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22154 | |
005 | 20181115113731 | |
007 | ta | |
008 | 150204s2014 ulka 001c kor | |
020 | ▼a 9788956684284 (v.1) ▼g 94190 | |
020 | ▼a 9788956684277 (v.2) ▼g 94190 | |
020 | ▼a 9788956684260 (v.3) ▼g 94190 | |
020 | ▼a 9788956684253 (v.4) ▼g 94190 | |
020 | ▼a 9788956684246 (v.5) ▼g 94190 | |
020 | 1 | ▼a 9788956684291 (전5권) |
035 | ▼a (KERIS)BIB000013521327 | |
040 | ▼a 211032 ▼c 244007 ▼d 244007 ▼d 211009 | |
041 | 1 | ▼a kor ▼h jpn |
082 | 0 4 | ▼a 372.4 ▼2 23 |
085 | ▼a 372.4 ▼2 DDCK | |
090 | ▼a 372.4 ▼b 2014z1 | |
110 | ▼a 朝鮮總督府 | |
245 | 1 0 | ▼a 普通學校國語讀本 : ▼b 第二期 한글번역 / ▼d 조선총독부 편찬 ; ▼e 김순전, ▼e 박장경, ▼e 김현석 譯 |
246 | 0 9 | ▼a 普通學校國語讀本 |
246 | 3 | ▼a 제2기 한글번역 |
246 | 3 | ▼a Futsū gakkō kokugo-dokuhon |
260 | ▼a 서울 : ▼b 제이앤씨, ▼c 2014 | |
300 | ▼a 책 : ▼b 삽화 ; ▼c 23 cm | |
500 | ▼a 조선총독부 편찬(1923~1924) | |
500 | ▼a 색인수록 | |
505 | 0 | ▼a 1. 1, 2학년용 (315 p.) -- 2. 3학년용 (254 p.) -- 3. 4학년용 (265 p.) -- 4. 5학년용 (281 p.) -- 5. 6학년용 (310 p.) |
700 | 1 | ▼a 김순전 ▼g 金順槇, ▼d 1953-, ▼e 역 |
700 | 1 | ▼a 박장경 ▼g 朴長庚, ▼d 1950-, ▼e 역 |
700 | 1 | ▼a 김현석 ▼g 金鉉焬, ▼e 역 |
910 | 0 | ▼a Chosen Sotokufu, ▼e 편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2.4 2014z1 1 | 등록번호 11173300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2.4 2014z1 2 | 등록번호 11173300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2.4 2014z1 3 | 등록번호 11173300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2.4 2014z1 4 | 등록번호 11173300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2.4 2014z1 5 | 등록번호 11173056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본서 朝鮮總督府 編纂 第二期 <普通學校國語讀本>은 문화정치를 표방한 초등교육의 텍스트였지만 일제의 정치적 목적에 의해 편찬된 第一期 <普通學校國語讀本>과 크게 다르지 않은 초등교과서로, 조선인을 일제가 의도하는 천황의 신민으로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편찬된 초등학교용 교과서라 할 수 있다.
第二期 <普通學校國語讀本>은 그 구성면에서 第一期에 비해 유화적인 면을 엿볼 수 있다. 먼저 삽화를 보면 군복차림의 선생님을 제시하여 위압적인 분위기를 조장하였던 1기에 비해, 2기에서는 모두 말쑥한 양복차림으로 등장하여 한층 유화적인 분위기로 변화하였고, 당시 식민지 교육정책이 그대로 반영되어 ‘일시동인’과 ‘내지연장주의’에 의한 동화정책을 꾀하는 한편 내부적으로는 실업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여기에 국민으로서의 성격함양을 추구하는 내용을 여러 각도로 제시하여 동화교육을 실행해 나가는 한편, 실생활에 必修한 실용교육을 가정 및 사회생활 교육과 농업, 공업, 상업 등으로 연결되는 실업교육에 관련된 내용을 수록함으로써 식민지 교육목적에 부합하는 국민양성에 힘썼음을 알 수 있다.
일제강점기 조선아동용 일본어 입문 교과서인 <普通學校國語讀本>에 대한 재조명은 ‘일본이 조선에서 일본어를 어떻게 가르쳤는가?’를 실제로 보여주는 작업이 될 것이며, 또한 이 시대를 사는 우리들이 과거 긴박했던 세계정세의 흐름을 돌아봄으로써 오늘날 급변하는 세계에 대처해 나갈 능력을 키울 수 있으리라고 본다.
본서 朝鮮總督府 編纂 第二期 <普通學校國語讀本>은 문화정치를 표방한 초등교육의 텍스트였지만 일제의 정치적 목적에 의해 편찬된 第一期 <普通學校國語讀本>과 크게 다르지 않은 초등교과서로, 조선인을 일제가 의도하는 천황의 신민으로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편찬된 초등학교용 교과서라 할 수 있다.
第二期 <普通學校國語讀本>은 그 구성면에서 第一期에 비해 유화적인 면을 엿볼 수 있다. 먼저 삽화를 보면 군복차림의 선생님을 제시하여 위압적인 분위기를 조장하였던 1기에 비해, 2기에서는 모두 말쑥한 양복차림으로 등장하여 한층 유화적인 분위기로 변화하였고, 당시 식민지 교육정책이 그대로 반영되어 ‘일시동인’과 ‘내지연장주의’에 의한 동화정책을 꾀하는 한편 내부적으로는 실업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여기에 국민으로서의 성격함양을 추구하는 내용을 여러 각도로 제시하여 동화교육을 실행해 나가는 한편, 실생활에 必修한 실용교육을 가정 및 사회생활 교육과 농업, 공업, 상업 등으로 연결되는 실업교육에 관련된 내용을 수록함으로써 식민지 교육목적에 부합하는 국민양성에 힘썼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일제강점기 조선의 초등학교에서 사용되었던 朝鮮總督府 編纂 <普通學校國語讀本>(1923~1924) 번역서를 정리하여 발간하는 일은 한국근대사 및 일제강점기 연구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필수적 사항이다. 이는 그동안 사장되었던 미개발 자료의 일부를 발굴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해 놓는 일의 출발로서 큰 의의가 있을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순전(엮은이)
전남대학교 일어일문학과 교수, 한일비교문학·일본근대문학 전공 ①논문:「일본문학에서 보여지는 교육사」, 『일어일문학』 23집, 대한일어일문학회, 2004년 8월 외 50여 편 ②저서:『韓日 近代小設의 比較文學的 硏究』, 태학사, 1998년 10월 ③저서:『수신하는 제국』--明治·大正期 『尋常小學修身書』 연구, 제이앤씨, 2004년 11월 ④편역:『日本尋常小學修身書』上·下 2권, 제이앤씨, 2005년 9월 ⑤편역: 조선총독부 『초등학교수신서』 上·下 2권, 제이앤씨, 2006년 9월 ⑥번역:『일본 초등학교 수신서』 Ⅰ·Ⅱ·Ⅲ·Ⅳ·Ⅴ 5권, 제이앤씨, 2005년 8월 ⑦번역: 조선총독부 『초등학교수신서』 Ⅰ·Ⅱ·Ⅲ·Ⅳ·Ⅴ 5권, 제이앤씨, 2007년 7월
박장경(엮은이)
전주대학교 일본언어문화학과 교수.
김현석(엮은이)
광주대학교 일본어학과 교수.

목차
1권 서문 卷一 (1학년 1학기, 1923) 卷二 (1학년 2학기, 1923) 卷三 (2학년 1학기, 1923) 卷四 (2학년 2학기, 1923) 찾아보기 2권 서문 卷五 (3학년 1학기, 1923) 卷六 (3학년 2학기, 1923) 찾아보기 3권 序文 卷七(4학년 1학기, 1924) 제1 학급회의 제2 문어문(文語文)/ 진달래/ 물 제3 세계 제4 복사꽃 제5 두개의 힘 제6 이탄지(李坦之) 제7 사과밭 제8 조선의 소 제9 소를 사기까지 제10 이상한 마차 제11 가로수 제12 여행 제13 압록강 철교 제14 낚시 제15 벼멸구 제16 금관 제17 느티나무 제18 아이와 작은 새 제19 약수와 온천 제20 아름다운 뿔 제21 짐수레 밀기 제22 만주(滿州) 제23 연락선을 탄 아들의 편지 제24 전화 제25 도쿄 대지진 제26 아베가와강의 의로운 인부 卷八(4학년 2학기, 1924) 제1 황대신궁(皇大神宮) 제2 일요일 제3 들국화 제4 편지 제5 양자강(揚子江) 제6 고호 제7 도서관 제8 석굴암 제9 농산물 품평회 제10 조선인삼 제11 시장 제12 히노와 개성 제13 구조선 제14 해신과 달신 제15 면사무소 제16 노기대장 제17 삼한사온 제18 눈 내린 아침 제19 대삼림 제20 일본해 제21 신포의 명태어장 제22 분업 제23 한식일 제24 황태자 전하의 해외 순방 제25 스가와라노 미치자네 제26 하늘을 헤매다 찾아보기 4권 서문 卷九 (5학년 1학기, 1924) 卷十 (5학년 2학기, 1924) 찾아보기 5권 서문 卷十一 (6학년 1학기, 1924) 卷十二 (6학년 2학기, 1924)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