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교육복지의 논의 : 쟁점, 과제 및 전망 = issues, challenges and prospects

교육복지의 논의 : 쟁점, 과제 및 전망 = issues, challenges and prospects (Loan 13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박주호, 편
Title Statement
교육복지의 논의 : 쟁점, 과제 및 전망 = Education welfare : issues, challenges and prospects / 박주호 편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박영story,   2014  
Physical Medium
x, 298 p. : 도표 ; 24 cm
ISBN
9791185754093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22428
005 20150205160458
007 ta
008 150204s2014 ulkd b 001c kor
020 ▼a 9791185754093 ▼g 93370
035 ▼a (KERIS)BIB000013669651
040 ▼a 211006 ▼c 211006 ▼d 211009
082 0 4 ▼a 379.519 ▼2 23
085 ▼a 379.53 ▼2 DDCK
090 ▼a 379.53 ▼b 2014z2
245 0 0 ▼a 교육복지의 논의 : ▼b 쟁점, 과제 및 전망 = ▼x Education welfare : ▼b issues, challenges and prospects / ▼d 박주호 편저
260 ▼a 서울 : ▼b 박영story, ▼c 2014
300 ▼a x, 298 p. : ▼b 도표 ; ▼c 24 cm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700 1 ▼a 박주호, ▼e▼0 AUTH(211009)82755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9.53 2014z2 Accession No. 111730691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4-02-19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부 교육복지의 논쟁과 이론적 기초
 제1장 교육복지의 등장과 개념적 쟁점 = 3
  1. 정부정책으로서 교육복지의 등장 = 3
  2. 교육복지의 개념적 쟁점 = 7
  3. 생애발달 지원을 위한 교육복지 = 14
 제2장 학교사회복지와의 관계 쟁점 = 21
  1. 학교사회복지의 개관 = 21
   1) 학교사회복지의 개념 = 21
   2) 학교사회복지제도의 출현과 발전 과정 = 23
   3) 학교사회복지 구성요소와 학교사회복지사의 기능 = 27
  2. 학교사회복지 실행모델 = 28
  3. 학교사회복지와 교육복지 관계 = 30
 제3장 보편적ㆍ선별적 교육복지 논쟁 = 34
  1. 서론 = 34
  2. 교육복지 지원기준 관점의 차이 = 37
   1) '상대적 격차의 해소'로서 교육복지 = 38
   2) '최소한의 절대적 수준 보장'으로서 교육복지 = 40
   3) 교육복지의 경제학적 접근: 교육후생함수 = 43
  3. 교육복지 지원기준 논쟁의 재구성 = 47
   1) 새로운 교육복지의 지원기준 탐색 = 47
   2) 대상에서 내용 중심으로 교육복지의 패러다임 전환 = 51
   3) 교육복지 내용과 최소한 절대적 수준의 개념 정립 = 52
   4) 교육복지 대상의 확대 = 55
  4. 향후 교육복지의 실현 방향 = 57
 제4장 교육복지의 철학적 토대 탐색 = 64
  1. 교육복지의 목적 및 가치 기반 이론 = 65
   1) 인권보장으로서의 교육 = 65
   2) 교육에서 평등성과 형평성 = 69
  2. 교육복지를 위한 자원 배분 관점 = 74
   1) 공리주의 관점의 정의론 = 75
   2) 자유주의 관점의 정의론 = 76
   3) Rawls의 사회정의론 = 78
  3. 교육복지 서비스 이행의 기반 이론 = 80
   1) 사회자본 이론 = 80
   2) 공동체 이론 = 85
   3) 생태체제 이론 = 89
제2부 대상별 교육복지의 필요성과 추진 현황
 제5장 저소득층에 대한 교육복지 서비스 = 101
  1. 빈곤과 교육문제 = 101
   1) 빈곤 및 소득격차와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 101
   2) 빈곤이 아동의 심리 및 정서 발달에 미친 영향 = 105
  2. 빈곤에 따른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복지 필요 = 107
  3. 저소득층 대상 교육복지 사업 = 109
   1) 사업 개요 = 109
   2) 사업 현황 = 110
 제6장 다문화 자녀에 대한 교육복지 서비스 = 119
  1. 다문화 사회의 도래 = 119
  2. 다문화 가정 자녀의 교육적 취약성 = 121
  3. 다문화 가정 자녀 대상 교육복지 사업 = 127
   1) 사업 개요 = 127
   2) 사업 현황 = 128
 제7장 농어촌 지역에 대한 교육복지 서비스 = 140
  1. 지역 간 교육격차 = 140
  2. 농어촌 지역의 교육적 취약 실태와 원인 = 145
  3. 농산어촌 지역 대상 교육복지 = 150
   1) 사업 개요 = 150
   2) 사업 현황 = 151
 제8장 학교 부적응자에 대한 교육복지 서비스 = 160
  1. 학교부적응 문제 = 160
  2. 학교부적응 양상과 부적응 학생의 특징 = 163
  3. 학교부적응을 야기하는 원인 = 164
   1) 환경적 요인 = 164
   2) 개인적 요인 = 166
  4. 학교 부적응자 지원 교육복지 사업 = 167
   1) 사업 개요 = 167
   2) 사업 현황 = 168
제3부 성공적 교육복지 실현을 위한 과제
 제9장 교육복지에 대한 학교관계자의 인식 제고 = 181
  1. 교육복지 개념 인식의 중요성 = 181
  2. 교육복지 목적 및 지원 기준의 인식 = 184
  3. 교육복지 지원 대상에 대한 인식 = 190
  4. 교육복지 서비스 내용에 대한 인식 = 194
  5. 교육복지의 인식 제고를 위한 제언 = 201
 제10장 교육 취약계층 학생의 특성 이해 = 204
  1. 교육복지 대상 이해의 중요성 = 204
  2. 교육 취약계층 학생의 인지적 특성 = 207
   1) 학업성취도 = 207
   2) 학습전략 = 208
  3. 교육 취약계층 학생의 정의적 특성 = 209
   1) 학습동기 = 209
   2) 자기효능감 = 212
  4. 교육 취약계층 학생의 행동적 특성 = 213
   1) 결석, 지각 및 조퇴 행동 = 213
   2) 노력과 끈기 및 학습자원 관리 행동 = 214
 제11장 교육복지 전달체계의 효율성 제고 = 218
  1. 교육복지 전달체계의 개념 = 218
  2. 주요 교육복지 사업의 전달체계 = 220
  3. 교육복지 전달체계의 문제점 = 228
  4. 교육복지 전달체계의 중복, 편중 및 사각지대 = 231
   1) 사업 구성체제 면에서 중복과 편중 = 231
   2) 사업 구성체제 면에서 야기된 사각지대 = 234
   3) 중복과 편중, 사각지대에 대한 관계자 실증 조사 = 238
  5. 교육복지 전달체계 효율화를 위한 제언 = 239
 제12장 학교와 지역사회 간의 연계ㆍ협력 강화 = 244
  1. 교육복지 자원으로서 지역사회 = 244
  2.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ㆍ협력의 당위성 = 246
  3. 학교와 지역사회 파트너십 강화를 위한 요건 = 249
제4부 교육복지 모형 탐색과 전망
 제13장 복지국가 유형에 따른 교육복지의 제도적 모형 = 257
  1. 서론 = 257
  2. 교육의 사회정치적 목적과 교육복지 = 259
  3. 복지국가 유형과 교육복지 = 263
  4. 스웨덴, 독일, 미국의 사례 = 267
  5. 한국의 교육복지 정책에 대한 함의 = 273
 제14장 한국형 교육복지 모형 구축을 위한 제언 = 279
  1. 교육복지의 목적 = 280
  2. 교육복지 지원 대상 = 282
  3. 교육복지 서비스 내용 및 범위 = 283
  4. 교육복지 서비스 이행 주체 = 286
  5. 교육복지 자원 확충 = 288
  6. 교육복지 전달체계의 효율화 = 290
찾아보기 = 29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