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미국 공교육의 역사 새로 보기

미국 공교육의 역사 새로 보기 (Loan 1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재웅
Title Statement
미국 공교육의 역사 새로 보기 / 김재웅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교육과학사,   2013  
Physical Medium
402 p. ; 24 cm
ISBN
9788925407791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687camcc2200241 c 4500
001 000045813848
005 20141024171217
007 ta
008 140219s2013 ggk b 001c kor
020 ▼a 9788925407791 ▼g 93370
035 ▼a (KERIS)BIB000013412081
040 ▼a 241018 ▼c 241018 ▼d 211009
082 0 4 ▼a 379.73 ▼2 23
085 ▼a 379.73 ▼2 DDCK
090 ▼a 379.73 ▼b 2013
100 1 ▼a 김재웅 ▼0 AUTH(211009)111656
245 1 0 ▼a 미국 공교육의 역사 새로 보기 / ▼d 김재웅 지음
260 ▼a 파주 : ▼b 교육과학사, ▼c 2013
300 ▼a 402 p. ; ▼c 24 cm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536 ▼a 이 연구는 2008년도 서강대학교 특별연구비의 지원에 의한 것임
945 ▼a KLPA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9.73 2013 Accession No. 51102287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9.73 2013 Accession No. 51102287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79.73 2013 Accession No. 15133424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9.73 2013 Accession No. 51102287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9.73 2013 Accession No. 51102287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79.73 2013 Accession No. 15133424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미국의 공교육 제도가 어떻게 형성되어 발전해 왔으며, 어떤 도전에 직면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10개 장에 걸쳐 기술하고 있다. 이번 저서를 위하여 새로 작성한 부분이 많지만, 일부 장은 이미 관련 학술지에 기고한 내용을 저서의 전체적인 흐름에 맞추어 수정, 보완한 것임을 밝혀둔다.

최근 미국의 교육개혁 동향을 살펴보면, 그 중심이 국가에서 시장으로 옮겨가고 있으며, 따라서 개혁의 화두도 미국 건국 초기부터 중시되었던 “시민”에서 “소비자”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변하지 않고 있는 것은 학교를 통해서 더 좋은 사회를 만들 수 있다는 신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학교 만능주의” 패러다임 속에서 전개되어 온 미국 공교육의 역사에서 실종된 것은 어쩌면 교육 그 자체인지도 모른다.

이 책은 미국의 공교육 제도가 어떻게 형성되어 발전해 왔으며, 어떤 도전에 직면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10개 장에 걸쳐 기술하고 있다. 각 장별로 제기하고 있는 문제의식과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번 저서를 위하여 새로 작성한 부분이 많지만, 일부 장은 이미 관련 학술지에 기고한 내용을 저서의 전체적인 흐름에 맞추어 수정, 보완한 것임을 밝혀둔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김재웅(지은이)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학사 및 석사 미국 일리노이대학교 교육정책학과 박사 (Ph. D., 교육정책 및 행정 전공) 前 한국교육개발원 책임연구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수 한국열린교육학회 회장/한국교육정치학회 회장 現 서강대학교 교육문화 전공 명예교수 <주요 저서> 정치로부터 자유로운 교육(2001) 홈스쿨링의 정치학(2010) 교육행정 및 학교경영의 이해(제2판)(2011, 공저) 미국 공교육의 역사 새로 보기(2013)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머리말 6

chapter 1| 미국 교육사 연구의 역사에 대한 비판적 고찰 21
문제의 제기 21
교육사 연구의 전통적 접근: 교사양성과정의 한 과목으로서의 교육사 23
문화적 수정주의의 등장 34
급진적 수정주의의 영향 42
수정주의 이후 미국 교육사 연구의 동향 48
나가며: 새로운 교육사 연구의 가능성 52

chapter 2| 미국 식민지 시기 교육사를 바라보는 세 가지 시선 65
: Cubberley, Bailyn, Curti를 중심으로
문제의 제기 65
전통적 접근: Cubberley 68
문화적 수정주의 접근: Bailyn 79
급진적 수정주의 접근: Curti 88
결론 및 논의 95

chapter 3| 보통학교common school 개혁과 의무취학제도의 성립 103
문제의 제기 103
분석의 기본 관점과 틀 107
미국 보통학교 형성과정의 교육정치학적 이해 110
보통학교에서 의무취학제도로 132
결론 및 시사점 13

chapter 4| 고등학교의 출현과 전개 143
문제의 제기 143
고등학교의 등장 및 확대 과정 관련 요인 146
고등학교의 발전방향에 대한 논쟁 154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고등학교의 쟁점과 문제 164

chapter 5| 교사양성과 교육학의 위상 181
문제의 제기 181
현장적 전문성 입장에서 본 교육학의 문제 186
학문적 정체성 관점에서 본 교육학의 위기 199
한국의 교사양성과 교육학의 정체성 논의에 주는 시사점 211

chapter 6| 아프리카 미국인 교육의 역사 221
들어가며 221
아프리카 미국인 교육의 전개와 특징 225
아프리카 미국인 교육의 방향에 대한 Booker Washington과 Du Bois의 논쟁 235
Brown v. Board of Education(1954) 판결과 그 이후 239
최근 아프리카 미국인 교육의 주요 쟁점: 아프리카 중심주의를 중심으로 249

chapter 7| 미국 원주민 교육의 역사: 원조와 동화를 중심으로 261
들어가는 말 261
교회와 선교사에 의한 미국 원주민의 개종을 위한 교육, 백인 접촉 초기~1827 265
연방정부 중심 미국 원주민에 대한 동화를 위한 교육, 1828~1927 270
다문화교육 개념이 적용된 미국 원주민 교육, 1928~2001 281
아동낙오방지법 이후 미국 원주민 교육, 2002~현재 285
나가는 말 287

chapter 8| 사회적 운동으로서 홈스쿨링의 전개 297
홈스쿨링의 개념과 의무취학제도에 대한 도전 297
홈스쿨링 운동의 사회적 배경 304
의무취학제도 하에서 홈스쿨링 관련 논쟁 316
사이버 차터스쿨의 등장과 홈스쿨링 325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 330

chapter 9| 미국 교육개혁의 최근 동향 339
「위기에 처한 국가」: 연방정부 주도의 효율성 지향 교육개혁의 시작 339
선택과 차터스쿨: 보통학교 공통이념의 종말 345
NCLB: 테스팅 만능시대의 도래 357
최근 미국 교육개혁에 대한 한 교육사학자의 자기반성: 다이안 래비치 367

chapter 10| 미국 공교육의 미래: 세 가지 시나리오 377
교육의 패러다임 변화 377
세 가지 시나리오 382
공교육의 미래에 대한 교육정치학적 함의 393

찾아보기 398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