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22139 | |
005 | 20150204154418 | |
007 | ta | |
008 | 150204s2014 ulk 000cf kor | |
020 | ▼a 9788937489570 ▼g 03810 | |
035 | ▼a (KERIS)BIB000013595152 | |
040 | ▼a 222001 ▼c 222001 ▼d 222001 ▼d 211009 | |
082 | 0 4 | ▼a 895.735 ▼2 23 |
085 | ▼a 897.37 ▼2 DDCK | |
090 | ▼a 897.37 ▼b 김기창 모 | |
100 | 1 | ▼a 김기창, ▼d 1978- ▼0 AUTH(211009)82787 |
245 | 1 0 | ▼a 모나코 : ▼b 김기창 장편소설 / ▼d 김기창 |
260 | ▼a 서울 : ▼b 민음사, ▼c 2014 | |
300 | ▼a 216 p. ; ▼c 22 cm | |
586 | ▼a 38회 오늘의 작가상, 2014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37 김기창 모 | 등록번호 11173053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2014년 제38회 오늘의 작가상 수상작. 1977년 제정된 '오늘의 작가상'은 한수산, 이문열, 정미경 등의 거장을 배출하며 한국문학을 선도해 왔다. 2014년 올해 주인공 김기창은 수상작 <모나코>를 통해 등단한 신인 작가로, '고독사'라는 실존적이고 사회적인 문제를 개성적인 인물과 고유한 문체로 탁월하게 표현했다.
특히 시니컬하고 염세적인 태도로 일관하는 주인공 '노인'의 철학적인 말과 신선한 비유 들은 한국문학에 흔치 않은 영역인 블랙유머를 성공적으로 구사하며 무거울 수도 있는 주제를 유머러스하고 페이소스 넘치게 다뤘다.
<모나코>는 좋은 집에 돈도 많고 취향도 고급인 할아버지, 즉 남들 눈에는 모든 걸 다 가진 것처럼 보이는 '골드 실버'의 사랑과 죽음에 대한 이야기다. 풍요로운 삶의 조건을 전부 누리고 있지만 정작 죽을 날만 기다리는 '노인'은 가사도우미 '덕'과 아내 같고 친구 같고 딸 같은 사이로 지내던 중 이웃의 젊은 미혼모 '진'을 좋아하게 된다.
마른 우물처럼 바닥을 드러냈다고 생각했던 욕망이 꿈틀거리자 노인은 당황하고, 그런 한편 세상을 좀 살아본 자만의 방식으로 감정을 표현하기 시작한다. '진' 역시 가볍지도 무겁지도, 강하지도 약하지도 않은 방식으로 자신에게 다가오는 '노인'의 관심이 싫지 않다. <모나코>는 어느 노인의 생애 마지막 겨울을 배경으로 기묘한 삼각관계와 죽음에 대한 소묘를 쓸쓸하게, 그러나 생동감 넘치고 유머러스하게 전해 준다.
☞ 슬라이드셰어 보러가기
http://www.slideshare.net/minumsa/ss-41086183
현대 사회가 안고 있는 침묵의 질병 ‘고독사’를 정면으로 다룬
38회 오늘의 작가상 수상작!
다 가졌는데 살아야 할 이유만 없는,
까다롭고 냉소적이며 마초적인 노인에게 찾아온 마지막 첫사랑
38회 <오늘의 작가상> 수상작 『모나코』가 민음사에서 출간되었다. 1977년 제정된 <오늘의 작가상>은 한수산, 이문열, 정미경 등의 거장을 배출하며 한국문학을 선도해 왔다. 올해 주인공 김기창은 수상작 『모나코』를 통해 등단한 신인 작가로, ‘고독사’라는 실존적이고 사회적인 문제를 개성적인 인물과 고유한 문체로 탁월하게 표현했다. 특히 시니컬하고 염세적인 태도로 일관하는 주인공 ‘노인’의 철학적인 말과 신선한 비유 들은 한국문학에 흔치 않은 영역인 블랙유머를 성공적으로 구사하며 무거울 수도 있는 주제를 유머러스하고 페이소스 넘치게 다뤘다.
『모나코』는 좋은 집에 돈도 많고 취향도 고급인 할아버지, 즉 남들 눈에는 모든 걸 다 가진 것처럼 보이는 ‘골드 실버’의 사랑과 죽음에 대한 이야기다. 풍요로운 삶의 조건을 전부 누리고 있지만 정작 죽을 날만 기다리는 ‘노인’은 가사도우미‘덕’과 아내 같고 친구 같고 딸 같은 사이로 지내던 중 이웃의 젊은 미혼모 ‘진’을 좋아하게 된다. 마른 우물처럼 바닥을 드러냈다고 생각했던 욕망이 꿈틀거리자 노인은 당황하고, 그런 한편 세상을 좀 살아본 자만의 방식으로 감정을 표현하기 시작한다. ‘진’역시 가볍지도 무겁지도, 강하지도 약하지도 않은 방식으로 자신에게 다가오는 ‘노인’의 관심이 싫지 않다.
『모나코』는 어느 노인의 생애 마지막 겨울을 배경으로 기묘한 삼각관계와 죽음에 대한 소묘를 쓸쓸하게, 그러나 생동감 넘치고 유머러스하게 전해 준다.
■현대적 죽음, 고독사
일본에서는 노인들에게 도시락을 배달하기 시작했고 프랑스에서는 노인과 젊은이를 하우스 메이트로 연결해 주는 동거 제도를 만들었다. 고독사 때문이다. 먼 나라 얘기가 아니다. 한국에서도 2013년 한 해 동안 보고된 고독사만 1717건. 대부분 주민의 신고로 알려지며 그 전까지는 아무도 알지 못하는 외롭고 쓸쓸한 죽음 고독사는, 노인 인구가 늘어나고 혼자 사는 사람이 증가하는 현대 사회에 안겨진 침묵의 질병이다. 『모나코』는 독거하는 ‘노인’의 죽기 전 마지막 한 계절을 다룬 이야기로, 혼자만의 죽음과 혼자만의 사랑을 통해 우리 사회의 환부와 인생의 한 단면을 잘 보여 준다. “힘 빠진 수사자는 무리에서 쫓겨나 초원에서 홀로 죽는다. 사자에게는 어울리는 죽음이지만 나약한 인간에게는 더없이 슬픈 죽음이다. 나는 노인의 고독한 죽음을 통해 비정한 현대 사회의 한 단면을 보여 줄 수 있겠다고 여겼다.”‘작가의 말’처럼 『모나코』는 노인의 고독한 죽음을 다루는 소설이다. 하지만 죽음 전 벌어지는 황혼의 로맨스는 노인의 죽어 있던 삶의 감각을 깨우며 노년의 생 역시 예민하고 격렬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새로운 ‘노인’캐릭터의 탄생
『모나코』는 노인의 집을 배경으로 노인과 그의 가사도우미 ‘덕’, 노인이 짝사랑하는 미혼모 ‘진’의 삼각관계가 진행되는 소설이다. 이야기의 플롯이 만들어 내는 긴장감보다 주인공들의 캐릭터와 그들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갈등이 중심을 이룬다. 이런 특징을 두고 문학평론가 김미현은 『모나코』를 “서사가 아닌 인물로도, 사건이 아닌 관계로도, 인칭이 아닌 시점으로도 소설 속에서 갈등을 만들고 긴장을 조성할 수 있는 좋은 예”를 보여 준다고 했다. 주인공 ‘노인’의 캐릭터는 기존의 ‘노인’들과 거리를 둔다. 그동안 문학이나 영화, 예능 프로그램 등에서 표현된 노인이 노쇠한 신체, 보호해야 할 대상, 지혜를 전도하는 어른 등의 전형적 유형으로 다루어진 반면 『모나코』의 노인은 까다롭고 냉소적이고 도덕이나 지혜와는 담 쌓은, 그런 반면 요리와 인테리어에 집착하고 차가운 농담을 즐기는 “욕망과 사유의 주체”로 그려진다.
■블랙유머와 ‘고독체’
『모나코』는 ‘노인’이라는 캐릭터와 함께 그가 내뱉는 말 한마디 한마디가 모두 사건이자 갈등인 소설이다. 다음과 같은 표현은 맛보기에 불과하다.
“시가라고 하는 거야. 몬테크리스토 520. 한정판이지.”
“담배보다 독해요?”
“프로이트는 시가를 줄곧 피우다가 구강암에 걸렸어.”
“프로이트가 누군데요?”
큰 남자아이가 말했다.
“우리 편.”
“우리 편요?”
“사랑과 성욕은 구분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거든.”
촌철살인, 블랙유머. 『모나코』는 정영문, 김태용으로 대표되는 블랙유머 계보를 잇는 소설답게 고도로 다듬어진 대사들이 읽는 즐거움을 주는 소설이다. 평론가 강유정은 아래 같은 표현으로 그 즐거움에 대해 설명한다. “그는 주변 사람들과 ‘말’로 정서적 줄다리기를 하고, 아이러니한 농담을 주고받는다. 연민과 관리의 대상이었던, 타자로서의 노인이 아니라 스스로 발언권을 가진 노인이 등장한 것이다.” 죽을 날만 기다리며 하루하루 살아가는 노인의 외로움을 표현하는 문체 역시 ‘고독체’라 부를 수 있을 만큼 독특한 매력을 보인다. “『모나코』를 읽는 동안 나는 이 노인의 주름살을 본 기분이 들었다. 노인의 말투가 오래도록 귓가에 남았다.” 윤성희 소설가의 표현처럼 『모나코』를 읽는 독자들 역시 오래된 한 인간, 외로움을 자기편으로 만들며 사랑과 욕망을 즐기는 자의 인생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정보제공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