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134camcc2200349 c 4500 | |
001 | 000045815987 | |
005 | 20141118133040 | |
007 | ta | |
008 | 141117s2013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99700774 ▼g 93180 | |
035 | ▼a (KERIS)BIB000013131238 | |
040 | ▼a 211023 ▼c 211023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616.89/1656 ▼2 23 |
085 | ▼a 616.891656 ▼2 DDCK | |
090 | ▼a 616.891656 ▼b 2013z1 | |
100 | 1 | ▼a Liebmann, Marian, ▼d 1942- ▼0 AUTH(211009)95789 |
245 | 1 0 | ▼a 집단미술치료 : ▼b 주제와 활동에 대한 안내서 / ▼d Marian Liebmann 저 ; ▼e 최외선 [외]공역 |
246 | 1 9 | ▼a Art therapy for groups : ▼b a handbook of themes and exercises ▼g (2nd ed.)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2013 | |
300 | ▼a 485 p. : ▼b 삽화 ; ▼c 24 cm | |
500 | ▼a 공역자: 김갑숙, 전종국, 최윤숙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650 | 0 | ▼a Art therapy ▼v Handbooks, manuals, etc. |
650 | 0 | ▼a Group psychotherapy ▼v Handbooks, manuals, etc. |
700 | 1 | ▼a 최외선, ▼e 역 ▼0 AUTH(211009)79472 |
700 | 1 | ▼a 김갑숙, ▼e 역 ▼0 AUTH(211009)47392 |
700 | 1 | ▼a 전종국, ▼e 역 ▼0 AUTH(211009)123252 |
700 | 1 | ▼a 최윤숙, ▼e 역 ▼0 AUTH(211009)141368 |
900 | 1 0 | ▼a 리브만, 마리안,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6.891656 2013z1 | 등록번호 11172651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이 책의 저자인 리브만(Liebmann)은 오랜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400개에 가까운 미술 활동부터 미술치료와 집단작업, 집단 운영 방법과 발생할 수 있는 문제, 구체적인 사례, 매체의 특징까지 수많은 사항을 자상하고 세밀하게 짚어 주고 있다. 특히 이 책의 초판부터 개정판에 이르기까지 20년 넘게 기울인 정성과 열정, 미술치료사로서의 솔직함 등이 매우 인상 깊다. 미술치료에 대한 깊은 애정과 헌신이 없고서는 만들어질 수 없었던 이 귀한 책을 우리나라 독자에게 소개할 수 있어서 기쁘다. 아울러, 이 책에 수록된 미술 활동을 스스로에게 혹은 내담자에게 실시하는 분들이 있다면 무엇보다 잃은 것과 얻지 못한 것에 대한 상실감과 분노보다 현재 가지고 있는 것을 감사하게 여기는 행복한 삶을 선택하기를 간절히 바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마리안 리브만(지은이)
교사, 지역사회사업가, 보호관찰관, 미술치료사로 일해 왔다. 그녀는 범죄자, 여성 집단, 지역사회 집단에 미술치료를 실시했으며, 현재는 영국 브리스톨에 있는 정신건강 서비스기관에서 미술치료를 하고 있다. 그녀는 영국과 아일랜드에 있는 여러 대학에서 미술치료에 대한 교육과 강의를 하고 있다. 또한 중재와 갈등 해결에 관한 일을 하고 있으며 많은 나라에서 미술과 갈등 워크숍을 진행했다. 그녀는 미술치료와 중재에 관한 7권의 책 그리고 그 외의 책들의 여러 부분을 쓰고 편집했다.
최외선(옮긴이)
영남대학교 명예교수 한국미술치료연구소장 (사)한국미술치료학회 고문 한국교류분석학회 고문 저서-『아동 미술치료』 외 다수

목차
역자 서문 = 3 2판 저자 서문 = 7 1판 저자 서문 = 9 서론 = 17 제1부 미술치료 집단 01 미술치료와 집단작업 = 25 미술치료: 몇 가지 정의 = 25 미술치료: 간략한 역사 = 26 미술치료: 이점 = 29 미술치료와 다양성 = 31 미술치료와 미술 활동 = 32 집단작업을 사용하는 이유 = 33 미술을 사용하는 이유 = 34 미술치료사들에 대한 설문조사 = 35 미술치료 집단작업의 다양한 방법 = 37 주제를 사용하는 이유 = 41 주제를 유연하게 사용하기 = 43 결론 = 46 참고문헌 = 46 02 집단 운영 = 49 집단 준비하기 = 50 동등한 기회 = 55 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요인 = 58 목표와 목적 = 60 집단 경계와 기본 규칙 = 61 집단의 크기 = 63 개방집단과 폐쇄집단 = 63 치료사와 촉진자의 역할 = 64 전이와 투사 = 66 회기의 일반적인 방식 = 69 회기의 대안적인 방식 = 69 도입과 ''웜업'' = 71 주제 선택 = 74 미술작업에 몰두하기 = 81 토론 = 83 해석 = 86 회기 종결 = 90 시간의 경과에 따른 집단 과정 = 91 기록과 평가 = 93 참고문헌 = 93 03 기록, 평가, 근거를 기반으로 한 실제 = 95 기록 = 96 공동촉진자 및 다른 직원과 함께하는 평가 = 100 집단구성원들이 참여하는 평가 = 103 감사 = 108 근거를 기반으로 한 실제와 양적 연구 = 110 근거를 기반으로 한 실제와 질적 연구 = 114 실무 연구 네트워크 = 117 미술치료 연구 등록부 = 117 결론 = 118 참고문헌 = 118 04 집단의 문제를 통해 배우기 = 121 외부 요인 = 122 공동촉진자 문제 = 123 방해하는 집단구성원 = 125 집단에서 일어난 강한 감정 = 127 경험에서 배우기 = 130 집단에 개입할 때 = 132 결론 = 133 참고문헌 = 134 05 구체적인 사례: ''금요일 집단'' = 135 최초의 아동기 기억 = 138 찰흙으로 나타낸 가족집단 = 138 집단구성원 = 140 생활선 = 143 집단 그림 = 153 녹는 거울 = 156 집단 벽화 = 158 결론 = 161 참고문헌 = 162 06 집단 사례 = 163 거주 시설 = 165 정신병동의 주간 환자/내담자 = 175 전문화된 주간 병동과 센터 = 189 직원 집단 = 206 지역사회 환경 = 233 감사의 글 = 246 참고문헌 = 247 07 특수한 내담자 집단을 위한 출발점 = 249 기관에 있는 내담자들 = 250 주간 시설에 참여하는 내담자들 = 254 제2부 주제와 활동 서론 = 269 주제와 활동의 분류 = 270 주제와 활동 목록 = 271 A. 웜업 활동 = 279 B. 매체 탐색 = 289 C. 집중, 민첩성, 기억 = 308 D. 일반적인 주제들 = 315 E. 자기인식 = 323 F. 가족관계 = 358 G. 짝지어 작업하기 = 370 H. 집단 그림 = 379 I. 집단 상호작용 활동 = 395 J. 유도된 이미지, 시각화, 꿈, 명상 = 414 K. 다른 예술과의 연계 = 433 L. 매체 상호 참고 = 448 M. 매체 설명 = 451 참고 자료 = 463 찾아보기 = 4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