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73namcc2200253 c 4500 | |
001 | 000045814385 | |
005 | 20141030152203 | |
007 | ta | |
008 | 141030s2006 ulka b 001c kor | |
020 | ▼a 8957262423 ▼g 93700 | |
040 | ▼a 211009 ▼c 211009 | |
082 | 0 4 | ▼a 400 ▼2 23 |
085 | ▼a 400 ▼2 DDCK | |
090 | ▼a 400 ▼b 2006z1 | |
100 | 1 | ▼a 강범모 ▼0 AUTH(211009)81470 |
245 | 1 0 | ▼a 언어 : ▼b 풀어 쓴 언어학 개론 / ▼d 강범모 |
246 | 1 1 | ▼a Language |
250 | ▼a 2판 | |
260 |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06 | |
300 | ▼a xiv, 425 p. : ▼b 삽화 ; ▼c 24 cm | |
500 | ▼a 부록: 언어와 논리 : 형식의미론의 기초 | |
504 | ▼a 참고문헌(p. [403]-406)과 색인수록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00 2006z1 | 등록번호 51102295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강범모(지은이)
1977년 서울대학교 인문대학에 입학하여 언어학 개론을 수강한 이후 근 30년 동안 언어학을 공부하였다. 서울대학교에서 언어학 학사, 석사 학위를 받고, 1988년 미국 브라운대학교에서 언어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교수 생활을 시작하였고 1992년 이래 지금까지 고려대학교 언어학과에서 가르치고 있다. 고려대학교에 재직하는 동안 중간에 1년간 하버드대학교 옌칭연구소에서 초청 방문 학자로 연구하였다. 한국언어정보학회 회장(2003~2004), 한국인지과학회 부회장(2004~2005), 한국언어학회 부회장(2013~2014)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 및 역서] 『전자텍스트 부호화 개설: TEI 라이트』(편역) 『한글 사용 빈도의 분석』(공저) 『언어의 과학』(공역) 『한국어의 텍스트 장르와 언어 특성』 『한국어 형태소 및 어휘 사용 빈도의 분석』(공저) 『범주문법』 『영화마을 언어학교』 『언어, 컴퓨터, 코퍼스 언어학』 『언어학의 역사』(역) 『한국어 사용 빈도』(공저) 『의미론 1』, 『의미론 2』(역) 『양화와 복수의 의미론』 『한국어 화제관련어』 『한국어 명사의 화제 의미관계와 네트워크』 『의미론: 국어, 세계, 마음』

목차
1장 언어의 연구 2장 언어의 본질 3장 언어의 소리 - 음성학 4장 언어의 소리 체계 - 음운론 5장 언어의 단어 구조 - 형태론 6장 언어의 문장 구조 - 통사론 7장 언어의 의미 - 의미론과 화용론 8장 언어와 문자 - 세계의 문자와 한글 9장 언어와 역사 - 세계의 어족과 언어 10장 언어와 심리 - 신경언어학과 심리언어학 11장 언어와 사회 - 사회언어학 12장 언어와 문학 - 텍스트 장르와 문체 13장 언어와 컴퓨터 - 전산언어학 14장 언어와 생활 - 응용언어학 <부록> 언어와논리 - 형식의미론의 기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