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43camcc2200241 c 4500 | |
001 | 000045815500 | |
005 | 20141110100641 | |
007 | ta | |
008 | 141107s2014 ulka b 000c kor | |
020 | ▼a 9791130400846 ▼g 93300 | |
035 | ▼a (KERIS)BIB000013568954 | |
040 | ▼a KYOBO ▼c KYOBO ▼d 211046 ▼d 211009 | |
082 | 0 4 | ▼a 401.41 ▼a 612.82 ▼2 23 |
085 | ▼a 401.41 ▼2 DDCK | |
090 | ▼a 401.41 ▼b 2014z3 | |
100 | 1 | ▼a 조창연 ▼0 AUTH(211009)106214 |
245 | 1 0 | ▼a 기호학과 뇌인지과학의 커뮤니케이션 / ▼d 조창연 |
260 |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c 2014 | |
300 | ▼a x, 285 p. : ▼b 삽화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p. 263-285 | |
536 | ▼a 이 책은 2009년도 정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서 수행된 연구임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01.41 2014z3 | Accession No. 11172621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과정 중심 커뮤니케이션 연구는 무엇을 알 수 없나? 메시지 전달과 교환 분석으로는 해명할 수 없는 메시지 의미 작용이다. 기호학은 인간 상호작용의 어떤 점에 주목하나? 언어 기호 메시지가 일으키는 다양한 의미 생성 가능성이다. 뇌인지과학과 기호학의 통섭은 왜 필요한가? 인간 머릿속에서 기호들을 중재하는 메타 기호가 인지이기 때문이다. 인지 기호학에 천착해 온 저자가 기호학과 뇌인지과학의 개념, 이론을 통합 정리했다. 인간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새 관점을 얻을 수 있다.
이 책은 외부 자극이 어떤 과정을 거쳐 기호가 되고, 의미를 생성하며, 우리 삶의 일부를 구성하면서 영향을 미치는지를 기호학과 뇌인지과학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여기서 핵심 논점은 인지의 기호적 역할이다. 외부 자극이 신호를 거쳐 기호로 변환이 가능한 것은 인지가 메타 기호적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언어 기호나 영상 기호를 사용하면서 일상의 커뮤니케이션을 영위할 수 있는 것도 우리 뇌에서 인지가 이러한 작용을 하기에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이 책은 인지의 기능과 역할을 기호학적 관점에서 살펴보는 인지 기호학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호의 의미 생성과 전달을 통합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아울러 인지과학 이론과 뇌과학 이론을 통합한 뇌인지과학의 지식을 활용하여 기호학과 커뮤니케이션학의 학제 간 접점을 찾고 이 두 영역의 융합적 확장을 모색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조창연(지은이)
서원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다. 고려대학교에서 신문방송학을 공부하고 독일 베를린자유대학교(FU)에서 커뮤니케이션학과 기호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기호학회, 커뮤니케이션학회, 언론학회, 홍보학회, 광고홍보학회의 회원, 편집위원 및 임원을 역임했다. 현재 한국기호학회에서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일상에서의 대화를 비롯해 담론과 공론, 그리고 광고와 PR를 포함하는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현상을 기호학과 뇌인지과학의 시각에서 접근하고 이를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실제에 연결하는 융합·통섭적 프로젝트에 관심이 있다. 저서로 『기호학과 뇌인지과학의 커뮤니케이션』(2014), 『기호, 텍스트, 그리고 삶』(2006)이 있고, 역서로 『iBrain, 아이브레인: 디지털 테크놀로지 시대에 진화하는 현대인의 뇌』(2010), 『영화 인지 기호학』(2007), 『영상커뮤니케이션: 광고 이미지 전략』(2005)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퍼스의 기호학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이론적 현황, 문제점과 대안 모델”(2015), 커뮤니케이션과 기호학의 학제 연구인 “소셜 미디어의 매체 기호학적 함의-퍼스 기호학을 중심으로”(2014), “영상 기호와 그 의미 생성에 대한 뉴로 기호학적 탐색연구” (2013)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머리말 서론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 기호학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기호학적 선행 연구 선행 연구들의 평가 인지 기호학적 접근 방법 1부 인간과 커뮤니케이션의 기호학적 토대 01 인간 커뮤니케이션과 기호 02 기호의 개념과 구성 기호에 대한 다양한 관점 기호의 구성 형식 03 기호와 커뮤니케이션의 관계 커뮤니케이션의 기호학적 토대 기호학적 커뮤니케이션 모형 기호와 커뮤니케이션의 인지적 관점 04 인간,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기호의 융합 2부 인지 기호학적 논의 05 인지와 기호 인지의 개념과 접근법 06 발생적 인식론과 기호 발생적 인식론의 이론적 토대 인지 발달의 토대 07 인지 기호학의 콘셉트 인지적 표상으로 기호 인지 기호학의 구조 3부 기호의 의미 생성 08 기호의 의미에 대한 다양한 관점 지시 대상체로서의 의미 뜻으로서의 의미 맥락으로서의 의미 자극, 사용, 행동으로서의 의미 09 기호 의미 생성의 두 관점 존재론적 관점 인식론적 관점 10 분산 표상적 기호와 그 의미 생성 신경망의 분산 표상 신경망의 의미 생성 분산 표상의 세미오시스 4부 인지 기호학과 커뮤니케이션 11 기호와 커뮤니케이션 기존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문제점 인지 기호학과 커뮤니케이션 연구 12 커뮤니케이션의 인지 기호학적 관점 커뮤니케이션의 발생과 기호 생성 인지 접속으로 커뮤니케이션 13 커뮤니케이션의 인지 기호학적 구조 메타포와 커뮤니케이션 신경망 작용의 커뮤니케이션 14 인지 기호학의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의 메타포 프로세스 사례 연구 5부 두뇌와 기호 15 뇌와 퍼스 기호학 퍼스 기호학의 인식론적 토대 퍼스 기호학의 기호 생성 퍼스 기호학의 의미 생성 16 뇌의 기호학적 관점 뇌, 뉴런 그리고 기호 감각질의 기호적 기능 뇌의 기호 생성 뇌의 세미오시스 결론: 인지 기호학의 전망 커뮤니케이션(의미 소통)의 관점 의미 생성의 관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