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주(譯註) 우당유고(藕堂遺稿)』서문 / 박형재(朴炯梓) = 17
『역주(譯註) 우당유고(藕堂遺稿)』해제 유고집(遺稿集)의 의미를 헤아려보다 / 김현선(金怰璇) = 20
『우당유고(藕堂遺稿)』초간본 서문 / 윤석원(尹錫元) = 31
卷 一 시(詩)
초가을 덕천정에서(德川亭新秋日卽事) = 35
화개(花開)에서 머물고 있는 김고당(金顧堂)에게 보내며(寄呈金顧堂花開旅案)
효당(曉堂) 김문옥(金文鈺)에게 보내며(呈金曉堂 文鈺)
덕천정에 머문 허후경(許厚卿)의 운(韻)을 차운하며(德川亭留許厚卿韻)
작별하는 장여현(張汝賢)에게 주는 편지를 덕천정사 벗들에게 보여주다(贈別張汝賢因示德川諸友) = 38
김영돈(金永暾)의 족형(族兄) 봉남(鳳南) 정구산(鄭龜山) 운(金永暾族兄鳳南鄭龜山韻)
대신 지은 시(代人作)
센니치마에(千日前)에서(千日前)
효당(曉堂) 하당(荷堂) 고당(顧堂)을 위로하며(寄慰曉堂荷堂及顧堂) = 39
두 장의 편지를 동봉한 하당(荷堂)의 편지를 읽고서(見寄荷堂一封雙牘書感)
천사(川事)의 여러 친구들에게 붙여(寄呈川社諸友)
오산(鰲山)에 올라(登鰲山)
관산(冠山)에 올라 떠오른 생각을 족종(族從) 병수(炳琇)에게 보내다(登冠山懷寄族從炳琇) = 43
회포를 적다(書懷)
해석(海石) 김홍두(金紅斗) 집에 머물머 차운하다(留金丈海石(紅斗)韻)
사벌왕릉(沙伐王陵)에서(沙伐王陵)
삼가정(三佳亭) = 45
화양동(華陽洞)
김효당(金曉堂)의 시에 붙여(附金曉堂詩)
운수장(雲水莊) 벽에 제(題)를 붙이다(題雲水莊壁上)
백운산(白雲山)에 올라(登白雲山) = 47
밤에 허서백(許瑞伯) 집에서 술을 마시며(夜飮許瑞伯家)
수산산장(壽山山庄)에 머물 때 정하당(鄭荷堂) 형이 찾아오다(壽山山庄寓中鄭兄荷堂來訪)
김고당 산장(金顧堂山庄)에 찾아가 머물며(留訪金顧堂山庄)
회강(晦岡), 효당(曉堂), 고당(顧堂)을 배웅하다가 비를 만나 다시 문성재(文星齋)로 들어가 밤을 지내다(送晦岡曉堂顧堂遇雨復入文星齋夜宿) = 49
삼회당(三悔堂) 운을 차운하며(次三悔堂韻)
순천읍에서 양유헌(梁留軒), 송석천(宋石泉), 정청하(鄭靑下), 김효당(金曉堂), 김고당(金顧堂), 단촌(丹村) 정병헌(鄭炳憲)과 함께 운을 붙이다(順川邑與梁留軒宋石泉鄭靑下金曉堂金顧堂鄭丹村炳憲韻)
순천읍 수성당(壽星堂)에서 송소파(宋小波) 송설주(宋雪舟) 형제를 모시고 운을 붙이다(順川邑壽星堂陪宋小波雪舟兄弟韻)
밀양(密陽) 변고산(卞鼓山) 수신(壽辰)에(密陽卞鼓山壽辰) = 51
연자루(燕子樓)
암서와(巖棲窩)
경주(慶州) 김공(金公)의 효행을 기리며(慶州金公孝行)
조국의 평화통일을 기원하며(願祖國平和統一) = 53
우(又)
모명재(慕明齋)
김공효행실기(金公孝行實記) 운에 붙여(金公孝行實記韻)
삼회당(三悔堂) = 55
통일전(統一殿) 건립을 축하하며(祝統一殿建立)
망우당(忘憂堂) 동상(忘憂堂銅像)
추도(追悼)
칠석(七夕) = 57
광한루(廣寒樓)
이른 봄(早春)
봄비(春雨)
처녀 어부(處女漁夫) = 59
설악산에 올라(登雪嶽山)
늦가을 쌍계사에서 놀다(晩秋遊雙溪寺)
늦은 봄의 시부(詩賦)가 강관(江關)을 뒤흔드네(暮春詩賦動江關)
칠백의총(七百義塚)을 추모하며(追慕七百義塚) = 61
초여름 녹음산장(綠陰山莊)에서 노닐다(首夏遊綠陰山莊)
송광사에 놀러 와서(遊松廣寺)
화엄사에서 봄을 보내며(餞春華嚴寺)
설악사 가는 길에(雪嶽山途中) = 63
봄날 금오암(金鰲菴)에 놀러 오다(春日遊金鰲菴)
우(又)
금산사(錦山寺)로 놀러 오다(遊錦山寺)
진양성(晉陽城)에서 봄을 보내며(餞春于晉陽城) = 65
정포은(鄭圃隱) 선생의 시를 차운하다(次鄭圃隱先生詩)
부여에서 회고하며(扶餘懷古)
여름날 증심사(證心寺)에 놀러 와서(夏日遊證心寺)
우(又) = 67
의재(義齋) 조남국(曺南梮) 운에 붙여(附曺義齋(南梮)韻)
화엄사(華嚴寺)에 놀러 와서(遊華嚴寺)
단풍을 감상하며(賞楓)
봄에 부산 태종대(太宗臺)에 놀러 와서(春遊釜山太宗臺) = 69
늦가을에(晩秋卽事)
초여름 부안 변산 적벽(赤壁)을 유람하다(初夏遊扶安邊山赤壁)
흥국사(興國寺)에서 더위를 피하다(避暑興國寺)
천사(川社)에서 야화(夜話)를 나누며(川社夜話) = 71
여기 머물면서 동사(同社)의 벗들에게 보내다(留贈同社諸友)
추동(楸洞) 시사(詩社)로 달려가 술잔을 나누며(赴飮楸洞詩社)
효당(曉堂)을 추억하며 매천(梅泉)의 시를 차운하다(次梅泉詩憶曉堂)
지모재(持慕齋) = 73
근재(謹齋) 이돈모(李敦模) 어른을 추모하며(追挽謹齋李丈敦模)
모경(某卿)의 회갑을 축하하며(賀某卿回巹)
일본에서 경산중해(鏡山重海)와 작별하면서(贈別鏡山重海日本)
일본에 있는 매제 양혜승(梁惠承)으로부터 올림픽 관람 초대를 받아 김포공항을 떠나며(梁妹惠承在日本招余觀五輪會以航空發金浦) = 74
성암(聖庵) 위성택(魏聖澤)과 함께 이코마 산(生駒山) 해동시사(해동시사)를 찾다(與魏聖庵(聖澤)赴生駒山海東詩社)
닛코 산 유람길에 혜승이 가족들을 데려와 함께하며(遊日光山惠承率妻兒偕焉)
혜승(惠承)에게 보내다(贈惠承)
양매(梁妹)에게 보내다(贈梁妹) = 76
여러 조카들에게 보내다(贈諸甥)
도쿄에 놀러 와서(贈東京)
도쿄 서촌(西村) 수원지(水源池)에 놀러 와서(遊東京西村水源池)
삼가정(三佳亭) 벽에 쓰다(題三佳亭壁上) = 77
초가을 지모재(持慕齋) 모임에 달려가다(新凉赴持慕齋會)
속리산 법주사에 놀러 와서(遊俗離山法住寺)
촉석루에 올라(登矗石樓)
5월 9일 비에 대하여 이야기하다(五月九日話雨) = 78
염매시(拈梅詩)
사벌왕(沙伐王) 신도비(神道碑) 건립시를 추차(追次)하며(追次沙伐王神道碑建立詩)
경주(慶州)
숙모전(肅慕殿) = 80
칠불사(七佛寺)
봉양사(鳳陽祠)
금산사(金山寺)에서의 생각을 적어보다(過金山寺書懷)
5월 농가에서(五月農家) = 82
우당(雨棠) 족장의 수연(壽筵)을 뒤늦게 축하하며(追賀雨棠族丈壽筵)
정사년 가을, 십노회(十老會) 벗들과 함께 하회 유씨(柳氏) 농막에 거하다(丁巳秋同十老會諸友宿河回柳氏庄)
기미년1979 봄, 다시 제주도를 유람하다(己未春再遊濟州)
천지연 폭포(天地淵瀑布) = 84
한라산(漢拏山)
기미년 초여름 송암(松庵) 황팽현(黃彭鉉) 농막에 들러서(己未初夏過黃松庵庄 彭鉉)
홍도(紅島)
고수동굴(高叟洞窟) = 85
한의약(漢醫藥)
포항에서 석유가 용출한 것을 축하하며(祝浦項石油湧出)
박선오(朴善俉) 집안 대인(大人)의 중혼(重婚)을 축하하며(賀朴善俉家大人重婚)
십노사(十老社) 회원들이 화엄사로 피서 와서(十老社員華嚴寺避暑) = 87
효부비(孝婦碑) 건립을 감하하며(賀感孝婦碑建立)
일찍이 권용당(權庸堂)이 선암사에 있기에 조의재(曺義齋)와 함께 찾아가 하룻밤을 묵다(權庸堂會有仙岩寺約來訪與曺義齋同行一宿)
대곡 선생(大谷先生)의 문집을 읽고서(讀大谷先生文集有感)
혼자 밤에 글을 읽다가(獨夜書懷) = 89
김효당(金曉堂)에게 부치다(寄贈金曉堂)
숭성전(崇聖殿)을 추모하며(追慕崇聖殿)
수원성곽 복원을 기념하여(水原城廓復元記念)
청명(淸明) 하루 전날에 서한원(徐漢元)이 찾아오다(淸明前一日徐漢元見訪) = 91
늦봄에 감흥이 일어(暮春感興)
가슴속 회포를 펼치다(遣懷)
봄날 산루(山樓)에서 모이다(春日山樓小集)
늦봄에 읍선재(揖仙齋)에서 만나(暮春會于揖仙齋) = 93
효당(曉堂)을 추모하며(追挽曉堂)
산촌에서(山村卽事)
귀가하던 밤에 물을 대며(歸家夜灌水)
최신재(崔新齋) 선생 묘에 들러(過崔新齋先生墓) = 95
늦여름 문성재(文星齋) 모임에서(季夏會于文星齋)
밤에 서산정(西山亭)에서 만나(夜會西山亭)
가을 밤(秋夜)
추야잡영(秋夜雜咏) = 97
여름날 월곡(月谷)에서 만나(夏日會于月谷)
한 해가 저물어갈 무렵에(歲晩)
백운암(白雲菴)
늦겨울 조양서실(朝陽書室)에서 만나(季冬會于朝陽書室) = 99
유거(幽居)를 술회하며(幽居述懷)
한식날 여행 중에 감회가 있어(寒食旅中有懷)
봄날(春日)
맒게 갠 여름날(夏晴) = 101
산에서 지내며(山居)
가을날 문산재(文山齋)에서 만나(秋日會于文山齋)
여름날 서산정(西山亭)에서 만나(夏日會于西山亭)
늦가을 월곡(月谷)에서 만나(季秋會于月谷) = 103
옛집을 새로 고치며(古家新築)
늦겨울 설매산재(雪梅山齋)에서 만나(季冬會于雪梅山齋)
늦은 봄 문우재(文友齋)에서 만나(暮春會于文友齋)
문산재(文山齋)에서 만나 시를 읊다(文山齋會吟) = 105
월곡(月谷)에서 만나(會于月谷)
세밑에 문우재(文友齋)에서 만나(歲暮會于文友齋)
가을날 친구들과 만나서(秋日會友人)
구상리(九上里) 생산관(生産館) 벽에 제(題)를 붙이며(題九上里生産館壁上) = 107
卷 二 서(書)
집에 올리는 서신(上家庭書) = 111
4종형(四從兄) 완재(緩齋) 선생께(上四從兄緩齋先生) = 112
율계(栗溪) 선생께(上栗溪先生) = 114
율계(栗溪) 선생께(上栗溪先生) = 115
석전(石田) 황원(黃先) 선생께(上石田黃先生瑗) = 116
효당(曉堂) 김성옥(金聖玉)에게(與曉堂金聖玉) = 118
효당(曉堂)에게(與曉堂) = 119
고당(顧堂) 김경로(金景魯)에게(與顧堂金景魯) = 122
친구에게 술을 금할 것을 권유하는 편지(勸友人止酒書) = 124
卷 三 행장(行狀)ㆍ잡저(雜著)
행장(行狀)
완재(緩齋) 선생 행장(行狀) = 129
솔성재(率性齋) 선생의 유고(遺稿) 중간(重刊) 후서(後敍) = 132
효당문집(曉堂文集) 중간(重刊) 발(跋) = 134
전고문헌(典故文獻) 중간(重刊) 후서(後敍) = 135
상주박씨(尙州朴氏) 세보서(世譜序) = 136
사벌왕(沙伐王) 신도비각(神道碑閣) 건립사실기(建立事實記) = 139
잡저(雜著)
천상문답(川上問答) = 142
가르침을 주신 말씀은(來諭是) = 145
붕우(朋友)가 오륜(五倫)에 포함된 이유를 논하다(朋友參五倫說) = 147
앙모회(仰慕會)를 경하하며(敬賀仰慕會) = 149
卷 四 부록(附錄)
희양(希陽)으로 돌아가는 박래선(朴來善)을 보내며 – 율계(栗溪) 선생 = 153
박래선(朴來善)에게 주는 서(序) - 효당(曉堂) 김문옥(金文鈺) = 155
박래선의 별지(別紙)에 답하다 – 율계(栗溪) 선생 = 157
오언율시 2절을 보내다 - 율계(栗溪) 선생 = 162
박래선(朴來善) 군이 천 리 길을 멀다 않고 나를 찾아와 함께 속리산 천석(泉石) 상이세서 음영(吟詠)하다가 이별에 임해 율시 한 수를 짓다 – 효당(曉堂) 김문옥(金文鈺) = 163
박래선에게 화답하며 – 하당(荷堂) 정하종(鄭河鐘) = 164
우당(藕堂)에게 보내는 오언고시(五古) - 굴천(屈川) 이일해(李一海) = 164
수생당기(壽牲堂記) - 청하(靑下) 정형택(鄭迥澤) = 165
제문(祭文) 일청(一靑) 김형재(金亨在) = 166
우(又) 만취(晩翠) 위계도(魏啓道)
우(又) 진원(珍原) 박종주(朴淙柱)
우(又) 문인 일동
우(又) 남평(南平) 문성갑(文聖甲)
우(又) 족질(族姪) 병하(炳夏) 문중(門中)을 대표하여 짓다
만사(輓詞) - 의재(義齋) 조남국(曺南梮)
우(又) 6수(六首) - 겸산(兼山) 안병탁(安秉柝)
우(又) 강헌(剛軒) 허영재(許永栽)
우(又) 족질(族姪) 병하(炳夏)
우(又) 행원(杏園) 문옥채(文玉采)
우(又) 안동(安東) 권녕집(權寧執)
우(又) 진원(珍源) 박형재(朴炯梓)
우(又) 경주(慶州) 정기윤(鄭基潤)
우(又) 성주(星州) 배병선(裵炳善)
우(又) 문인(門人) 박종주(朴淙柱)
우(又) 문인(門人) 임재호(林在鎬)
우(又) 배찬휴(裵瓚烋)
우당거사(藕堂居士) 묘갈명(墓碣銘) - 일청(一靑) 김형재(金亨在) = 179
선고(先考) 우당부군(藕堂府君) 가장(家狀) 불초(不肖) 일남(一男) 형배(炯培) = 182
『藕堂遺稿』발(跋) - 박기용(朴麒容) = 184
춘강(春岡) 정용재(鄭容材) = 186
우당(藕堂) 상주(尙州) 박공(朴公) 휘(諱) 영모(令模) 묘갈명(墓碣銘) 성균관(成均館) 부관장(副館長) 박형재(朴炯梓) = 187
『藕堂遺稿』초간본 = 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