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976camcc2200301 c 4500 | |
001 | 000045817235 | |
005 | 20141202185001 | |
007 | ta | |
008 | 141027s2014 ulkad 000c kor | |
020 | ▼a 9791130400891 ▼g 03300 | |
035 | ▼a (KERIS)BIB000013608024 | |
040 | ▼a 241018 ▼c 241018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004.67/80112 ▼2 23 |
085 | ▼a 004.6780112 ▼2 DDCK | |
090 | ▼a 004.6780112 ▼b 2014 | |
100 | 1 | ▼a Zittrain, Jonathan ▼q (Jonathan L.), ▼d 1969- ▼0 AUTH(211009)109176 |
245 | 1 0 | ▼a 인터넷의 미래 : ▼b 우리는 무엇을 멈춰야 하나? / ▼d 조너선 지트레인 지음 ; ▼e 박기순 옮김 |
246 | 1 9 | ▼a (The) future of the Internet and how to stop it |
260 |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c 2014 | |
300 | ▼a xviii, 532 p. : ▼b 삽화, 도표 ; ▼c 23 cm | |
650 | 0 | ▼a Internet |
650 | 0 | ▼a Internet ▼x Social aspects |
650 | 0 | ▼a Internet ▼x Security measures |
700 | 1 | ▼a 박기순, ▼e 역 ▼0 AUTH(211009)8928 |
900 | 1 0 | ▼a 지트레인, 조너선,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04.6780112 2014 | 등록번호 11172729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무엇을 멈춰야 하나? 잠금 시스템이 강화되고 인터넷 플랫폼이 포르노, 스팸, 바이러스, 취약한 보안으로 오염되며 소수 게이트키퍼의 손에 맡겨지는 미래다. 어떻게 멈출 수 있나? 새로운 생성적 모델을 강구해야 한다. 생성성이란 무엇인가? 인터넷의 개방성, 창의성, 혁신성이다. 저자는 인터넷과 인터넷을 존재하게 만든 컴퓨터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이 책은 인터넷의 미래에 대한 의미 있는 토론의 시작이다.
인터넷의 미래와 직면한 가장 중요한 문제들을 이 책보다 더 강력하게 더 직접적으로 말하는 책은 없다
그동안 인터넷의 미래에 대한 토론은 핵심에서 벗어나 주변에만 머물렀다. 의미 있는 토론은 법률학자와 연구자의 몫이었다. 인터넷의 미래와 잠재력에 대해 법률학자뿐만 아니라 시민 누구나 토론하고 고민하게 되는 데에 많은 시간이 걸렸다. 이 책의 저자 조너선 지트레인은 인터넷의 부정적 현실을 보고 우리가 그것을 어떻게 고칠 수 있는지 실마리는 제시한다. 인터넷과 인터넷을 존재하게 만든 컴퓨터에 대해 친절하게 설명한다.
인터넷의 긍정적인 미래는 어디서 발견할 수 있나?
인터넷의 미래는 어두운가? 긍정적인 미래는 발견할 수 없는가? 우리가 직면한 문제를 멈추지 않는다면 분명 어두운 미래가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긍정적인 미래는 어디서 발견할 수 있나? 저자는 긍정적인 미래 가능성의 예로 위키피디아를 들었다. 사람들은 위키피디아 콘텐츠의 모든 것을 마음대로 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위키피디아의 자료를 제공하거나 바꾸는 여러 가지 방식을 마음대로 실험할 수 있다. 공동 목적을 공유하는 자신의 공동체에 호소하고 공동체 윤리와 감시 활동을 통해 문제를 해결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조너선 지트레인(지은이)
하버드대학교 법대 법학 교수다. 인터넷과사회를위한버크만연구소(The Berkman Center for Internet & Society)의 공동 창설자이고 현재 공동 소장직을 맡고 있다. 1970년생으로 예일대학교를 졸업한 뒤 하버드대학교에서 법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연구 관심 분야는 디지털 재산과 콘텐트의 통제, 암호 해독, 전자 프라이버시, 인터넷 관리, 테크놀로지 교육, 사이버법 등이다. 법과 정책을 다양한 인터넷 분야와 연관시켜 가르치고 연구하는 미국의 엘리트 소장 학자다. 대표 저서로는 The Future of the Internet - And How to Stop It(2008), Access Denied(2008), The Torts Game(2005) 등이 있고 많은 연구 논문들을 학술지에 게재했다.
박기순(옮긴이)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명예교수다. 한국외국어대학교 독어과를 졸업하고 미주리대학교(콜럼비아) 저널리즘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미시건주립대학교(이스트랜싱) 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석사학위와 오하이오대학교(애신스) 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성균관대학교에 재직 중 사회과학대학장과 학부장을 역임했다. 한국PR학회와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의 회장에 각각 선출되어 학회 발전에 기여했다.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관련 저서로 「한국인과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공저, 2001) 등이 있고, 역서로는 「세계 문화 이해: 김치에서 오페라까지, 상징과 비유로 읽는 세계 문화」(공역, 2002),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공역, 2007) 등이 있다.

목차
역자 서문 로런스 레식의 머리말 저자의 서문 서론 1부 생성적 넷의 등장과 정지 01 상자들의 싸움 02 네트워크의 싸움 03 사이버 보안과 생성적 딜레마 2부 정지 후 04 생성적 패턴 05 속박된 장치, 서비스로서의 소프트웨어 그리고 완전한 시행 06 위키피디아의 교훈 3부 문제의 해결 07 인터넷의 미래를 중단하기: 생성적 넷에서의 안정성 08 생성적 미래를 위한 전략 09 생성성의 위험에 대처하기: 프라이버시 2.0 결론 감사의 말 미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