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10camcc2200241 c 4500 | |
001 | 000045818070 | |
005 | 20141211094459 | |
007 | ta | |
008 | 110303s2011 ulkad b 000c kor | |
020 | ▼a 9788959780778 ▼g 93390 | |
035 | ▼a (KERIS)BIB000012336678 | |
040 | ▼a 221008 ▼d 211009 | |
082 | 0 4 | ▼a 352.379 ▼2 23 |
085 | ▼a 352.379 ▼2 DDCK | |
090 | ▼a 352.379 ▼b 2011 | |
100 | 1 | ▼a 장월수 |
245 | 1 0 | ▼a 보안총론 = ▼x Introduction to security : ▼b 보안의 기본서 / ▼d 장월수 著 |
260 | ▼a 서울 : ▼b 한국국방연구원, ▼c 2011 | |
300 | ▼a vii, 640 p. : ▼b 삽화, 도표 ; ▼c 26 cm | |
500 | ▼a 부록: 1. 용어의 정의, 2. 외국비밀관리법규 | |
504 | ▼a 참고문헌: p. 638-640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52.379 2011 | 등록번호 12123155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본서는 보안업무 담당자.종사자, 보안학.경호학.군사학.경찰학 등을 배우는 학생들이 반드시 습득해야할 보안의 기본서이다. 일반인들에게도 필요한 보안상식을 다양하고 폭넓게 수록하였다.
책의 구성은 첫째, 보안의 정의·분류·역사, 보안관련 용어 정립 및 100여개에 이르는 보안관련 법규를 소개하였고, 둘째, 미래 보안위협에 대한 CEO, 기관장, 사회 저명인사 및 보안관계자 등이 지켜야할 보안원칙을 정립하였다. 셋째, 보안 기능별 세부수행 방법과 업무분야별 보안기능을 접목시켜 어느 분야에서든 보안을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넷째, 보안사고 발생 시 조사관들과 피조사관들이 갖추어야할 자세와 보안사고 판례를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보안경제, 보안전쟁사 및 국외 정보기관 등을 상세히 기술하였다.
정보화시대를 맞이하여 보안도 국가안보와 국가이익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학문이자 기술로 발전하였다. 특히, 보안 기술은 외국의 것을 그대로 도입할 경우 그 피해가 바로 국민에게 영향을 끼치는 상황에 이르렀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독자적인 전문기술, 제도 및 인력 등을 갖추어야 한다. 본 도서는 보안업무 담당자·종사자, 보안학·경호학 ·군사학·경찰학 등을 배우는 학생들이 반드시 습득해야할 보안의 기본서이다. 또한, 일반인들에게도 필요한 보안상식을 다양하고 폭넓게 수록하였다.
본 책자의 구성은 첫째, 보안의 정의·분류·역사, 보안관련 용어 정립 및 100여개에 이르는 보안관련 법규를 소개하였다. 둘째, 미래 보안위협에 대한 CEO, 기관장, 사회 저명인사 및 보안관계자 등이 지켜야할 보안원칙을 정립하였다. 셋째, 보안 기능별 세부수행 방법과 업무분야별 보안기능을 접목시켜 어느 분야에서든 보안을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보안사고 발생 시 조사관들과 피조사관들이 갖추어야할 자세와 보안사고 판례를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보안경제, 보안전쟁사 및 국외 정보기관 등을 상세히 기술하였다.
정보제공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