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유아의 연령 및 발달에 적합한) 초기 영어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문현준 서소정, 저 강세향, 저
서명 / 저자사항
(유아의 연령 및 발달에 적합한) 초기 영어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 문현준, 서소정, 강세향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창지사,   2014  
형태사항
154 p. : 삽화 ; 26 cm
총서사항
청삼아동연구시리즈 ;23
ISBN
9788942607976
서지주기
참고문헌: p. 151-154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19843
005 20150112152724
007 ta
008 150112s2014 ulka b 000c kor
020 ▼a 9788942607976 ▼g 9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2.6521 ▼2 23
085 ▼a 372.6521 ▼2 DDCK
090 ▼a 372.6521 ▼b 2014z1
100 1 ▼a 문현준
245 2 0 ▼a (유아의 연령 및 발달에 적합한) 초기 영어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 ▼d 문현준, ▼e 서소정, ▼e 강세향 지음
260 ▼a 서울 : ▼b 창지사, ▼c 2014
300 ▼a 154 p. : ▼b 삽화 ; ▼c 26 cm
440 0 0 ▼a 청삼아동연구시리즈 ; ▼v 23
504 ▼a 참고문헌: p. 151-154
536 ▼a 본서의 출간을 위해 청삼아동문제연구소의 연구비 지원을 받았음
700 1 ▼a 서소정, ▼e▼0 AUTH(211009)17896
700 1 ▼a 강세향, ▼e
945 ▼a KLAP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2.6521 2014z1 등록번호 11172884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문혁준(지은이)

가톨릭대학교 아동학전공 교수

서소정(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가정관리학과 학사(B.A.) 미국 미시간 주립대학교 학사(영유아보육행정 B.S.) 미국 미시간 주립대학교 대학원 석사(아동발달 M.A.) 미국 미시간 주립대학교 대학원 박사(영유아보육 Ph.D.) 현 경희대학교 아동가족학과 부교수 및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주임교수

강세향(지은이)

경희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연구원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Ⅰ. 서론 = 9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9
 2. 연구문제 = 
〈Part 1〉유아기 모국어 및 초기 영어능력발달과 관련된 변인들에 관한 연구 : 가정 및 유아 교육기관에서의 어머니 및 교사의 문해 지원을 중심으로
Ⅱ. 연구방법 = 17
 1. 연구대상 = 17
 2. 연구도구 = 20
 3. 연구절차 = 24
Ⅲ. 연구결과 = 25
 1. 어머니 및 교사의 유아기 모국어 및 조기 영어교육 전반에 관한 인식 = 25
 2. 어머니 및 교사의 물리적 문해환경 구성 및 문해활동 참여수준 경향 = 27
 3. 어머니의 물리적 환경 구성수준에 따른 유아의 모국어, 영어능력 차이 = 32
 4. 교사의 물리적 문해환경 구성수준 및 문해활동 지원수준에 따른 유아의 초기 한글 및 영어능력발달 차이 = 36
 5. 교사, 부모의 인구사회적 특성, 한글 및 조기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수준 및 물리적 문해환경, 문해활동 지원수준과 유아의 한글 및 초기 영어능력 간의 상관관계 = 40
 6. 유아의 한글 및 초기 영어능력에 관련된 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 = 44
Ⅳ. 논의 및 결론 = 48
 1. 유아의 한글 및 초기 영어교육 현황 및 인식 = 48
 2. 가정에서 어머니의 문해 지원(물리적 환경 구성 및 활동 지원)수준에 따른 유아의 한글 및 초기 영어능력 차이 = 49
 3. 유아의 한글능력 및 초기 영어능력발달에 관련된 변인들의 영향력 = 51
〈Part 2〉유아의 연령 및 발달에 적합한 초기 영어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1. 유아의 연령 및 발달에 적합한 초기 영어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 = 55
 2. 유아의 연령과 발달에 적합한 초기 영어교육 프로그램의 구성과 운영 = 58
 3. 연령 및 발달에 적합한 초기 영어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 64
 4. 정책적, 제도적 조언 = 132
 5. 부록 = 135
Ⅴ. 참고문헌 = 151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