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Ⅰ. 서론 = 9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9
2. 연구문제 =
〈Part 1〉유아기 모국어 및 초기 영어능력발달과 관련된 변인들에 관한 연구 : 가정 및 유아 교육기관에서의 어머니 및 교사의 문해 지원을 중심으로
Ⅱ. 연구방법 = 17
1. 연구대상 = 17
2. 연구도구 = 20
3. 연구절차 = 24
Ⅲ. 연구결과 = 25
1. 어머니 및 교사의 유아기 모국어 및 조기 영어교육 전반에 관한 인식 = 25
2. 어머니 및 교사의 물리적 문해환경 구성 및 문해활동 참여수준 경향 = 27
3. 어머니의 물리적 환경 구성수준에 따른 유아의 모국어, 영어능력 차이 = 32
4. 교사의 물리적 문해환경 구성수준 및 문해활동 지원수준에 따른 유아의 초기 한글 및 영어능력발달 차이 = 36
5. 교사, 부모의 인구사회적 특성, 한글 및 조기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수준 및 물리적 문해환경, 문해활동 지원수준과 유아의 한글 및 초기 영어능력 간의 상관관계 = 40
6. 유아의 한글 및 초기 영어능력에 관련된 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 = 44
Ⅳ. 논의 및 결론 = 48
1. 유아의 한글 및 초기 영어교육 현황 및 인식 = 48
2. 가정에서 어머니의 문해 지원(물리적 환경 구성 및 활동 지원)수준에 따른 유아의 한글 및 초기 영어능력 차이 = 49
3. 유아의 한글능력 및 초기 영어능력발달에 관련된 변인들의 영향력 = 51
〈Part 2〉유아의 연령 및 발달에 적합한 초기 영어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1. 유아의 연령 및 발달에 적합한 초기 영어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 = 55
2. 유아의 연령과 발달에 적합한 초기 영어교육 프로그램의 구성과 운영 = 58
3. 연령 및 발달에 적합한 초기 영어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 64
4. 정책적, 제도적 조언 = 132
5. 부록 = 135
Ⅴ. 참고문헌 = 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