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22420 | |
005 | 20150205151341 | |
007 | ta | |
008 | 150204s2014 ulka b 000c kor | |
020 | ▼a 9788927908722 ▼g 93900 | |
035 | ▼a (KERIS)BIB000013660466 | |
040 | ▼d 222001 ▼d 222001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55.009519 ▼2 23 |
085 | ▼a 355.00953 ▼2 DDCK | |
090 | ▼a 355.00953 ▼b 2014z2 | |
100 | 1 | ▼a 오종록 ▼g 吳宗祿, ▼0 AUTH(211009)41725 |
245 | 1 0 | ▼a 조선초기 양계의 군사제도와 국방 / ▼d 오종록 |
260 | ▼a 서울 : ▼b 국학자료원, ▼c 2014 | |
300 | ▼a 470 p. : ▼b 삽화 ; ▼c 23 cm | |
440 | 0 0 | ▼a 韓國史硏究叢書 ; ▼v 76 |
500 | ▼a 이 책은 저자의 박사학위논문인 '조선초기 양계의 군사제도와 국방체제'와 이어서 쓴 논문인 '조선초기의 국방정책'을 합쳐서 만든 것임 | |
504 | ▼a 참고문헌: p. 465-470 | |
740 | 2 | ▼a 조선초기 양계의 군사제도와 국방체제 |
740 | 2 | ▼a 조선초기의 국방정책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55.00953 2014z2 | Accession No. 111730683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55.00953 2014z2 | Accession No. 11183355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55.00953 2014z2 | Accession No. 15132902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55.00953 2014z2 | Accession No. 111730683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55.00953 2014z2 | Accession No. 11183355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55.00953 2014z2 | Accession No. 15132902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조선초기 동안 국제질서 및 국내정치의 변화와 상호 연관 속에서 양계 현지의 군사제도와 국방체제가 어떠한 변화를 겪어 <경국대전> 단계의 내용으로 정착하였는지를 밝힌다.
양계 곧 지금의 평안도·함경도 지역은 중국 및 여진족과의 국경지역에 위치한 까닭에 강력한 군사적 성격을 지닌 곳이었다. 조선이 건국할 무렵에는 원·명 교체에 따라 일어난 국제질서 개편의 소용돌이가 채 가라앉지 않은 상태에 있었고, 중국 북방에서 몽골의 움직임이 있을 때마다 그들의 침입에 대비하여 양계의 국방 태세를 새로이 갖추곤 하였다.
한편 조선 건국 후 북방의 영토를 꾸준히 확장한 결과 여진족의 잦은 침입을 받았던 곳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까닭에 조선초기 동안 때로는 몽골 또는 명의 위협에 대비하여, 때로는 여진족의 침구에 대비하여 국방정책이 수립되고 양계의 국방체제가 운영되었다. 토착 지배구조 및 지방통치체제의 변화와 상호 연관 속에서 양계 현지의 군사제도 또한 변화하였다.
양계의 군사제도는 고려말엽부터 조직된 익군체제를 바탕으로 하여, 그 위에 수령이 겸임하는 병마단련직을 통해 병력을 징발하고, 이를 국경지역에 파견된 병마사나 병마절제사, 최종적으로는 도 단위로 파견된 병마도절제사가 지휘하는 체제로 운영되었다. 한편 대규모 적침에 대해서는 국경 지역에서 서울로 이어지는 교통로를 따라 배치된 주요 성곽을 중심으로 입보체제를 편성하여 대비하였다. 그러나 국제정세가 안정을 찾고 영토 확장에 따른 여진족과의 대립이 항상적인 위험 요인으로 대두함에 따라 국방정책도 바뀌었다. 결국 진관체제 시행 이후 다시금 국경지역 중심 방어체제가 강화되고, 중앙에서 파견된 군사 지휘관도 더 늘게 되었다. 그 결과 군사제도와 국방체제 운영에서 토착 지배구조에 의존하는 비중이 현저히 줄어들고, 중앙 권력의 직접적 통제가 강화되었다. 양계의 병력은 기병 중심으로 편성되어 현지의 특성에 맞추어 운영되었고, 열악한 사회경제적 조건 때문에 토지 소유 상황보다 장정의 수가 군호 편성에서 중심 기준으로 적용되었다.
이 책은 조선초기 동안 국제질서 및 국내정치의 변화와 상호 연관 속에서 양계 현지의 군사제도와 국방체제가 어떠한 변화를 겪어 <경국대전> 단계의 내용으로 정착하였는지를 밝힌 점에 의미가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오종록(지은이)
고려대학교 사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그 사이에 민족문화추진회 국역연수원 연수부를 수료하였다. 여러 대학의 사학과, 한국사학과, 역사교육과, 한문학과 강의를 하였고, 고려대 연구교수와 성신여대 사학과 교수를 지냈다. 주로 조선시대의 군사제도와 정치를 연구하여 『조선초기 양계의 군사제도와 국방』, 『여말선초 지방군제 연구』, 『한국 한문사료 해석 연구』를 펴냈고, 한국역사연구회에서 활동하며 공동연구성과로 『조선정치사 1800~1863』(상, 하), 『조선중기 정치와 정책-인조~현종 시기-』 등을 냈고, 『한국역사 속의 전쟁』,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1, 2) 등 여러 책에 공저자로 참여하였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책머리에 제Ⅰ장 서론 제Ⅱ장 양계의 병마절도사 제1절 양계 병마절도사제의 성립 = 29 1. 전임병마도절제사의 파견 = 29 2. 사군과 육진 개척 시기의 양계 병마도절제사 = 40 3. 양계 병마절도사제의 확립 = 57 제2절 양계 병마절도사의 기구 = 72 1. 양계 병사의 막료와 군관 = 72 2. 양계의 병영과 행영 = 84 제3절 양계 병마절도사제의 운영 = 97 1. 양계 병사의 임무와 권한 = 97 2. 양계 병사의 임용 = 108 3. 양계 병사에 대한 지휘ㆍ감독 = 113 제4절 맺음말 = 122 제Ⅲ장 양계의 군익도와 국방 제1절 조선 건국초의 군익도 재편 = 133 1. 고려말 양계의 행정ㆍ군사조직 = 133 2. 조선 건국초의 영역 확대와 행정조직 정비 = 143 3. 군익도별 중ㆍ좌ㆍ우익 분속체제의 성립 = 153 제2절 군익도의 군사지휘체계와 토관제 = 162 1. 병마절제직과 병마단련직 = 162 2. 각 익과 각 고을의 천호ㆍ백호ㆍ통주 = 177 3. 군익도와 토관제 = 188 제3절 군익도 중심 국방체제의 형성과 변화 = 199 1. 산성과 읍성의 축조 = 199 2. 군익도와 국방 및 입보체제 = 206 3. 변진 증설과 군익도 기능의 변화 = 217 제4절 맺음말 = 230 제Ⅳ장 양계 진관체제와 국방 제1절 국경지역 중심 국방체제의 형성 = 239 1. 양계 변진의 설치와 증설 = 239 2. 만호구자의 신설과 증치 = 246 3. 국경지역 중심 국방체제의 운영 = 252 제2절 내륙 국방의 강화와 진관체제의 성립 = 259 1. 국경지역 변진의 감축과 내륙 국방의 강화 = 259 2. 양계 진관체제의 성립 = 267 제3절 국경지역 중심 진관체제로의 개편과 운영 = 277 1. 병마첨사의 신설과 병마첨사ㆍ만호의 증치 = 277 2.『경국대전』에 수록된 양계 진관체제의 내용 = 286 3. 국경지역 진관체제의 구조와 운영 = 296 제4절 맺음말 = 322 제Ⅴ장 양계의 병종과 군역 제1절 양계의 병종 = 331 제2절 익군의 구성과 군역 = 339 1. 익군의 규모와 구성 = 339 2. 익군의 군호 편성 = 351 3. 익군의 군역 내용 = 365 제3절 수군과 시위군의 군역 변화와 갑사의 부방 = 378 1. 수군의 군역 변화 = 378 2. 시위군의 군역 변화 = 387 3. 양계 갑사의 국방군화 = 395 제4절 맺음말 = 413 제Ⅵ장 결론 1. 군사제도와 국방체제, 군역체계의 변천 = 431 2. 국방정책의 변천 = 446 3.『경국대전』단계의 군사제도와 국방체제 = 459 參考文獻 = 4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