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03camcc2200253 c 4500 | |
001 | 000045818733 | |
005 | 20141218165116 | |
007 | ta | |
008 | 111109s2011 ulka 000c kor | |
020 | ▼a 9788964068878 ▼g 00760 | |
035 | ▼a (KERIS)BIB000012592859 | |
040 | ▼a 211023 ▼c 211023 ▼d 211009 | |
082 | 0 4 | ▼a 410 ▼2 23 |
085 | ▼a 410 ▼2 DDCK | |
090 | ▼a 410 ▼b 2011z4 | |
100 | 1 | ▼a 허웅, ▼d 1918-2004 ▼0 AUTH(211009)5557 |
245 | 1 0 | ▼a 언어학 개론 / ▼d 허웅 지음 ; ▼e 권재일 엮음 |
260 | ▼a 서울 : ▼b 지식을만드는지식, ▼c 2011 | |
300 | ▼a 173 p. : ▼b 삽화 ; ▼c 19 cm | |
440 | 0 0 | ▼a 지식을만드는지식 천줄읽기 |
700 | 1 | ▼a 권재일, ▼d 1953-, ▼e 편 ▼0 AUTH(211009)41372 |
945 | ▼a KLPA | |
949 | ▼a 지만지 천줄읽기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10 2011z4 | Accession No. 111728075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6-07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고(故) 허웅(1918~2004) 교수가 소쉬르의 구조주의적 관점에 자신의 독창적인 관점을 접목하여 쓴 우리나라 최초의 언어학 개론서다. 아직까지도 개별언어학인 국어학이 일반언어학과 곧장 연결이 되지 않는 우리나라 실정에서 이 책은 선구적으로 일반언어학 이론의 토대 위에 개별언어학인 국어학의 연구 성과를 종합하고 있다는 점에서 고전으로서 그 가치를 인정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60대에 이런 책을 출간했다는 사실에 놀라움을 감출 수 없다.
**<지식을만드는지식 천줄읽기>는 오리지널 고전에 대한 통찰의 책읽기입니다. 전문가가 원전에서 핵심 내용만 뽑아내는 발췌 방식입니다.
≪언어학개론≫은 허웅 선생이 1960년대 초, 분명하고 독창적인 체계로 세운 언어학 이론을 우리 학계에 소개한 책이다. 유럽과 미국의 다양한 언어 이론을 바탕으로 하고 지은이의 관점에서 창의적으로 틀을 짜서 세운, 우리나라 처음의 언어학 개론서다. 이 책은 우리나라에서 언어학을 연구하고 국어학을 공부하는 데 있어 오랫동안 주요한 지침서가 되었다는 점에서 한국 언어학의 고전으로 높이 평가된다. 이 책이 당대 국어학계와 언어학계의 발전에 끼친 영향은 실로 컸다. 이 책은 원전의 약 30%를 발췌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허웅(지은이)
20세기 후반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언어학자이자 국어학자였으며, 한편으로는 국어 운동가였다. 생전에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와 한글학회 회장을 오랫동안 지냈다. 1918년에 태어나 2004년 86세에 돌아가셨다. 허웅 선생의 국어 연구는 민족 문화를 잇고 가꾸는 데서 시작했다. 청년 시절 최현배 선생의 ≪우리말본≫을 처음 대하면서 자신이 나아가야 할 앞길을 결정한다. 그래서 ‘한 나라의 말은 그 나라의 정신이며, 그 겨레의 문화 창조의 원동력이다’라는 생각을 일찍이 마음에 간직했다. 이러한 생각은 허웅 선생 학문의 바탕이 되었으며, 평생을 일관되게 지닌 학문적 태도였다. 그래서 허웅 선생 학문의 성격을 한마디로 말하자면 ‘연구’와 ‘실천’, 둘의 조화라고 하겠다. 선생의 학문은 국어 연구를 언어과학으로 승화시켰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어를 지키고 가꾸는 실천 운동을 전개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15세기 국어 형태론은 앞에 든 ≪우리 옛말본≫에 집대성되어 있다. 15세기 국어 문법에 대한 공시적 연구에 이어, 선생은 국어 문법사 연구에 착수했다. 우선 범주별 연구에 들어가, 때매김법의 변화를 추적했다. 각 시기별 때매김법을 공시적으로 기술함과 동시에 시기별로 변화해 움직이는 모습을 연구했다. 그 결과는 15세기에서 지금에 이르는 때매김법사 연구인 ≪국어 때매김법의 변천사≫(1987)에 정리되어 있다. 그 이후 선생은 국어 문법사 연구의 방법을 수정하여, 세기별로 공시적으로 기술하고 이를 바탕으로 변화의 모습을 추적했는데, 그 첫 결실은 16세기 국어 문법의 공시적 기술과 그 15세기로부터의 변화를 다룬 ≪16세기 우리 옛말본≫(1989)과 ≪15·16세기 우리 옛말본의 역사≫(1991)로 나타났다.
권재일(엮은이)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언어학과 및 동 대학원 언어학과 졸업(문학박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언어학과 교수 역임, 현재 동 대학교 명예교수. 국어심의회 위원, 남북공동겨레말큰사전 편찬위원장, 국립국어원 원장, 한글학회 회장 역임. 저서로 <한국어 문법론>, <한국어 문법사>, <언어학사강의>, <세계언어의 이모저모>, <남북언어의 문법 표준화>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해설9 지은이에 대해18 말이란? 1. 말의 정의25 2. 언어기호의 성격27 3. 말의 개별성과 사회성32 언어의 정태와 진화 1. 정태와 진화38 2. 정태와 진화의 연구39 3. 정태와 진화 연구의 의존성과 독자성41 말의 소리 1 (음성학) 1. 음성과 음성학49 2. 음성기관50 3. 자음51 4. 모음55 5. 소리의 세기, 높이, 길이57 6. 음절58 말의 소리 2 (음운론) 1. 음성과 음운60 2. 음성학과 음운론64 3. 음운의 대립 관계와 결합 관계67 4. 음운 분석68 5. 운율음운71 의미 (의미론) 1. 의미와 의미론73 2. 단의, 유연성과 무연성77 3. 복의79 4. 반대어84 5. 어휘의 구조85 문법 1. 문법과 문법학87 2. 문법학의 두 부문90 3. 형태론93 4. 통사론103 5. 문법범주110 문자 1. 문자의 발생114 2. 중국 문자116 3. 한자의 표음문자화118 4. 이집트 문자의 표음문자화121 5. 훈민정음122 말의 변함 1 (소리의 변함) 1. 통합적 관계로 일어나는 변화125 2. 연합적 관계로 일어나는 변화133 3. 그 밖의 원인으로 일어나는 변화135 말의 변함 2 (의미의 변화) 1. sense 사이의 관련성으로 일어나는 의미 변화138 2. name 사이의 관련성으로 일어나는 의미 변화142 3. name과 sense의 동시적 관련 의미 변화144 언어의 비교 1. 언어의 친족관계147 2. 친족관계의 증명/대응의 통칙149 3. 공통조어의 복원152 4. 언어의 계통적 분류156 방언 1. 방언158 2. 방언지리학162 언어학의 발자취 1. 18세기까지의 언어 연구164 2. 19세기의 역사/비교언어학167 3. 20세기의 언어 연구170 엮은이에 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