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873camcc2200265 c 4500 | |
001 | 000045813800 | |
005 | 20141023131757 | |
007 | ta | |
008 | 141022s2014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64450949 ▼g 03300 | |
035 | ▼a (KERIS)BIB000013583323 | |
040 | ▼a 223009 ▼c 223009 ▼d 211009 | |
082 | 0 4 | ▼a 335.4 ▼2 23 |
085 | ▼a 335.4 ▼2 DDCK | |
090 | ▼a 335.4 ▼b 2014z4 | |
100 | 1 | ▼a 강신준 ▼g 姜信俊, ▼d 1954- ▼0 AUTH(211009)144176 |
245 | 1 0 | ▼a 오늘 자본을 읽다 / ▼d 강신준 지음 |
260 | ▼a 서울 : ▼b 길, ▼c 2014 | |
300 | ▼a 378 p. : ▼b 삽화 ; ▼c 23 cm | |
440 | 0 0 | ▼a 동아대 마르크스-엥겔스 연구소 총서 ; ▼v 1 |
500 | ▼a 이 책은 『경향신문』에서 "오늘 '자본'을 읽다"라는 제목으로 2012년 8월부터 2013년 3월까지 연재한 것을 기초로 하여 쓴 것임 | |
504 | ▼a 참고문헌(p. 367-370)과 색인수록 | |
600 | 1 0 | ▼a Marx, Karl, ▼d 1818-1883. ▼t Kapital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5.4 2014z4 | 등록번호 11172537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동아대 마르크스-엥겔스 연구소 총서 1권. 신자유주의의 폐해로 전 세계 인류가 ‘자본’에 의해 극심한 고통을 겪게 되면서부터 ‘자본주의’의 문제점을 심각하게 고민하게 되었고, 결국 마르크스와 『자본』은 다시금 주목받기 시작한 것이다. 다만 이전과 다른 점은 그것이 이데올로기적인 측면보다는 자본주의 비판과 그 대안의 모색에 있다는 것이다.
지난 20년 이상 지속적으로 대학 강단은 물론 일반독자들을 대상으로 『자본』을 강의해온 저자가 이 어려운 고전적 저작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쓴 입문서이다. 2012년 8월부터 2013년 3월까지 약 7개월 동안 『경향신문』에 연재한 것을 바탕으로 하되,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연재분보다 두 배 가까이 늘어난 분량으로 독자 앞에 선보이게 되었다.
각별히 경제학을 전공하지 않은 사람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가급적 전문용어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제1권부터 제3권까지 원서의 본문을 차분히 따라가며 강독하는 형태를 취해 원전을 직접 접할 수 있는 기회도 마련했다. 특히 현재 한국경제의 실상을 예로 들면서 설명함으로써 단순히 고전적 저작으로서 또는 이론으로서의 독해보다는 현실적 경제문제를 자신의 힘으로 직접 분석할 수 있는 혜안을 주려는 데 그 서술의 목적을 둔 점은 『자본』의 현재성에 주목한 저자의 안목이 돋보이는 지점이기도 하다.
신자유주의의 폐해와 사회적 불평등의 확대로 다시금 주목 받는 『자본』
동서양 고전 가운데 카를 마르크스(Karl Marx)가 쓴 『자본』(Das Kapital)만큼 어려운 책도 없다. 더불어 20세기와 21세기에 걸쳐 이 책만큼 부침을 거듭한 책도 드물 것이다. 그 부침이 한 국가나 한 사회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전 세계 인류의 삶과 직결되었을 정도로 거대한 영향을 끼쳤다는 점에서 특히 그러하다. 실패한 마르크스의 전형으로 저자가 인용했듯이 소련에 의해 막강한 이데올로기로 부상했다가, 현실사회주의와 동구권의 몰락으로 자연스럽게 마르크스 사상과 『자본』은 용도폐기되었다. 그러나 21세기 들어선 지금, 새롭게 『자본』을 바라보는 시각이 되살아나기 시작했다. 가장 큰 이유는 신자유주의의 폐해로 전 세계 인류가 ‘자본’에 의해 극심한 고통을 겪게 되면서부터 ‘자본주의’의 문제점을 심각하게 고민하게 되었고, 결국 마르크스와 『자본』은 다시금 주목받기 시작한 것이다. 다만 이전과 다른 점은 그것이 이데올로기적인 측면보다는 자본주의 비판과 그 대안의 모색에 있다는 것이다. 저자는 그런 점에서 『자본』은 오늘 우리에게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라고 말한다. 그 이유는 『자본』이 찾아낸 문제들이 변하지 않았고 그것이 제시한 해법도 여전히 유효한 상태에서 단지 유예되어 있을 뿐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원전의 본문을 인용하면서 일반독자들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안내
이 책은 지난 20년 이상 지속적으로 대학 강단은 물론 일반독자들을 대상으로 『자본』을 강의해온 저자가 이 어려운 고전적 저작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쓴 입문서이다. 2012년 8월부터 2013년 3월까지 약 7개월 동안 『경향신문』에 연재한 것을 바탕으로 하되,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연재분보다 두 배 가까이 늘어난 분량으로 독자 앞에 선보이게 되었다. 각별히 경제학을 전공하지 않은 사람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가급적 전문용어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제1권부터 제3권까지 원서의 본문을 차분히 따라가며 강독하는 형태를 취해 원전을 직접 접할 수 있는 기회도 마련했다. 특히 현재 한국경제의 실상을 예로 들면서 설명함으로써 단순히 고전적 저작으로서 또는 이론으로서의 독해보다는 현실적 경제문제를 자신의 힘으로 직접 분석할 수 있는 혜안을 주려는 데 그 서술의 목적을 둔 점은 『자본』의 현재성에 주목한 저자의 안목이 돋보이는 지점이기도 하다.
『자본』의 실천적 함의 ― 현재의 노동 ‘상태’를 바꾸는 데 있음을 강조
그렇다면 『자본』을 읽음으로써 갖는 실천적 함의는 무엇일까? 그것은 무엇보다 현재의 ‘노동’ 상태를 바꾸는 데 있을 것이다. 그 주역은 노동자이며, 마르크스 역시 『자본』의 제2판 서문에서 그것을 명시적으로 밝혀놓고 있다. 엥겔스는 『자본』을 ‘노동자계급의 성서’라고까지 말했을 정도이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마르크스가 『자본』을 집필할 당시와는 다르게 노동조건과 본래적인 의미에서 노동계급의 의미도 변했다고 하면서 ‘노동’을 의도적으로 폄하하기도 한다. 물론 그 당시와 비교해서 노동의 양상과 노동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양태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해진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어진 시간에 노동력을 투여하여 잉여가치를 생산한다는 『자본』의 가장 기본적인 테제에는 변함이 있을 수 없다. 따라서 우리는 그 노동의 질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지에 대해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저자는 그런 부분에서 독일 노동운동의 예를 두드러지게 강조한다. 즉 저자는 『자본』의 창조적 읽기에 방점을 여기에 두고 있다. 그것은 바로 오랫동안 지속되는 노동계급의 조직과 그 조직을 안정적으로 이끌어나갈 원동력으로서의 교육체계라고 말한다. 더불어 사회적 임금과 노동조합이 직접 조성하는 기금 등 노동계급도 자신들의 ‘자본’을 갖고 있어야 함을 강조한다. 즉 장기적 조직, 안정적 교육체계, 자신이 직접 사용할 수 있는 무기, 이 세 가지가 현재 우리 노동운동에서 당장이라도 할 수 있는 일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그런 구체적인 예가 바로 독일과 북유럽의 복지국가라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이들 나라의 노동운동의 역사와 노사제도에 대해 거의 아는 것이 없고 단지 자본주의가 더 고도로 발전했기 때문에 복지국가라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독일에서는 노동자의 경영참여가 아주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우리 사회에서는 아직도 담론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렇듯 저자는 『자본』 읽기가 단순히 ‘이론’을 읽기 위한 도구가 아니라 구체적인 삶 속에서 자신의 노동조건을 바꾸려는 노력으로 나아가야만 보다 나은 세상을 만들 수 있다고 책 말미에 강조하고 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강신준(지은이)
1954년 경남 진해에서 태어나 고려대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제학을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대학에서 독일 노동운동사를 연구했으며, 동아대 경제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동아대 명예교수로 있다. 저서로 『수정주의 연구 1』(이론과실천, 1991), 『정치경제학의 이해』(동아대학교출판부, 1992), 『자본의 이해』(이론과실천, 1994), 『노동의 임금교섭』(이론과실천, 1998), 『자본론의 세계』(풀빛, 2001), 『그들의 경제, 우리들의 경제학』(도서출판 길, 2010), 『오늘 『자본』을 읽다』(도서출판 길, 2014)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자주관리제도』(브랑코 호르바트, 풀빛, 1984), 『마르크스냐 베버냐』(공역, 카를 뢰비트, 홍성사, 1984), 『사회주의의 전제와 사민당의 과제』(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 한길사, 1999), 『프롤레타리아 독재』(카를 카우츠키, 한길사, 2006), 『자본』(전5권, 카를 마르크스, 도서출판 길, 2008~10), 『데이비드 하비의 맑스 『자본』 강의 1·2』(데이비드 하비, 창비, 2011/2016), 『맑스를 읽다』(공역, 로베르트 쿠르츠, 창비, 2014), 『마르크스의 『자본』 탄생의 역사』(비탈리 비고츠키, 도서출판 길, 2016) 등이 있다.

목차
목차 지은이의 말 = 5 프롤로그 : 지금 『자본』을 읽어야 하는 이유 = 15 힐링이 대세 = 17 대박의 약속과 돌아온 환멸 = 19 경제는 하나가 아니다 = 21 『자본』의 기구한 운명 = 24 두 얼굴의 마르크스: 실패한 마르크스와 돌아온 마르크스 = 26 1 서문 : 혁명에 사로잡힌 물음 = 31 『자본』의 안내판 = 33 혁명을 성공으로 이끈 힘은 어디에서 왔을까 = 36 혁명이 실패한 원인 = 42 『자본』을 읽는 방법, 주의사항 = 54 2 상품과 화폐 = 59 상품의 두 요소, 사용가치와 가치 = 62 상품에 나타난 노동의 이중성 = 72 가치형태와 화폐 = 78 3 화폐가 자본으로 전화 = 87 자본유통과 그 모순 = 91 노동력의 구매와 판매 = 98 4 절대적 잉여가치의 생산 = 107 노동과정과 가치증식과정 = 111 절대적 잉여가치의 생산 = 118 5 상대적 잉여가치의 생산 = 131 상대적 잉여가치의 개념 = 133 협업, 분업과 매뉴팩처 = 143 기계와 대공업: 공장과 기계 = 149 대공업에 의한 매뉴팩처, 수공업, 가내공업의 혁명 = 158 6 임금 = 165 임금 논의의 위치와 한계 = 167 자본주의의 지속 가능성과 임금의 기능 = 171 임금의 관리와 물신성 = 172 임금관리에 대응하는 개념, 임금의 교섭 = 176 7 자본의 축적과정 = 179 단순재생산, 잉여가치가 자본으로 전화 = 182 자본주의적 축적의 일반법칙 = 188 본원적 축적 = 195 8 자본의 순환 = 211 제2권을 읽어야 할 이유 = 213 제2권을 읽어나가는 길잡이 = 215 순환과 자본의 형태변화 = 219 순환에서 드러나는 교환의 모순 = 221 9 자본의 회전 = 225 회전과 고정자본 및 유동자본 = 227 고정자본을 둘러싼 혼동 = 229 잉여가치의 유통과 화폐 부족 문제 = 231 10 사회적 총자본의 재생산과 유통 = 235 사회적 총자본의 재생산 = 237 기존 경제학의 관점 = 238 사회적 재생산의 모순 = 240 11 잉여가치가 이윤으로 전화 = 245 베짱이의 뻔뻔함은 어디에서 오는가 = 247 제3권의 의의와 분배 문제의 진실 = 250 소득분배의 출발점: 잉여가치에서 이윤으로 = 253 이윤율과 잉여가치율 = 255 12 이윤이 평균이윤으로 전화 = 259 이윤율의 산업별 차이 = 261 이윤율의 균등화 = 263 생산가격과 가치, 현상과 본질 = 264 자본가 경제학과 마르크스 경제학의 차이점 = 267 13 이윤율의 경향적 저하 법칙 = 271 모든 문제의 해답은 내부에 있다 = 273 경쟁과 이윤율의 하락 법칙 = 274 상쇄 요인 = 276 법칙의 전개과정과 공황 = 277 14 상인자본 = 283 상인자본의 기원 = 285 상업이윤 = 286 상인자본의 기생적 성격과 공황 = 289 상인자본의 역사적 성격 = 290 15 이자 낳는 자본 = 293 이자 낳는 자본: 이자와 기업가수익 = 297 가공자본과 공황 = 305 16 초과이윤이 지대로 전화 = 315 자본주의적 지대, 또 하나의 신기루 = 317 차액지대 = 318 절대지대와 지대의 운명 = 321 17 수입과 그 원천 : 삼위일체 정식 = 325 경제학의 명칭에 숨은 비밀: Political Economy vs. Economics = 327 삼위일체 정식의 논점 = 329 삼위일체 정식의 물신성 = 330 삼위일체 정식의 모순 = 333 엥겔스의 보유 = 335 18 『자본』이 꿈꾸던 자유의 나라 = 337 실패한 마르크스, 소련과 『자본』에 대한 치명적 오해 = 339 돌아온 마르크스, 자유의 나라에 대한 단서 = 342 자유의 나라와 인간해방 = 344 자유의 참된 의미 = 346 자유의 나라와 소유의 사회화 = 348 케인스주의와 협동조합, 그리고 『자본』 = 350 에필로그 : 꿈은 과연 이뤄질 수 있을까 = 353 『자본』을 다시 읽어야 할 이유 = 355 메시아는 오지 않는다 = 356 과학과 미신의 갈림길 = 358 여록: 어디에서 시작할 것인가, 실천적 당면 과제 = 361 참고문헌 = 367 찾아보기 = 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