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갑상선 역사 = 1
제2장 갑상선 발생 및 구조 = 3
Ⅰ. 갑상선 발생 = 3
Ⅱ. 갑상선 구조 = 4
1. 육안소견 = 4
2. 혈관 = 5
3. 림프 = 5
4. 신경 = 5
5. 현미경적 구조 = 6
Ⅲ. 갑상선의 발생 이상 = 7
Ⅳ. 갑상선 발생의 분자 기전 = 8
1. 갑상선전사인자 1 = 8
2. 갑상선전사인자 2 = 9
3. Pax-8 = 9
제3장 갑상선호르몬 합성 및 분비 = 11
Ⅰ. 요오드 대사 = 11
1. 요오드 공급, 흡수 및 배설 = 11
2. 갑상선의 요오드섭취 및 운반 = 12
Ⅱ. 갑상선호르몬의 합성 및 분비 = 18
1. 갑상선글로불린 = 18
2. 갑상선과산화효소 = 21
3. 요오드의 산화 및 유기화 = 21
4. 요오드티로신의 연결 = 22
5. Tg의 분해 및 갑상선호르몬 방출 = 22
제4장 갑상선호르몬 운반, 세포 섭취 및 대사
Ⅰ. 갑상선호르몬 운반 = 25
1. 갑상선호르몬 결합단백의 물리화학적 성상 = 25
2. 갑상선호르몬 결합단백의 선천적 이상 = 26
3. 갑상선호르몬 결합단백에 영향 주는 후천적 인자 = 27
Ⅱ. 갑상선호르몬의 세포 섭취 = 28
1. Organic anion transporting polypeptide = 28
2. Monocarboxylate transporter 8(MCT8) = 28
Ⅲ. 갑상선호르몬 대사 = 30
1. 갑상선호르몬 교체 및 역동 = 30
2. 갑상선호르몬 대사 = 31
3. 갑상선호르몬 대사의 생리학적 역할 = 36
4. 질환에서의 갑상선호르몬 대사 = 37
제5장 갑상선호르몬의 작용
Ⅰ.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구조 = 43
1. DNA 결합 영역 = 44
2. 리간드 결합 영역 = 44
3. 경첩 영역 = 44
4. 아미노종단(A/B) 영역 = 44
Ⅱ.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동종형 = 44
1. 베타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 45
2. 알파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 45
Ⅲ.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에 의한 전사 조절 = 46
1. 갑상선호르몬반응요소 = 47
2.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보조억제물질 및 보조활성물질 = 47
Ⅳ. 갑상선호르몬의 비유전체 작용 = 52
Ⅴ. 갑상선호르몬의 조직에 대한 효과 = 54
1. 골 = 54
2. 심장 = 55
3. 지방 = 56
4. 간 = 56
5. 뇌하수체 = 57
6. 뇌 = 57
7. 대사에 대한 영향 = 58
Ⅵ. 갑상선호르몬수용체의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한 표현형 = 58
1. TRα knockout = 58
2. TRβ knockout = 60
3. TRα 및 TRβ knockout = 60
제6장 갑상선기능의 조절
Ⅰ. 갑상선자극호르몬 = 65
1. TSH의 화학 및 생합성 = 65
2. TSH의 작용 기전 = 67
Ⅱ. TSH의 합성과 분비 조절 = 67
1. 갑상선호르몬 = 68
2. 갑상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 = 68
3. 소마토스타틴의 역할 = 70
4. 도파민 = 70
5. 알파-아드레날린성 작용물질 = 71
6. 세로토닌 및 다른 신경전달물질 = 71
7. 종양괴사인자와 시토카인 = 72
8. 스테로이드호르몬 = 72
Ⅲ. TSH 분비 양상의 변화 = 72
1. TSH의 일중변동 = 72
2. 온도, 나이 및 칼로리 제한의 영향 = 72
3. 스트레스, 비갑상선질환 및 정신질환의 영향 = 73
4. 시상하부-뇌하수체 질환의 영향 = 74
Ⅳ. 갑상선기능의 자가조절 = 75
제7장 갑상선기능에 미치는 환경 인자 및 약제의 영향
Ⅰ. 외부 환경의 변화에 대한 갑상선의 반응 = 79
1. 온도 = 79
2. 고도 및 광선 = 79
3. 영양상태 = 80
4. 무기물 = 81
Ⅱ. 물리적 및 정신적 스트레스에 대한 갑상선 반응 = 83
1. 수술 = 83
2. 급성 정신적 스트레스 = 83
Ⅲ. 약제 및 화학물 = 83
1. 갑상선종유발물질 = 83
2. 갑상선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약제 및 화학물 = 85
Ⅳ. 시토카인과 갑상선기능 = 87
1. 요오드섭취에 대한 시토카인의 영향 = 87
2. 요오드 유기화 및 갑상선글로불린 합성에 대한 시토카인의 영향 = 88
3. 갑상선호르몬 분비에 대한 시토카인의 영향 = 88
4. 갑상선세포 성장에 미치는 시토카인의 영향 = 88
5. TSH 합성 및 분비에 미치는 시토카인의 영향 = 89
제8장 비갑상선질환증후군
Ⅰ. 비갑상선질환에서 갑상선기능의 변화 = 91
1. 저T₃상태 = 91
2. 저T₃-T₄상태 = 92
3. 갑상선호르몬 역동의 변화 = 94
4. 비갑상선질환증후군에서 뇌하수체-갑상선 축의 변화 = 94
Ⅱ. 비갑상선질환증후군에서 갑상선호르몬 변화의 기전 = 96
1. 요오드티로닌 탈요오드효소 활성 억제 = 96
2. 요오드티로닌의 세포막 통과 억제 = 96
3. T₄의 결합단백과의 결합 억제 = 97
4. 시토카인의 억제 효과 = 97
Ⅲ. 특정 비갑상선질환에서의 갑상선기능 변화 = 98
1. 간질환 = 98
2. 신질환 = 99
3. 정신질환 = 99
4. 후천성면역결핍증 = 99
Ⅳ. 비갑상선질환 환자에서 갑상선질환의 진단 = 99
Ⅴ. 예후 및 치료 = 100
제9장 요오드와 갑상선질환
Ⅰ. 역사 및 생태학 = 105
Ⅱ. 흡수, 대사 = 105
1. 요오드결핍에 대한 갑상선 적응 = 106
Ⅲ. 요오드결핍질환 = 106
1. 풍토병갑상선종 = 107
2. 풍토병크레틴증 = 109
3. 진단 = 109
4. 치료 = 110
Ⅳ. 요오드-유발 갑상선질환 = 110
1. 요오드-유발 갑상선기능항진증 = 110
2. 요오드-유발 갑상선기능저하증 = 113
Ⅴ. 아미오다론-유발 갑상선질환 = 115
1. 아미오다론의 약리 = 115
2. 아미오다론이 갑상선에 미치는 영향 = 116
3. 아미오다론에 의한 갑상선기능장애 = 118
4. 아미오다론 치료 중인 환자의 추적 지침 = 124
제10장 갑상선호르몬, TSH, 갑상선글로불린 및 자가항체 측정
Ⅰ. 갑상선호르몬 및 관련 물질의 측정 = 129
1. 갑상선호르몬의 측정 원리 및 방법 = 129
2. 혈청 총 T₄및 총 T₃측정 = 130
3. 유리갑상선호르몬 측정 = 133
4. 혈청 TSH 측정 = 136
5. 갑상선 자가항체 측정 = 139
6. 혈청 갑상선글로불린 측정 = 143
Ⅱ. 갑상선기능검사의 임상응용 전략 = 146
1. 갑상선기능장애에 대한 스크리닝 = 146
2. 갑상선기능의 감시 = 148
3. 갑상선호르몬 측정 결과의 해석에서 유의할 사항 = 149
4. 갑상선호르몬측정 결과의 해석 및 임상응용 = 152
5. TRH 자극검사 = 161
Ⅲ. 갑상선기능의 대사. 생리 및 임상적 지표 = 163
1. 기초대사율 = 163
2. 아킬레스건반사 시간 = 164
3. 혈청 콜레스테롤 = 164
4. 수축기시간간격 = 164
5. 근효소 = 164
6. 혈청 단백 및 효소 = 166
제11장 방사성요오드섭취율검사 및 스캔
Ⅰ. 방사성요오드섭취율 및 관련 검사 = 171
1. 방사성요오드섭취율검사의 원리 및 목적 = 171
2. 방사성요오드섭취율검사 방법 = 171
3. 방사성요오드섭취율검사의 판독 및 임상응용 = 171
4. 과염소산염방출시험 = 173
5. T₃억제검사 = 173
Ⅱ. 갑상선스캔 = 173
1. 핵종 = 173
2. 방법 = 174
3. 갑상선스캔의 적응증 = 174
4. 갑상선질환의 갑상선스캔 소견 = 175
Ⅲ. PET/CT 스캔 = 180
1. 갑상선암에서 FDG-PET 스캔의 적응증 = 181
2. FDG-PET 스캔에서 발견되는 갑상선 우연종의 진단적 의의 = 181
3. FNA가 중간형이거나 반복적인 불충분한 검체로 나오는 결절에서 FDG-PET 스캔의 의의 = 181
4. 갑상선암에서 FDG-PET/CT 스캔의 의의 = 182
제12장 갑상선초음파 및 기타 비핵의학적 영상 검사
Ⅰ. 갑상선초음파 = 185
1. 방법 = 185
2. 판독 = 185
Ⅱ. 전산화단층촬영 = 195
1. 미만성 갑상선질환 = 195
2. 다결절성 갑상선종 = 195
3. 갑상선결절 = 195
제13장 갑상선 세포병리
Ⅰ. 미세침흡인세포검사의 적응증 = 197
1. 만져지는 갑상선결절의 FNA 적응증 = 198
2. 영상검사를 통해 발견된 갑상선결절의 FNA 적응증 = 198
3. 촉진 또는 초음파-유도 아래 시행하는 FNA 적응증 = 199
Ⅱ. 방법 = 199
1. 환자에 대한 설명 및 자세 = 199
2. 주사 바늘 선택과 흡인 방법 = 199
3. 도말, 고정 및 염색 = 202
Ⅲ. 세포검사의 판독 = 203
1. 검체의 적절성 = 203
2. FNA 판독에서 관찰할 기본 사항 = 204
3. 갑상선 FNA의 진단 용어 및 분류 = 204
4. 형태학적 진단기준 = 206
Ⅳ. 미세침흡인세포검사의 정확도 = 210
1. FNA 판독 성적 = 210
제14장 갑상선질환의 임상진단 - 병력청취 및 신체검진
Ⅰ. 병력청취 = 213
Ⅱ. 갑상선 진찰 = 215
1. 갑상선의 해부학적 위치 = 215
2. 시진 = 215
3. 촉진 = 216
4. 청진 = 217
5. 위양성 및 위음성 갑상선종 = 217
제15장 갑상선기능항진증 - 그레이브스병
Ⅰ. 정의 및 분류 = 219
Ⅱ. 그레이브스병 = 221
1. 원인 및 병인 = 221
2. 빈도 및 유병률 = 222
3. 임상소견 = 223
4. 진단 = 247
5. 치료 = 256
Ⅲ. 갑상선중독발증 = 277
1. 병태생리 = 277
2. 임상소견 = 277
3. 진단 = 278
4. 치료 = 278
제16장 그레이브스 안병증, 갑상선피부병증 및 갑상선말단병증
Ⅰ. 그레이브스 안병증 = 285
1. 분류 = 285
2. 빈도 = 286
3. 소인 및 위험인자 = 288
4. 병리소견 및 병인 = 292
5. 임상소견 = 297
6. 자연경과 및 이에 미치는 영향 = 301
7. 치료 = 304
8. 안병증 예방 = 311
Ⅱ. 그레이브스병의 피부병증 = 311
1. 임상상 = 312
2. 병리소견 = 313
3. 병인 = 313
4. 치료 = 314
Ⅲ. 갑상선말단병증 = 315
1. 빈도 = 315
2. 임상상 = 315
3. 치료 및 경과 = 317
제17장 다른 원인에 의한 갑상선중독증
Ⅰ. 중독성 선종 및 중독성 다결절성 갑상선종 = 323
1. 중독성 선종 = 323
2. 중독성 다결절성 갑상선종 = 329
Ⅱ. 가족성 및 선천성 비자가면역성 갑상선기능항진증 = 330
Ⅲ. TSH-분비뇌하수체종양 = 331
1. 빈도 및 분류 = 331
2. 임상소견 = 331
3. 검사소견 = 332
4. 진단 및 감별진단 = 333
5. 치료 = 335
Ⅳ. 영양막종양 = 336
1. 사람융모성성선자극호르몬과 갑상선자극 작용 = 337
2. 임상상 = 337
3. 진단 = 337
4. 치료 = 338
제18장 갑상선기능저하증
Ⅰ. 빈도 및 원인 = 341
1. 정의 및 분류 = 341
2. 역학 및 빈도 = 342
3. 원인 = 344
Ⅱ. 일차성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임상소견 = 346
1. 얼굴, 피부 및 그 부속물 = 346
2. 심맥관계 = 348
3. 호흡기계 = 352
4. 신장 및 전해질대사 = 352
5. 위장관 및 간 = 353
6. 혈액 = 354
7. 근육계 = 354
8. 신경정신계 = 355
9. 내분비 = 356
10. 에너지 및 영양대사 = 357
Ⅲ. 진단 = 358
1. 임상 진단 = 358
2. 스크리닝 = 359
3. 검사소견 = 360
4. 진단적 접근 및 감별진단 = 362
Ⅳ. 치료 = 363
1. 갑상선호르몬 제제 = 363
2. 흡수, 투여 시간 = 363
3. 치료용량, 경과 = 364
4. 갑상선기능저하증 치료 중 나타나는 문제점 = 366
5. 무증상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치료 = 369
Ⅴ. 점액부종 혼수 = 372
1. 임상소견 및 진단 = 372
2. 치료 = 373
Ⅵ. 중추성 갑상선기능저하증 = 373
1. 원인 = 373
2. 임상소견 = 374
3. 진단 = 374
4. 치료 = 375
제19장 갑상선염
Ⅰ. 급성 화농성 갑상선염 = 379
1. 원인 및 병인 = 379
2. 임상소견 및 진단 = 380
3. 치료 및 경과 = 382
Ⅱ. 아급성 갑상선염 = 382
1. 빈도 = 382
2. 원인 = 382
3. 병리 및 병인 = 382
4. 임상소견 = 383
5. 검사소견 = 385
6. 진단 및 감별진단 = 386
7. 치료 및 경과 = 386
Ⅲ. 무통성 갑상선염 = 387
1. 빈도 = 387
2. 원인 = 387
3. 병리 = 388
4. 임상소견 = 388
5. 검사소견 = 388
6. 진단 및 치료 = 389
Ⅳ. 만성 림프구성 갑상선염 = 391
1. 빈도 = 391
2. 병리 및 발병기전 = 391
3. 임상소견 = 393
4. 검사소견 = 395
5. 하시모토 갑상선염의 임상 변형 = 395
6. 진단 및 치료 = 397
7. 경과 = 397
Ⅴ. 약제-유발 갑상선염 = 398
1. 아미오다론-유발 갑상선염 = 398
2. 리치움 = 399
3. Interferon α 및 IL-2 = 399
Ⅵ. 리델 갑상선염 = 399
제20장 비중독성 미만성 및 결절성 갑상선종
Ⅰ. 정의 = 403
Ⅱ. 원인 = 403
Ⅲ. 병리 및 병인 = 404
1. 병리 = 404
2. 병인 = 404
Ⅳ. 임상소견 = 406
1. 빈도 = 406
2. 임상상 = 406
Ⅴ. 진단 = 407
Ⅵ. 치료 = 408
1. 수술 = 408
2. 방사성요오드 = 408
3. T₄억제요법 = 409
4. 치료법 선택 = 409
Ⅶ. 경과 및 예후 = 410
Ⅷ. 흉골하갑상선종 = 410
1. 원인 = 410
2. 빈도 = 410
3. 분류 = 411
4. 임상소견 = 411
5. 진단 및 치료 = 411
제21장 갑상선결절
Ⅰ. 정의, 빈도 = 415
1. 정의 = 415
2. 빈도 = 415
Ⅱ. 병리학적 분류 및 병인 = 416
1. 갑상선결절의 조직학적 분류 = 416
2. 병리학적 감별진단 = 419
Ⅲ. 자연경과 = 420
Ⅳ. 임상소견과 진단 = 421
1. 병력 = 421
2. 증상 및 징후 = 421
3. 악성결절과 양성결절의 감별 = 422
4. 검사소견 = 423
5. 진단적 접근과 치료법 선택 = 436
Ⅴ. FNA 결과에 따른 갑상선결절의 치료 및 관리 = 439
1. 비진단적 FNA 결과 = 439
2. 양성결절 = 439
3. 의미 불확정 비정형성/의미 불확정 여포성 병변 FNA 결과 = 441
4. 여포성 종양/허들세포 종양 = 441
5. 악성 의심 FNA = 442
6. 악성결절 = 442
Ⅵ. 특별한 조건의 갑상선결절 관리 = 442
1. 낭성결절의 치료 및 관리 = 442
2. 비중독성 다결절성 갑상선종의 치료 및 관리 = 444
3. 자율기능성 갑상선결절 = 445
4. 임신 중 갑상선결절의 치료 및 관리 = 445
제22장 갑상선암 - 역학, 병인
Ⅰ. 갑상선암의 역학 = 451
1. 빈도 = 451
2. 위험인자 및 유발인자 = 456
Ⅱ. 갑상선암의 분자 병인론 = 462
1. 갑상선 여포세포 증식의 조절 = 462
2. 갑상선종양에서 나타나는 분자 수준의 이상 = 462
3. 갑상선종양 발생의 단계적 기전 = 475
제23장 갑상선 분화암
Ⅰ. 임상소견 및 감별진단 = 483
1. 병력 = 483
2. 이학적소견 = 483
3. 원격전이의 임상소견 = 484
4. 진단 = 484
Ⅱ. 예후 및 병기분류 = 484
1. 사망률 = 484
2. 예후 = 485
3. 병기분류 = 498
Ⅲ. 일차치료 = 503
1. 수술 = 503
2. 방사성요오드치료 = 511
3. TSH 억제요법 = 520
4. 외부방사선조사 또는 화학요법 = 523
Ⅳ. 일차치료 후 장기 추적관리 = 523
1. 장기 추적의 목표 및 의의 = 523
2. 장기 추적에서 재발 위험에 따른 환자 분류 = 524
3. 장기 추적관찰에서 사용하는 진단방법 = 524
4. 일차치료가 완료된 저위험군 환자의 경과관찰 = 530
5. [TEX]$${}^{131}$$[/TEX]I 전신스캔이 음성이며 혈청 Tg는 증가한 경우의 경과관찰 = 531
6. Tg 항체가 양성인 경우의 경과관찰 = 533
7. 갑상선 잔여조직이 남아 있는 경우의 경과관찰 = 535
8. 일차치료 후 위험 층화와 장기 추적관리 = 535
Ⅴ. 재발, 전이 병소 및 [TEX]$${}^{131}$$[/TEX]I 불응성 분화암에 대한 치료 = 536
1. 국소전이 환자의 치료 = 537
2. 호흡소화관 침입 환자의 수술요법 = 537
3. 폐전이의 치료 = 538
4. 골전이의 치료 = 538
5. 뇌전이의 치료 = 539
6. 외부방사선조사 = 540
7. 항암약물치료 = 540
8. 진행성 갑상선 분화암의 새로운 분자표적치료법 = 540
Ⅵ. 방사선요오드치료 부작용에 대한 대책 = 545
제24장 갑상선 수질암 및 제2형 다발성내분비선종
Ⅰ. 분류 및 역학 = 555
Ⅱ. 병이 및 분자 종양발생기전 = 556
1. 병리 = 556
2. C-세포 증식 = 557
3. C 세포 분비물 = 557
4. 분자 종양발생기전 = 558
Ⅲ. 임상소견 = 562
1. 산발형 갑상선 수질암 = 562
2. MEN 2A = 563
3. MEN 2B = 564
4. 가족성 갑상선 수질암 = 564
Ⅳ. 진단 = 564
1. 임상적으로 명백한 갑상선 수질암 = 564
2. MEN 2 증후군의 스크리닝 = 565
Ⅴ. 치료, 경과관찰 및 예후 = 567
1. 수술 전 검사 = 567
2. 수술 = 567
3. 수술 후 경과 관찰 = 568
4. 장기간 추적 및 처치 = 571
5. 예후 = 571
Ⅵ. 가족형 수질암 환자 가족에서 예방갑상선절제술 = 571
Ⅶ. 갑상선 수질암의 분자표적치료 = 573
제25장 역형성 갑상선암 및 기타 암
Ⅰ. 역형성 갑상선암 = 577
1. 빈도 및 역학 = 577
2. 원인 = 578
3. 병리 = 580
4. 임상소견 = 582
5. 병기분류, 사망률 및 예후 = 582
6. 치료 = 584
Ⅱ. 갑상선 림프종 = 588
1. 빈도 = 588
2. 원인: 하시모토 갑상선염과의 관계 = 589
3. 병리 = 589
4. 임상소견 = 589
5. 진단 및 병기분류 = 591
6. 예후 = 591
7. 치료 = 592
제26장 임신과 갑상선
Ⅰ. 모체 갑상선기능 = 595
1. 정상 임신에서의 갑상선기능 조절 = 595
2. 임신 중 갑상선호르몬 농도의 변화 = 597
3. 임신 중의 갑상선종 = 599
Ⅱ. 태아 갑상선기능 = 600
1. 개체발생 = 600
2. 임신 중 태아 갑상선호르몬 변화 = 600
3. 양수의 갑상선호르몬 = 601
4. 모체-태반-태아의 상호작용 = 601
5. 출생 후 갑상선기능 변화 = 602
Ⅲ. 임신 중 및 출산 후의 갑상선기능항진증 = 602
1. 임신 중 모체 갑상선기능항진증 = 602
2. 태아 및 신생아 갑상선기능항진증 = 610
3. 임신입덧 및 임신일과성갑상선기능항진증 = 612
4. 산후갑상선중독증 = 613
Ⅳ. 임신 중의 갑상선기능저하증 = 613
1. 모체 갑상선기능저하증 = 613
2. 태아 및 신생아 갑상선기능저하증 = 621
Ⅴ. 임신 중의 갑상선결절 및 암 = 622
1. 갑상선결절의 빈도, 병리 및 성장 = 622
2. 임신 중 갑상선결절에 대한 접근 = 623
3. 새로 진단한 갑상선암의 수술 적응증 = 624
4. 과거에 갑상선암으로 진단된 환자의 관리 = 624
Ⅵ. 임신과 자가면역성 갑상선질환 = 625
1. 임신 중 면역현상의 변화 = 625
2. 출산 후 면역 변화 = 627
3. 임신과 자가면역성 갑상선질환 = 628
Ⅶ. 임신과 요오드섭취 = 629
Ⅷ. 산후 갑상선염 = 630
1. 유병률 = 630
2. 원인 및 위험인자 = 630
3. 임상소견 및 경과 = 635
4. 진단 = 636
5. 추적 관찰 및 예후 = 637
6. 치료 = 637
7. 스크리닝, 예방 = 638
Ⅸ. 임신 중 갑상선기능장애에 대한 스크리닝 = 639
제27장 노인에서의 갑상선질환
Ⅰ. 연령 증가에 따른 갑상선의 형태적 변화 = 645
Ⅱ. 노인에서의 갑상선생리 = 645
1. 갑상선호르몬의 합성, 분비 및 대사 = 645
2. 시상하부-뇌하수체-갑상선 축 = 646
Ⅲ. 노인에서의 갑상선질환 = 647
1. 갑상선기능저하증 = 647
2. 갑상선기능항진증 = 649
3. 갑상선 결절 및 암 = 651
제28장 갑상선호르몬내성증후군
Ⅰ. 갑상선호르몬수용체 결손에 의한 갑성선호르몬내성증후군 = 656
1. 베타 갑상선호르몬수용체 유전자 돌연변이 = 656
2. 알파 갑상선호르몬수용체 유전자 돌연변이 = 662
Ⅱ. 갑상선호르몬운반 결손 = 663
1. 임상소견 = 663
2. 검사소견 및 진단 = 663
3. 발병기전 = 663
4. 치료 = 663
Ⅲ. 갑상선호르몬대사 결손 = 664
1. 세포내 갑상선호르몬대사 = 664
2. 임상소견 = 664
3. 검사소견 및 감별진단 = 664
4. 치료 = 664
제29장 선천성 갑상선질환
Ⅰ. 선천성 갑상선기능저하증 = 667
1. 원인별 분류 및 빈도 = 667
2. 임상소견 = 668
3. 진단 = 668
4. 치료 = 669
Ⅱ. 갑상선발생의 유전적 결손 = 669
1. TITF1 결손 = 670
2. FOXE1 결손 = 670
3. PAX8 돌연변이 = 671
Ⅲ. 갑상선호르몬합성의 유전적 결손 = 671
1. 시상하부-뇌하수체 결손 = 671
2. 갑상선 여포세포 수준에서 호르몬합성장애 = 673
3. 갑상선호르몬결합단백 이상 = 677
Ⅳ. 갑상선발생 이상 = 677
1. 갑상설관낭 = 677
2. 이소갑상선 = 677
3. 갑상선 편측무발생 = 678
찾아보기 = 683
INDEX = 6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