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20427 | |
005 | 20150116130947 | |
007 | ta | |
008 | 150116s2014 ulka b 000c kor | |
020 | ▼a 9788968661907 ▼g 93180 | |
035 | ▼a (KERIS)BIB000013540627 | |
040 | ▼a 211006 ▼c 211006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h spa |
082 | 0 4 | ▼a 616.89/1655 ▼2 23 |
085 | ▼a 616.891655 ▼2 DDCK | |
090 | ▼a 616.891655 ▼b 2014 | |
100 | 1 | ▼a Chaiklin, Sharon, ▼d 1934- ▼0 AUTH(211009)132053 |
245 | 1 0 | ▼a 무용동작치료의 예술과 과학 / ▼d Sharon Chaiklin, ▼e Hilda Wengrower 지음 ; ▼e 류분순 [외]옮김 |
246 | 1 | ▼i 영어번역표제: ▼a The art and science of dance/movement therapy : ▼b life is dance |
246 | 1 9 | ▼a Vida es danza |
246 | 3 | ▼a Art and science of dance/movement therapy |
260 | ▼a 서울 : ▼b 시그마프레스, ▼c 2014 | |
300 | ▼a xviii, 351 p. : ▼b 삽화 ; ▼c 24 cm | |
500 | ▼a 공역자: 신금옥, 김향숙, 박혜주, 이예승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650 | 0 | ▼a Dance therapy |
650 | 0 | ▼a Movement therapy |
700 | 1 | ▼a Wengrower, Hilda, ▼e 저 ▼0 AUTH(211009)82758 |
700 | 1 | ▼a 류분순, ▼e 역 ▼0 AUTH(211009)65878 |
700 | 1 | ▼a 신금옥, ▼e 역 ▼0 AUTH(211009)46745 |
700 | 1 | ▼a 김향숙, ▼e 역 ▼0 AUTH(211009)118798 |
700 | 1 | ▼a 박혜주, ▼e 역 ▼0 AUTH(211009)125827 |
700 | 1 | ▼a 이예승, ▼e 역 ▼0 AUTH(211009)78222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616.891655 2014 | Accession No. 12123190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무용치료가 변화를 일으키기 위해 어떻게, 어디에 쓰이는지에 대한 넓은 이해뿐만 아니라 깊은 관점을 제공한다. 각 장은 전 세계의 전문가가 집필하였으며 트라우마의 무용/동작치료, 종양학과 어린이, 정신분열증, 식사장애, 가족관찰 등 다양한 주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책은 무용치료가 변화를 일으키기 위해 어떻게, 어디에 쓰이는지에 대한 넓은 이해뿐만 아니라 깊은 관점을 제공한다. 각 장은 전 세계의 전문가가 집필하였으며 트라우마의 무용/동작치료, 종양학과 어린이, 정신분열증, 식사장애, 가족관찰 등 다양한 주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무용/동작치료를 경험한 종사자 혹은 신규 전문직 종사자들은 이 책이 매우 가치 있음을 알게 될 것이며, 다른 창의적인 예술치료사와 교육, 정신건강 분야의 전문가들은 그 가르침을 인간 행동 및 비언어적인 표현 이해에 접목할 수 있을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Sharon Chaiklin(지은이)
마리안체이스재단의 이사장이자 미국무용치료협회의 설립 위원이며 전 회장이다.
Hilda Wengrower(지은이)
바르셀로나 IL3대학교의 무용/동작치료 지도자 과정과 예루살렘의 히브리대학교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류분순(옮긴이)
한국의 무용·동작 심리치료 선구자로 상담심리학으로 교육학 박사, 운동심리학으로 이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2년 대한정신의학 산하 한국임상예술학회 추계학술 세미나에서 임상무용치료 세미나 발표를 시작으로 1994년 한국무용치료학회를 설립하였고, 이후 많은 언론과 방송에 소개되었다. 2000년 국내 최초로 서울여자대학교에 표현예술치료 전문대학원 석·박사 과정 커리큘럼을 설계하고 교육하였으며, 2007년부터는 순천향대학교 대학원에서 심리치료학과 무용치료를 전공하면서 심리치료의 영역을 넓혔다. 20대부터 현대무용 개인 공연과 한국 현대 춤 작가전, 국제 무용세미나, 대구시립무용단 객원 안무 등 대학에서 무용교육과 창작 무용공연을 하였고, 30대에정신분석 및 심리학 공부를 하면서 이를 무용치료와 접목하여 정신과 임상에 적용하였다. 1995년부터 미국무용치료협회 국제패널, 세계 표현정신병리학회, 유럽 및 일본학회와 국내 상담학회, 정신간호사회, 사회복지협회, 특수 교육단체, 가정법원, 중독 회복자 단체, 학교 밖 청소년 단체 등에서 지난 30년간 1,500회 이상의 사회예술 치유세미나와 워크숍을 진행해 왔다. 현재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심리치료학과 무용치료 전공교수, 보건정책과 소속 (사)한국댄스테라피협회 이사장, 한국예술심리치료원 원장으로 임상예술치료의 현장에 있다. 국가 프로젝트로 부적응 청소년 상담, 중독문제 치료, 학교폭력 대상자의 상담 및 치료, 가정법원 부부치료, 다문화 가족치료 등을 수행하고 있으며, 전문 예술치료사 교육과 임상감독을 하고 있다.
박혜주(옮긴이)
뮤지컬 퍼포먼스 인터프리터 추계예술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성악을 전공하고, 다수의 뮤지컬과 오페라 공연을 통한 다양한 경험을 가지고 있는 저자는 TEDxSeoul, CBS [세상을 바꾸는 시간 15분] 등의 일반인을 위한 대중 강연으로 많은 호응을 얻었다. 삼성 등의 여러 기업체에서 노래를 쉽고, 잘 부를 수 있는 방법과 뮤지컬을 재미있게 즐기는 방법을 강연을 통해 전하고 있는데, 특히 그녀가 이끄는 [The Creator]라는 팀은 뮤지컬을 창작, 연출하고, 기업의 업무 능력 증대를 위한 음악프로그램등을 기획, 진행하고 있다. 현재 창작뮤지컬 ‘대한 크리스도’의 기획 및 총감독을 맡아 울산 CBS 합창단 정기공연을 준비 중에 있으며, 아름다운 화음과 어우러진 다양한 퍼포먼스로 찬양하는 전문 청년 크리스천 연합 합창단의 음악감독으로 지휘를, 제주 예술꽃 씨앗학교의 창작 뮤지컬 제작 자문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청소년 발굴 프로젝트의 자문과 심사, 전문가들을 위한 뮤지컬 작품 분석과 보컬 트레이닝, (주)네패스의 음악교실을 진행하는 등 다양한 곳에서 강연 등의 활동을 통해 뮤지컬 퍼포먼스 인터프리터로 활동하고 있다.
신금옥(옮긴이)
RDT, KDTA 공인 무용동작치료사 여주시 건강가정지원센터, 용인정신병원, 특수학교 무용치료사
김향숙(옮긴이)
RDT, KDTA 공인 무용동작치료사 미국 리버티대학교 객원교수, 하이패밀리 가족동작치료센터 원장
이예승(옮긴이)
RDT, KDTA 공인 무용동작치료사 고려대학교 체육학과 강사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부 무용/동작치료의 기본 개념 제1장 우리는 발을 땅에 내딛는 순간부터 춤을 춘다 = 3 문화적ㆍ종교적 영향 = 4 치료적 뿌리로서의 무용 = 5 선구자 = 6 간략한 사례연구 = 9 직업적 체계 = 10 결론 = 11 제2장 무용/동작치료에서의 창의적-예술적 과정 = 13 도입 = 13 창조성: 주제와 변형 = 14 심리학, 예술 그리고 창조성 = 17 위니컷: 창조의 삶 = 24 창조 공간으로서의 심리학 = 25 결론 = 31 제3장 치료적 관계와 근감각적 공감 = 35 도입 = 35 실연과 체화 = 37 몸에서 분리되면 삶은 다른 곳에 = 38 움직임과 감정 = 41 DMT에서의 전이 = 43 근감각적 공감 = 45 신경과학의 공헌 = 50 DMT의 과정 = 51 내담자의 욕구 충족하기 = 52 결론 = 54 제4장 무용/동작치료, 움직임과 정서 = 57 도입 = 57 생물학적 기초 = 59 일곱 가지 최초의 이미지 각인 = 61 일곱 가지 기본 감정 특성 = 63 결론 = 74 제2부 이론의 실제 적용 제5장 BASCICS = 81 도입 = 81 내적 행동 체계 = 82 상호작용 체계 = 95 결론 = 105 제6장 신체, 고유의 스타일, 그리고 심리치료 = 109 도입 = 109 공과 풍선 = 111 외줄(심상적 의미로서의 이미지 표현) = 114 스타일과 심리치료 = 120 결론 = 126 제7장 다시 온전하게 되기 = 131 도입 = 131 식사장애란 무엇인가? = 132 몸에 거주하는 식사장애 = 133 식사장애를 위한 치료 방법 = 135 식사장애 치료에서의 무용/동작치료 = 136 무용/동작치료사의 역할 = 137 임상 실제의 개념 = 138 임상적 적용 = 140 저항감으로 창조력 만들기 = 144 치료 과정의 인지적 표지 = 146 요약 = 149 부록 - 인지적 표지: 체험 과정에 대한 지침 = 149 제8장 가족 무용/동작치료: 체계모델 = 153 도입 = 153 체계로서의 가족 = 153 주요 관찰기술 = 156 유용한 무용/동작치료 기술 = 159 사례연구 = 160 요약 및 결론 = 165 제9장 유아기 치료에서의 무용/동작 심리치료 = 169 기본 방법 = 170 무용/동작 심리치료의 이론적 접근 = 172 치료 세션을 이끄는 핵심 원리와 전략 = 176 라반 동작분석을 활용한 동작 특성 평가 = 177 역동적인 과정 = 178 개입 도구 = 178 아동발달과의 접점 = 179 언어발달 이전 및 외상적 경험을 지원하는 비언어의 활용 및 역할 = 181 소아암 환자를 위한 의료 무용/동작치료 = 182 의료 무용/동작치료에 대한 다감각적 접근의 추가 = 184 결론 = 190 제10장 희망으로 춤추기 = 193 치매와 알츠하이머에 관한 생화학적 관점 = 194 개인적 여정: 치매 안에서 사람을 발견하기 = 195 인간중심 틀 안에서 무용치료를 통한 치매 치료 = 196 건강의 촉진 = 200 치매 환자와 함께하는 무용치료의 핵심 = 202 무용치료의 다른 역할 = 202 결론 = 205 제11장 후천적 충격으로 인한 뇌손상의 재활 무용/동작치료 = 207 도입 = 207 개관: 뇌 해부학과 기능 = 208 충격성 뇌손상(TBI)의 구조 = 209 발생률과 인구통계학적 요약 = 210 후천적 뇌손상의 후유증 = 210 뇌 가소성: 뇌손상과 회복의 신경물리학적 구조 = 213 치료의 원리 = 214 개입의 영역 = 215 임상 사례 = 216 요약 및 결론 = 223 제3부 무용/동작치료 실제에 필수적인 측면 제12장 라반의 동작 이론 = 229 도입 = 229 초기 훈련의 발전 = 230 무용/동작치료에서의 활용 = 230 라반 연구의 추가적인 활용 = 232 관찰의 범주 = 232 신체 = 233 공간 = 235 에포트-동작 요소 = 241 전환 = 246 결론 = 248 제13장 무용/동작치료에서 케스텐버그 동작 프로파일의 적용 = 251 KMP 요약 = 253 긴장-흐름 리듬 = 253 에포트의 전조 = 256 에포트 = 257 양극 셰이프-흐름 = 257 단극 셰이프-흐름 = 260 셰이프-흐름 디자인 = 260 방향에서의 셰이핑 = 260 면에서의 셰이핑 = 261 두 시스템 = 261 KMP의 기타 필수적인 특징 = 261 흐름의 요소 = 262 공감과 신뢰 = 263 무용/동작치료에서 KMP = 265 치료에서 발달 과도기의 중요성 = 267 양육자-아동 관계에서의 치료 중재 = 269 자폐증과 KMP = 270 치료 과정에서 중립적인 흐름의 다른 사례 = 273 결론 = 274 제14장 이모토릭스 = 281 이모토릭스의 중심 개념 = 281 도입 = 282 제1부: 이모토릭스의 전형적 전제 = 285 제2부: 정서 움직임 평가를 위한 2진 모델 = 299 제3부: 2진 프로파일에 기초한 정서 움직임 행동의 차별화된 평가 = 306 결언 = 310 제15장 무용/동작치료의 문화적 인식과 국제적 상황 = 317 도입 = 317 무용/동작치료의 원리와 실제 = 318 문화적 편향 - 개인적인 이야기 = 319 동작 및 무용 관찰 = 320 문화 간 동조를 구축해야 하는 근거 = 322 문화의 비언어적 측면 = 323 실증적인 문헌 및 연구 사례 = 324 무용/동작치료는 언어, 문화, 인종적인 차이를 뛰어넘어 적용될 수 있을까? = 327 결론 및 다음 단계 = 330 제16장 무용/동작치료 연구의 장려 = 337 도입 = 337 가장 큰 질문들 = 338 전문기관 차원에서의 고찰 = 340 교육에 대한 고찰 = 342 개인 중점의 고찰 = 345 결론 = 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