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노인교육학 연구 개정판

노인교육학 연구 개정판 (Loan 3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한효섭 전은희, 저 조서목, 저
Corporate Author
한국노인교육연구소, 편
Title Statement
노인교육학 연구 / 한효섭, 전은희, 조서목 지음 ; [한국노인교육연구소 엮음]
판사항
개정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부산 :   한얼꿈출판사,   2014  
Physical Medium
390 p. : 삽화, 악보 ; 30 cm
Series Statement
노인교육학 교재 ;4
ISBN
9791195065219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376-390
000 00786namcc2200277 c 4500
001 000045819620
005 20141230141151
007 ta
008 141230s2014 bnkag b 000c kor
020 ▼a 9791195065219 ▼g 0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4 ▼2 23
085 ▼a 374 ▼2 DDCK
090 ▼a 374 ▼b 2014z1 ▼c 4
100 1 ▼a 한효섭 ▼0 AUTH(211009)110104
245 1 0 ▼a 노인교육학 연구 / ▼d 한효섭, ▼e 전은희, ▼e 조서목 지음 ; ▼e [한국노인교육연구소 엮음]
250 ▼a 개정판
260 ▼a 부산 : ▼b 한얼꿈출판사, ▼c 2014
300 ▼a 390 p. : ▼b 삽화, 악보 ; ▼c 30 cm
440 0 0 ▼a 노인교육학 교재 ; ▼v 4
504 ▼a 참고문헌: p. 376-390
700 1 ▼a 전은희, ▼e▼0 AUTH(211009)70417
700 1 ▼a 조서목, ▼e▼0 AUTH(211009)109192
710 ▼a 한국노인교육연구소,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4 2014z1 4 Accession No. 11172828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저자 서문 = 3
책을 읽기 전에 미리 보기 = 9
독자에게 던지는 이야기 = 10
제1장 노인교육학 연구
 1. 들어가면서 = 23
 2. 노인교육학 연구 = 24
 3. 노인교육학의 개념 = 25
 4. 노인교육학과 노년교육학 비교 = 27
 5. 노인교육학과 평생교육학 = 29
 6. 노인교육학의 이해
 7. 나가면서 = 31
제2장 노인교육복지의 이해
 1. 들어가면서 = 37
 2. 노인교육복지의 개념과 정의 = 37
 3. 노인교육복지의 접근방법과 목적 = 39
 4. 노인교육복지의 중요성과 필요성 = 39
  1) 노인교육복지의 중요성 = 39
  2) 노인교육복지의 필요성 = 40
 5. 노인교육복지의 현황과 문제점 = 43
  1) 노인교육복지의 현황 = 43
  2) 노인교육복지의 문제점 = 45
 6. 노인교육복지사의 역할 = 46
 7. 나가면서 = 47
제3장 노인교육의 개요
 1. 들어가면서 = 53
 2. 노인교육의 등장 = 54
 3. 노인교육의 필요성 = 56
 4. 노인교육의 개념 = 59
 5. 노인교육의 목적 = 60
 6. 노인교육의 영역 = 61
 7. 노인교육의 내용 = 62
 8. 노인교육의 성격 = 66
 9. 노인교육의 범위 = 68
 10. 노인교육의 문제점 = 69
 11. 노인교육 전망과 과제 = 72
 12. 나가면서 = 72
제4장 한국노인교육의 역사
 1. 들어가면서 = 79
 2. 한국노인교육의 태동 = 79
 3. 한국노인교육의 변천 = 86
 4. 한국노인교육의 실태 = 102
 5. 한국노인교육기관의 실태 = 109
 6. 노인교육에 대한 학위논문 = 117
 7. 노인교육주제가의 배경과 해설 = 117
 8. 나가면서 = 126
제5장 노인의 개요
 1. 들어가면서 = 133
 2. 노인의 개념 = 134
 3. 노인의 특징 = 136
 4. 노인에 대한 관점 = 140
 5. 노인을 지칭하는 말 = 140
 6. 미래 노인의 개념 = 142
 7. 나가면서 = 144
제6장 노화의 개요
 1. 들어가면서 = 151
 2. 노화의 개요 = 152
 3. 노화과정 = 152
 5. 노화의 특징 = 156
 6. 21세기 노화의 새로운 이해 = 158
 7. 나가면서 = 162
제7장 성공적 노화
 1. 들어가면서 = 167
 2. 성공적 노화의 개념 = 167
 3.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인 = 173
 4. 성공적 노화에 관한 세대별 인식 = 188
 5. 나가면서 = 190
제8장 한국노인의 지혜척도개발
 1. 들어가면서 = 195
 2. 지혜의 개념 = 195
 3. 노년기와 지혜 = 199
 4. 지혜의 문화적 접근 = 201
 5. 지혜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 203
 6. 지혜의 구성요인에 관한 연구 = 212
제9장 여성노인교육
 1. 들어가면서 = 223
 2. 여성노인의 특성 = 224
 3. 여성노인 연구의 필요성 = 225
 4. 여성노인의 노후특성 및 영향요인 = 226
 5. 여성노인교육의 문제점 = 230
 6. 고부갈등의 문제 = 231
 7. 여성노인의 경제생활 = 233
 8. 독거여성노인 = 234
 9. 여성노인교육의 과제 = 235
 10. 나가면서 = 236
제10장 외국의 노인교육
 1. 들어가면서 = 241
 2. 일본의 노인교육 = 241
 3. 중국의 노인교육 = 247
 4. 미국의 노인교육 = 249
 5. 영국의 노인교육 = 253
 6. 독일의 노인교육 = 254
 7. 프랑스의 노인교육 = 258
 8. 오스트리아의 노인교육 = 259
 9. 캐나다의 노인교육 = 260
 10. 덴마크의 노인교육 = 263
 11. 나가면서 = 264
제11장 노인상담과 노인교육상담
 1. 들어가면서 = 269
 2. 노인상담의 정의 = 269
 3. 노인상담의 목적 = 269
 4. 노인상담의 영역 = 270
 5. 노인상담의 종류 = 270
 7. 노인상담의 개선 영역 = 274
 8. 노인교육상담 = 278
 9. 나가면서 = 279
제12장 노인교육과 성격유형
 1. 들어가면서 = 285
 2. 노인교육 = 285
 3. 노인교육과 성격유형 = 285
 4. 성격유형과 NSCI검사 = 286
 5. NSCI = 287
 6. NSCI 7대이론 = 288
 7. NSCI 16대 다양성원리 = 294
 8. NSCI 성향 = 295
 9. NSCI-CF 유형 = 296
 10. NSCI-CT 유형 = 296
 11. NSCI-CF 유형의 특징 = 297
 12. 나가면서 = 298
제13장 노인교육과 세대공동체교육
 1. 들어가면서 = 303
 2. 노인교육과 세대공동체 = 303
 3. 세대공동체교육의 목적 = 309
 4. 세대공동체교육의 내용 = 310
 5. 세대공동체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 312
 6. 세대공동체교육의 방법 = 313
 7. 세대공동체교육의 평가 = 315
 8. 미래사회와 세대공동체교육 = 317
 9. 나가면서 = 320
제14장 노인교육방법
 1. 들어가면서 = 325
 2. 노인교육방법의 개념 = 325
 3. 노인교육방법의 유의사항 = 325
 4. 노인교육 방법의 원리 = 325
 5. 노인교육의 교수원리 = 327
 6. 노인교육의 교수방법 = 328
 7. 나가면서 = 335
제15장 노인교육 평가론
 1. 들어가면서 = 341
 2. 노인교육평가의 원리 = 341
 3. 노인교육참여 평가 = 342
 4. 노인교육프로그램 평가 = 342
 5. 질문지 작성의 유의사항 = 343
 6. 질문지 조사방법 = 344
 7. 나가면서 = 345
제16장 노인교육단체 홍보방법
 1. 들어가면서 = 351
 2. 언론과 홍보방법 = 352
 3. 인터넷과 홍보방법 = 360
 4. 보도자료와 홍보자료 = 360
 5. 나가면서 = 361
제17장 평생교육에 대한 이해
 1. 들어가면서 = 367
 2. 평생교육의 제기 = 368
 3. 평생교육의 방향 = 369
 4. 평생교육의 개념 = 369
 5. 평생교육의 등장배경 = 371
 6. 평생교육의 사회적 욕구 = 371
 7. 평생교육의 필요성 = 372
 8. 한국평생교육의 성장요인 = 372
 9. 한국평생교육 발전의 저해요인 = 373
 10. 나가면서 = 374
참고문헌 = 376
저자약력 = 391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