅰ. 조직의 지속성 = 417
  Ⅱ. 행정조직의 특성 = 419
  Ⅲ. 한국정부조직의 범위 = 421
  Ⅳ. 부처직원의 시간적 안목 = 423
 제2절 한국행정의 조직론적 특성 = 427
  Ⅰ. 정부조직의 구조 = 427
  Ⅱ. 조직구조의 구성요소 = 432
 제3절 조직의 관리 = 441
  Ⅰ. 구조론적 조직관리 = 441
  Ⅱ. 조직행태론적 관리 = 444
  Ⅲ. 조직문화론적 관리 = 445
 제4절 행정조직의 성과관리 = 450
  Ⅰ. 조직성과의 개념 = 450
  Ⅱ. 목표관리제(MBO) = 452
  Ⅲ. 균형성과기록표(BSC) = 453
  Ⅳ. 우리나라의 성과평가제도 = 455
제12장 행정철학과 공공가치
 제1절 '행정'이 추구하는 이상향 = 463
  Ⅰ. 고전의 지혜 = 463
  Ⅱ. 공공성 = 465
 제2절 행정윤리 = 467
  Ⅰ. 접근방법: 내면적 윤리와 외면적 윤리 = 467
  Ⅱ. 내면적 행정윤리 = 469
  Ⅲ. 외면적 윤리: 부패 = 473
  Ⅳ. 한국관료의 윤리 = 476
 제3절 국정철학의 시대적 변화 = 479
  Ⅰ. 이승만 정부: 통치철학의 부재기 = 479
  Ⅱ. 박정희 정부: 효과성 중심의 행정철학 = 480
  Ⅲ. 전두환 정부: 박정희 정부의 연장선 = 481
  Ⅳ. 노태우 정부: 철학의 빈곤기 = 482
  Ⅴ. 김영삼 정부: 민주주의적 행정철학 = 482
  Ⅵ. 김대중 정부: 사회주의적 자본주의 행정철학 = 483
  Ⅶ. 노무현 정부: 형평의 철학 = 484
  Ⅷ. 이명박 정부: 실용주의 = 485
 제4절 사회자본과 신뢰 = 486
  Ⅰ. 사회자본의 중요성 = 486
  Ⅱ. 정부신뢰 = 487
  Ⅲ. 한국사회의 정부신뢰 = 488
  Ⅳ. 정부신뢰의 결정요인 = 489
제13장 정부경쟁력
 제1절 악순환모델 = 501
  Ⅰ. 성장기 행정모델의 한계 = 501
  Ⅱ. 악순환모델 = 503
  Ⅲ. 선순환모델 = 509
 제2절 정부경쟁력 = 513
  Ⅰ. 개념 = 513
  Ⅱ. 정부경쟁력의 국제비교 = 516
  Ⅲ. 시사점 = 519
찾아보기 = 523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