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코칭 수퍼비전

코칭 수퍼비전 (Loan 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Passmore, Jonathan, 편 권수영, 역 김상복, 역 박순, 역 Allan, Julie, 저 Brennan, Diana, 저 Blumberg, Max, 저
Title Statement
코칭 수퍼비전 / Jonathan Passmore 엮음 ; 권수영, 김상복, 박순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시그마프레스,   2014  
Physical Medium
xiv, 329 p. : 삽화, 도표 ; 24 cm
Varied Title
Supervision in coaching : supervision, ethics, and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ISBN
9788968662034
General Note
저자: Julie Allan, Diana Brennan, Max Blumberg 외 25인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Employees -- Coaching of
000 01069namcc2200337 c 4500
001 000045815014
005 20141105101202
007 ta
008 141021s2014 ulkad b 001c kor
020 ▼a 9788968662034 ▼g 93180
040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658.3/124 ▼2 23
085 ▼a 658.3124 ▼2 DDCK
090 ▼a 658.3124 ▼b 2014z4
245 0 0 ▼a 코칭 수퍼비전 / ▼d Jonathan Passmore 엮음 ; ▼e 권수영, ▼e 김상복, ▼e 박순 옮김
246 1 9 ▼a Supervision in coaching : ▼b supervision, ethics, and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260 ▼a 서울 : ▼b 시그마프레스, ▼c 2014
300 ▼a xiv, 329 p. : ▼b 삽화, 도표 ; ▼c 24 cm
500 ▼a 저자: Julie Allan, Diana Brennan, Max Blumberg 외 25인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650 0 ▼a Employees ▼x Coaching of
700 1 ▼a Passmore, Jonathan, ▼e▼0 AUTH(211009)135430
700 1 ▼a 권수영, ▼e▼0 AUTH(211009)93283
700 1 ▼a 김상복, ▼e▼0 AUTH(211009)59924
700 1 ▼a 박순, ▼e▼0 AUTH(211009)12521
700 1 ▼a Allan, Julie, ▼e
700 1 ▼a Brennan, Diana, ▼e
700 1 ▼a Blumberg, Max,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58.3124 2014z4 Accession No. 11172587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국제적인 코칭 전문실천가팀에 의해 만들어진 책으로, 코칭 프랙티스의 핵심요소에 대한 기본지침을 제공한다. 1부 '수퍼비전 접근법', 2부 '코칭윤리와 법률', 3부 '전문성의 지속적 개발', 4부 '개인적 성찰'으로 구성되었다.

코칭은 세계적 수준에서 새롭게 발전하는 새로운 전문분야이다. 코칭에 대한 전문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보다 공식화된 분석과 규정, 윤리, 개인적 개발이 필요하다.
코치들의 지식 축적과 숙련을 위해 전문성의 지속적 개발(CPD)과 수퍼비전은 핵심적인 실천 사항이다. 코치들이 전문성 개발을 위해 다양한 도구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점검하는 것이 코칭 수퍼비전이다. 국제적인 코칭 전문실천가팀에 의해서 만들어진 이 책은코칭프랙티스의핵심요소에대한기본지침을제공한다.

저자들이 다루고 있는 주제는 다음과 같다.
● 수퍼비전을 위한 분석
● 윤리적 딜레마 다루기
● 코치 자격과 규정이 갖는 역할
● 전문적 기준과 인증을 위한 개발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조나단 패스모어(지은이)

공인된 심리학자로, 영국심리학회의 펠로우다. 또 ICF 자격을 보유한 코치이자 숙련된 수퍼바이저이며, 경영학과 심리학에서 5개의 학위를 가지고 있다. IBM Business Consulting, PWC를 비롯한 글로벌 기업, OPM, Embion과 같은 심리 컨설팅 회사와 함께 20년 넘게 코칭 및 인력 개발 분야에서 일했으며, 지금은 헨리 경영대학원 내 Henley Center for Coaching의 디렉터로 일하고 있다. 오랫동안 그의 고객들은 대기업 임원, 연예인, 정부 관료, 공공 부문 관리자, 창업가 등 다양하다. 이에 앞서 그는 여러 조직에서 임원 역할을 맡아 왔으며, 여러 이사회에서 비상임 이사직을 수행하고 있다. 조나단은 『The Coaches Handbook』, 『Top Business Psychology Models』(번역서: 『CEO를 위한 심리학 특강 50』), 『Mindfulness at Work』 등 30권의 책을 출판했고, 100편이 넘는 논문과 공동 저서를 펴냈다. 그는 전문 코칭 단체나 학계에서 여러 상을 수상하며, 코치, 그리고 연구자로서 인정받고 있다. Top 30 Global Gurus와 마샬 골드스미스-Thinkers 50에서 톱 8 코치로 선정됐다. .

권수영(옮긴이)

4대째 기독교를 믿는 집안의 3대 독자로 태어났다. 가문에서는 목회자로 자라기를 바랐지만, 부담감이 너무 커 수학도 못하면서 어린 시절부터 과학자가 되기를 꿈꿨다. 그러나 스무 살에 접한 독일의 신학자 본회퍼의 명제 “예수는 우리를 ‘종교’로 부른 것이 아니라 ‘삶’ 가운데로 부르셨다”는 통찰이 신학의 길로 이끌었다. 연세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며 삶의 부조리와 아픔을 접할 때마다 맹목을 사주하고 심지어 폭력마저 주문하는 종교의 휘두름에 황당해하면서, 내내 신학이 종교와 삶을 연결하는 다리를 놓을 수는 없는지 고민했다. 대학을 졸업하고 나서는 종교의 세계보다 삶의 자리인 사회를 변혁하는 데 관심이 생겨 사회윤리학을 공부하기 위해 미국으로 갔다. 그러나 보스턴대학교와 하버드대학교의 신학대학원에서 공부하며 인간의 심리와 내적 변화에 관심을 갖게 되어 종교심리학 및 상담학을 전공했고, 버클리연합신학대학원에서는 ‘종교와 심리학’을 전공해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한국상담진흥협회 등 국내 여러 상담 관련 협단체에서 회장을 역임하고, 《프로이트와 종교》, 《치유하는 인간》, 《관계에도 거리두기가 필요합니다》, 《공감에도 연습이 필요합니다》 등 다수의 책을 집필했다. 현재는 연세대학교 신과대학과 연합신학대학원에서 상담코칭학 교수로 후학을 가르치며, 20대부터 시작한 종교와 삶의 방정식을 푸는 일에 여전히 힘을 쏟고 있다.

김상복(옮긴이)

한국코칭수퍼비전아카데미supervision.co.kr 대표 한국코치협회(KSC_2011), 국제코칭연맹(PCC_2012) 코치 코칭 대상: 기업·공공조직·비영리조직 Owner, CEO, 임원코칭. 전문직(창작, 의료, 법률) 코칭 코칭 주제: 자기 강화, 성격 성찰, 리더십 승계, 중년 위기관리, 커플 관계, 생애 개발 근거 이론: 정신분석, 내러티브에 근거한 일대일 코칭 일대일/그룹 코칭수퍼비전 수퍼비전 영역: 역량 강화, 고객 분석과 코칭 기획, 코칭 프로그램과 코칭 마케팅 개발 전문 수퍼바이저 양성을 위한 수퍼비전 스쿨 운영. 코칭 전문서적 출판사 coachingbook.co.kr 운영 한국코치협회 ‘올해의 코치’(2013) 저서: 『코칭 튠업 21』(2017), 『누구나 할 수 있는 코칭 대화 모델』(2018), 『첫고객·첫세션 어떻게 할 것인가』(2019) 번역: 『정신역동과 임원코칭』(2019), 『10가지 코칭 주제와 사례 연구』(2022), 『코칭과 정신건강 가이드; 코칭에서 심리적 과제 다루기』(2022), 『정신역동 코칭: 30가지 고유한 특징』(2023), 『트라우마와 정신분석적 어프로치』(2023), 『101가지 코칭수퍼비전 기법과 실험』(2023 예정) 공역: 『코칭 수퍼비전』(2014), 『코칭 윤리와 법』(2018), 『코칭·컨설팅 수퍼비전의 관계적 접근』(2019), 『수퍼비전: 조력 전문가를 위한 일곱눈 모델』(2019), 『코치 앤 카우치』(2020), 『정신역동 마음챙김 리더십』(2021), 『정신분석심리치료의 기본과 실천』(2021) 코칭 연구와 교육, 교류를 위한 카페 운영 실전코칭과 Web-seminar: https://cafe.naver.com/webseminar 코칭 수퍼비전 School: https://cafe.naver.com/coachingsupervision 코칭 철학과 이론-실천과 쟁점 https://cafe.naver.com/coachingphilosophy 내러티브 코칭연구: https://cafe.naver.com/narrativecoaching 코칭 윤리와 심리치료 관계: https://cafe.naver.com/coachingntherapy 시스템 코칭-팀 코칭-그룹코칭: https://cafe.naver.com/systemcoaching 정신분석 코칭: https://cafe.naver.com/psychoanalytically

박순(옮긴이)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졸업(1972)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문학석사(상담학, 1981) 연세대학교 대학원 신학박사(상담학 전공, 2008) 연세다움상담코칭센터 원장 언더우드상담코치연구소 대표 서울사이버대학교 외래교수 KC교육대학원 겸임교수 한국목회상담협회/한국기독교상담심리치료학회 감독 한국상담학회/한국상담심리학회 수퍼바이저 (사)한국가족문화상담협회 수련감독 한국코치협회 전문코치(KPC) 중독전문가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합창단 단장 궁동산배드민턴클럽 고문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부 수퍼비전 접근법
 제1장 코칭 수퍼비전과 전문성의 지속적 개발 = 3
  서론 = 3
  코칭 수퍼비전 = 4
  코칭 윤리와 법 = 5
  전문성의 지속적 개발 = 6
  개인적 성찰 = 8
  결론 = 9
  참고문헌 = 9
 제2장 성찰 코칭 전문가 모델 = 11
  서론 = 11
  성찰 전문가의 기원 = 12
  성찰적 코칭 프랙티스 사례 = 13
  코치를 위한 성찰적 프랙티스 모델 = 15
   1단계 : 행동 연구 = 16 
   2단계 : 정신모델의 명명화와 재구성 = 17 
   3단계 : 변화 실행 = 18
  성찰적 코치 모델 - 과정과 표본 = 19
   1단계 : 행동연구 - 자료 발견과 의미 생성 = 19 
   2단계 : 정신모델의 명명화와 재구성 = 24
   3단계 : 변화의 실행 = 25
  결론 = 27
  참고문헌 = 27
 제3장 코치를 위한 액션러닝 수퍼비전 = 29
  서론 = 29
  코칭 수퍼비전의 배경 = 30
  액션러닝의 배경 = 31
  왜 액션러닝 수퍼비전 접근법을 사용하는가 = 32
  관련 사항 : 세부사항의 확정 = 34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 35
  ALS가 유용한 이유 : 이 접근의 장점은 무엇인가 = 39
  결론 = 40
  참고문헌 = 40
 제4장 게슈탈트 수퍼비전 모델 = 41
  서론 = 41
  게슈탈트의 핵심원리 = 42
   인간 기능의 속성 = 42 
   인간의 성장과 변화 과정 = 46
  수퍼비전에서 게슈탈트와 함께 작업하기 = 50
   현상학적 탐색 = 50 
   적극적 실험 = 52
  게슈탈트 수퍼비전 대 게슈탈트 심리치료 = 56
  결론 = 58
  참고문헌 = 58
 제5장 동료 그룹 모델을 활용하는 자기수퍼비전 = 61
  서론 = 61
  코칭 수퍼비전 = 62
  게슈탈트 - 간단한 개요 = 63
  게슈탈트 탐구 모델을 이용하는 자기수퍼 비전 = 64
   1차 질문 : 자기수퍼비전의 시작 = 65 
   2차 질문 : 수퍼바이저와 그룹의 관계 = 66
   3차 질문 : 그룹에 대한 수퍼바이저의 인식 = 69 
   4차 질문 : 수행 검토하기 = 69
  그룹수퍼비전 = 70
   3차 질문으로 되돌아보기 = 72 
  결론 = 74
  참고문헌 = 75
 제6장 내러티브 수퍼비전 - 경험적,'상상적' 장 = 77
  서론 = 77
  수퍼비전에서 내러티브로 작업하기 = 78
  경험적 장 = 80
   수퍼바이저-코치관계 = 81 
   경험적 장의 원리 = 83
  상상적 = 85
   상상된 = 85 
   가상적이고 상상력이 풍부한 = 87 
   이미지 = 88 
  상상력이 풍부한 수퍼비전 대화 개발하기 = 89
   내재하는 내러티브 발견하기 = 89 
   내러티브를 다른 방식으로 다시 이야기하기 = 90
   내러티브 기록하기 = 91
  결론 = 92
  참고문헌 = 92
 제7장 비지시적 코칭 수퍼비전 = 95
  서론 = 95
  지시적, 비지시적 행동 = 96
   코칭 수퍼비전에 대한 정의 = 97
  Carl Rogers의 영향력 = 100
   코칭 수퍼비전의 기능 = 102
  코칭에 대한 코칭 = 104
  성인 대 성인 관계로서의 수퍼비전 = 105
  내부 수퍼바이저 개발하기 = 106
  대인 간 과정 회상 = 109
  일지 기록하기 = 111
  결론 = 112
  참고문헌 = 112
 제8장 코칭 수퍼비전에서의 프레젠스 = 113
  서론 = 113
  '프레젠스'의 정의를 위해서 = 114
  무엇이 코칭 수퍼비전 '프레젠스'에 대한 우리의 이해 형성하는가 = 114
  프레젠스 배우기 : 몇 가지 단순한 연습 = 117
   1. 지면에 닿고 집중하여 숨쉬는 연습 = 117 
   2. 마음으로 들어가는 연습 = 117
  '코칭 수퍼비전'에 대한 정의를 향해서 = 118
  두 가지 정의를 수렴하기 = 119
  프레젠스는 어떻게 성찰적 학습을 열고 성찰적 전문가의 발달을 지원하는가 = 121
  강화된, 새로운 자질 개발하기 = 123
  프레젠스 안 혹은 밖에서 일하고 있는 때를 인식하기  = 124
   느끼고 준비됨 = 126 
   연결점 찾기 = 127 
   학습대화를 하게 함 = 127
  '프레젠스'는 다른 수퍼비전 모델과 어떻게 연결되는가  = 129
  코칭 수퍼바이저로서 우리 자신을 돌보기 = 130
  결론 = 131
  참고문헌 = 131
제2부 코칭윤리와 법률
 제9장 코칭에서의 윤리적인 체제 = 135
  서론 = 135
  윤리의 정의 = 136
  윤리적인 체계 = 137
  영국 코칭단체의 윤리강령 = 139
   코칭협회 = 139 
   유럽 멘토링 코칭협의회 = 141 
   국제코치연맹 = 143
   영국심리학회와 코칭심리학 특별그룹 = 147 
   윤리강령 고찰에 대한 요약 = 149
  요약 = 152
  참고문헌 = 153
 제10장 코칭윤리 - 코칭 프랙티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모형 개발 = 155
  서론 = 155
  윤리란 무엇인가 = 156
  코칭에 있어서 윤리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 158
  코칭 영역에 있어서 윤리의 출현 = 160
  왜 코칭을 위한 별도의 모형이 필요한가 = 162
  코칭윤리 모형 = 164
   1단계 : 인식(Awareness) = 165
   2단계 : 분류(Classify) = 165
   3단계 : 성찰, 지지 및 조언을 위한 시간(Time for reflection support, and advice) = 165
   4단계 : 시작(Initiate) = 165
   5단계 : 선택적 해법에 대한 평가(Option evaluation) = 167 
   6단계 : 갱신(Novate) = 167
  결론 = 167
  참고문헌 = 168
 제11장 코칭에서의 법적인 고려사항 = 169
  서론 = 169
  회사설립 = 170
  광고와 마케팅 = 172
  관계 수립을 위한 계약 = 174
  비밀보장 = 175
  정보보호 = 176
  결론 = 181
  참고문헌 = 182
제3부 전문성의 지속적 개발
 제12장 코치들을 위한 전문성의 지속적 개발 = 185
  서론 = 185
  CPD의 유익한 점 = 185
  CPD란 무엇인가 = 187
   중심 개념 = 187 
   CPD의 이해관계자 = 189 
   CPD와 코칭 전문가 단체 = 189
  CPD를 위해 효과적인 목표 정하기 = 191
   지식 = 191 
   태도 = 192
   숙련기술 = 192 
   CPD의 딜레마와 역설 = 193 
  수퍼비전-누가 코치를 코칭할 것인가 = 196
   효과적인 수퍼비전 수행하기 = 197
  체계적으로 그러나 적은 비용으로 지식 쌓기 = 199
  인증과 자격요건 = 201
   어떤 것이 제공되는가 = 201 
   올바른 선택하기 = 202 
   실천하기 = 203
  요약 = 207
  참고문헌 = 208
 제13장 지속적 성장을 위한 창의적 분석 = 209
  서론 = 209
  창의적 접근방법의 가치 = 210
   1. 적응적 무의식에의 접근 = 210 
   2. 학습 방식에 따른 작업 = 212
  우리 내면의 비판자를 다早기 위한 창의적 접근 = 215
   우리 내면의 비판자는 대처 전략으로 시작한다 = 215    
   내면의 비판자에시 연민으로 = 216
  내면의 비판자와 친구 되기 = 218
  내면의 비판자 연습 = 221
   다양한 양식을 창의성 있게 사용했을 때의 결과 = 223  
   자기 자신에 대한 개입을 설계하기 = 225
  결론 = 227
  참고문헌 = 228
 제14장 CPD에 의한 코칭 연구 수행과 검토 = 229
  서론 = 229
  CPD란 무엇인가 = 230
  전문실천가 코칭 연구란 무엇인가 = 230
   전문실천가의 코칭 연구가 아닌 것은 무엇인가 = 231   
   왜 전문실천가들이 코칭 연구를 하는가 = 231
  연구 과정 소개 = 231
   연구 목적의 확립 = 232 
   연구 주제의 선택 = 232 
   문헌 검토하기 = 234
   연구 패러다임의 선택 = 235
  양적연구 전략 = 236
   1. 이론 설정 = 236 
   2. 가설 세우기 = 239 
   3. 정량적 연구의 설계 = 240
   4. 표본추출 전략 = 243 
   5. 예비실험하기 = 243 
   6. 자료 수집 = 244
   7. 정량적 자료 분석 = 245 
   8. 정량적 연구의 발표 = 245
  정성적연구 : 사례연구 = 246
   사례연구의 발표 = 247 
   사례연구 설계에 있어서의 학술적 엄격성 = 247
  연구윤리 = 247
  결론 = 248
  참고문헌 = 249
제4부 개인적 성찰
 제15장 코치들의 학습을 위한 성찰일지 활용 = 255
  서론 = 255
  성찰이란 무엇인가 = 256
  코칭 회기에서 자료 모으기 = 258
   코칭 회기에서 자료 구하기 = 258 
   코칭에서 얻은 자료를 일지에 적기 = 259
   어떤 형식의 성찰일지를 쓸 것인가 = 260 
   코치들이 성찰일지에 쓰는 것은 무엇인가 = 261
  성찰일지 자료 정리하기 = 262
  성찰일지 내용 검토와 분석하기 = 266
  성찰을 통한 학습과 성찰 방법 배우기 = 268
   코치는 성찰일지를 통해 어떻게 배우는가 = 268 
   성찰적 학습의 방해 요인은 무엇인가 = 270
  결론 = 273
  참고문헌 = 274
 제16장 코치의 정서적, 윤리적, 인지적 역량 기르기 - 성장적 수퍼비전 모델 = 277
  서론 = 277
  코칭 수퍼 비전 - 그 발전과 정의 = 278
  수용능력이란 무엇인가 = 280
  정서지능에서 관계맺기를 위한 수용능력으로 = 280
  윤리적 역량 = 284
  인지적 복잡성과 관련된 수용력 = 285
  우리의 행동논리 또는 기준체계 = 286
   기회주의자 = 288 
   외교관 = 288 
   전문가 = 289 
   성취자 = 290
   전통적 행동논리를 넘어서는 행동논리 = 290 
   개인주의자 = 290 
   전략가 = 291
   연금술사 = 293
  행동논리를 윤리적 딜레마에 접목하기 = 294
  변화를 활용해 코치를 수퍼비전하기 = 295
   전문가에서 성취자로 = 296 
   성취자에서 개인주의자로 = 296 
   전략가를 넘어서 = 297
  결론 = 298
  참고문헌 = 298
 제17장 사례연구를 이용하여 성찰적 작업하기 = 301
  서론 = 301
  사례연구의 역할 = 301
  성찰적 작업의 공헌 = 302
   질문 = 304 
   토론 = 304
   질문 = 307
   토론 = 307
   질문 = 310
   토론 = 311
   질문 = 313 
   토론 = 314
   질문 = 316
   토론 = 316
찾아보기 = 321
기고자 소개 = 324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Isaacson, Walter (2023)
Ross, Stephen A. (2023)
Brigham, Eugene F (2022)
장세진 (2023)
엄유진 (2023)
서민교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