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영어 평가의 이해

영어 평가의 이해 (1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성애
서명 / 저자사항
영어 평가의 이해 / 김성애 지음
발행사항
서울 :   글로벌콘텐츠,   2014  
형태사항
237 p. ; 23 cm
ISBN
9791185650692
일반주기
부록: A. 과제와 응답 방식에 따른 평가 문항 분류, B. 총체적 언어 능숙도 재점의 예, C. 정상분포곡선 면적 표 외  
서지주기
참고문헌: p. 190-196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21807
005 20150203104943
007 ta
008 150203s2014 ulk b 000c kor
020 ▼a 9791185650692 ▼g 9374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a eng
082 0 4 ▼a 420.7 ▼2 23
085 ▼a 420.7 ▼2 DDCK
090 ▼a 420.7 ▼b 2014z1
100 1 ▼a 김성애 ▼0 AUTH(211009)895
245 1 0 ▼a 영어 평가의 이해 / ▼d 김성애 지음
260 ▼a 서울 : ▼b 글로벌콘텐츠, ▼c 2014
300 ▼a 237 p. ; ▼c 23 cm
500 ▼a 부록: A. 과제와 응답 방식에 따른 평가 문항 분류, B. 총체적 언어 능숙도 재점의 예, C. 정상분포곡선 면적 표 외
504 ▼a 참고문헌: p. 190-196
546 ▼a 본문은 한국어, 영어가 혼합수록됨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20.7 2014z1 등록번호 111730269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2-15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현장 및 예비 영어교사들의 언어 평가에 대한 이해를 돕고 그들의 평가 문항 작성 기술을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평가가 학생들의 학습 방향과 학습 습관에 미치는 지대한 영향을 고려할 때 평가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평가를 위한 전문적 기술을 갖추는 것은 교사로서는 필수적인 일일 것이다. 이 책이 현장 영어교사들이나 예비 영어교사들이 갖추어야 할 평가에 대한 이론적 지식과 실천적 기술을 갖추고 연마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영어 능숙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지난 수십 년간 언어 교수 분야에서 큰 관심을 끈 분야 중 하나가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을 어떻게 하면 보다 잘 개발하고 또한 제대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오늘날 대부분 외국어 프로그램의 공통된 목표 중 하나도 학습자의 목표언어 능숙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되었다.
외국어 능숙도는 상황 속에서의 자연스런 언어 사용을 통해서 가장 잘 발달이 되며 또한 그렇게 평가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계속되어 왔다. 상황 속에서의 자연스런 언어 사용이란 학습자가 주어진 상황에서 목표언어로 적절하고 의미 있는 의사소통에 참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외국어로서의 언어를 가르치는 많은 상황에서는 목표언어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자 하는 교육목표에도 불구하고, 실제 언어 교수와 평가에서는 그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것을 제대로 실천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교육목표와 실천 사이의 이러한 괴리는 외국어로서의 학습 상황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한계점들에 주로 그 원인이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한계가 있다고 해서 상황을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의 부족 자체를 정당화할 수는 없을 것이다.


평가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평가를 위한 전문적 기술을 갖추는 것


평가는 교수의 한 도구이며, 교육에서 평가가 주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평가는 교수와 학습을 반영하며 또한 그것들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측정하고자 하는 능력 이상의 것, 예를 들면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학습 습관, 그리고 노력 등과 같은 부분에도 영향을 미친다. 더구나 평가가 현재의 교수, 학습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미래에까지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고려한다면 우리의 교수 목표와 원칙뿐만 아니라 학교 현장의 교수 방향을 이끌 수 있는 좋은 평가 방법을 개발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또한 시급한 사안일 것이다.
이 책은 현장 및 예비 영어교사들의 언어 평가에 대한 이해를 돕고 그들의 평가 문항 작성 기술을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평가가 학생들의 학습 방향과 학습 습관에 미치는 지대한 영향을 고려할 때 평가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평가를 위한 전문적 기술을 갖추는 것은 교사로서는 필수적인 일일 것이다. 이 책이 현장 영어교사들이나 예비 영어교사들이 갖추어야 할 평가에 대한 이론적 지식과 실천적 기술을 갖추고 연마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성애(지은이)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졸업 (교육학 학사) (BA in English Language Education)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교육학 석사) (MA in English Language Education) 오하이오주립대학교 대학원(영어교육 전공) (교육학 석사) (MA in TESOL) 오하이오주립대학교 대학원(언어학 전공) (언어학석사) (MA in Linguistics) 오하이오주립대학교 대학원(영어교육 전공) (교육학 박사) (Ph.D.in Language Arts, Literature & Reading) 저서 <영어 교수 기술 연구>(신아사) <고등학교 영어회화 II>(공저) · (부산광역시교육청. 특목고 교과서용) <액션시리즈로 배우는 생활영어>(경문사)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서문 = 4
제1장 배경 지식 = 11
 1.1 커리큘럼 개발과 평가 = 12
 1.2 의사소통중심 수업과 평가 = 13
 1.3 전통적 평가와 대안 평가 = 14
 1.4 평가 관련 용어 해석 = 17
제2장 언어 평가의 역사 = 21
 2.1 과학적 연구 이전의 시기 = 22
 2.2 심리측정 및 구조주의 시기 = 23
 2.3 심리언어학 - 사회언어학적 시기 = 24
 2.4 의사소통중심 패러다임 = 27
제3장 평가의 종류 = 29
 3.1 평가 목적에 따른 분류 = 30
 3.2 평가 방법에 따른 분류 = 33
 3.3 응답 방법에 따른 분류 = 43
제4장 평가의 타당도, 신뢰도 및 실용성 = 47
 4.1 타당도 = 48
 4.2 신뢰도 = 55
 4.3 실용성 = 67
제5장 의사소통능력 평가 = 69
 5.1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이해 = 70
 5.2 의사소통능력 평가의 출제 원칙 = 80
 5.3 외국어 학습 상황에서의 의사소통능력 평가 = 86
제6장 수행 평가 = 89
 6.1 수행 평가의 개념 및 특징 = 90
 6.2 수행과제 및 평가의 예 = 92
제7장 평가 문항 개발 = 97
 7.1 평가 문항의 종류별 특징 = 98
 7.2 평가 문항 개발 원칙 = 107
 7.3 객관식 평가 문항 개발을 위한 팁 = 109
제8장 평가 척도 = 119
 8.1 명목척도 = 121
 8.2 서열척도 = 121
 8.3 등간척도 = 123
 8.4 비율척도 = 128
제9장 문항 분석과 해석 = 129
 9.1 문항 난이도 = 130
 9.2 문항 변별도 = 131
 9.3 응답 패턴 = 132
 9.4 고전적 측정이론과 문항반응이론 = 132
제10장 언어기능별 평가 = 137
 10.1 어휘 평가 = 138
 10.2 문법 평가 = 141
 10.3 읽기 평가 = 145
 10.4 듣기 평가 = 152
 10.5 쓰기 평가 = 155
 10.6 말하기 평가 = 161
제11장 교사들이 개발한 객관식 평가 문항의 오류 분석 = 169
 11.1 문항 오류들의 특징과 수정 시 고려 사항 = 170
 11.2 오류 문항의 예 = 174
참고문헌 = 189
부록 = 197
 A. 과제와 응답 방식에 따른 평가 문항 분류
 B. 총체적 언어 능숙도 채점의 예
 C. 정상분포곡선 면적 표
 D. 쓰기 결과물의 일관성과 응집력 평가의 예
 E. 통계의 기초
[한영술어 대조표] = 227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