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957camcc2200289 c 4500 | |
001 | 000045813653 | |
005 | 20141021172003 | |
007 | ta | |
008 | 140911s2005 ulk b 000c kor | |
020 | ▼a 8981683840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09857350 | |
040 | ▼a 243001 ▼c 243001 ▼d 243001 ▼d 243001 ▼d 243001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75/.0001 ▼2 23 |
085 | ▼a 375.0001 ▼2 DDCK | |
090 | ▼a 375.0001 ▼b 2005 | |
100 | 1 | ▼a Pinar, William |
245 | 1 0 | ▼a 교육과정이론이란 무엇인가? : ▼b 쿠레레를 통한 현대교육과정연구의 새로운 탐구 / ▼d William F. Pinar 지음 ; ▼e 김영천 옮김 |
246 | 1 9 | ▼a What is curriculum theory? |
260 | ▼a 서울 : ▼b 문음사, ▼c 2005 | |
300 | ▼a 378 p. ; ▼c 26 cm | |
504 | ▼a 참고문헌: p. 349-378 | |
650 | 0 | ▼a Education ▼x Political aspects ▼z United States |
650 | 0 | ▼a Education ▼x Curricula ▼z United States |
700 | 1 | ▼a 김영천, ▼d 1963-, ▼e 역 ▼0 AUTH(211009)91108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5.0001 2005 | 등록번호 11172533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William F. Pinar(지은이)
캐나다 벤쿠버 소재의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사범대학의 교육과정학과 석좌교수이다. 교육학 분야 세계 100대 서적의 하나인 Curriculum and Instruction의 저자이며 교육과정학과 교육학 분야의 패러다임의 변화를 불러 온 역사적 인물로 평가된다. Currere의 새로운 개념화를 통하여 교육과정 연구에서 교육적 경험(educational experience), 정체성(identity), 주관성(subjectivity), 그리고 자서전적 탐구(autobiographical research)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Ralph Tyler가 교육과정과 평가 영역을 이론화시켰던 미국 The Ohio State University 사범대학에서 학부를 졸업하고 뉴욕 근처의 고등학교 문학교사로 오랜 세월 재직하였다. 그 이후 다시 학교에 돌아와 교육과정 전공으로 석사와 박사를 마쳤다. 현상학에 대한 학술적 관심과 연구업적으로 박사학위를 받자마자 구미에서 학술적 명성을 얻었다. University of Rochester와 Louisiana State University 대학교의 교수로 재직하면서 무수한 논문과 저서작업, 그리고 학술대회와 학술지 창간을 통하여 교육과정학의 이론화의 구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그가 창립한 Journal of Curriculum Theorizing은 새로운 교육과정의 이론적 확산에 역사적으로 많은 기여를 하였고 세계교육과정학회(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Curriculum Studies)의 창립 역시 그의 아이디어로서 시작되었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전 세계의 많은 대학교와 대학원의 교육과정분야의 연구서적으로 읽히고 있는 Curriculum and Instruction, Understanding Curriculum: An Introduction of Historical and Contemporary Discourses, International Handbook of Curriculum Research가 있다.
김영천(옮긴이)
한양대학교 교육학과와 대학원 교육학과를 졸업하였다. 1995년 미국 The Ohio State University에서 교육과정 이론과 질적연구방법론 전공으로 철학박사학위를 수여 받았다.1998년 이래로 진주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교육과정과 수업, 교육평가, 질적연구를 가르치고 있다. 지난 20여년에 걸쳐서 약 40권 이상의 저서와 50편 이상의 논문을 출간하였다. 2016년 한국의 학생들이 어떻게 학교교육과 그림자교육(사교육)에 참여하고 있는지를 약 7년간 연구하여 맥밀란 출판사를 통하여 『Shadow Education and the Curriuclum and Culture of Schooling in South Korea』 제목으로 출간하였다.

목차
제1부 악몽과 같은 현 시점 1.실패한 교육 2.자서전: 혁명적 활동 제2부 회고의 순간: 현재 안의 과거 3.원초적 장면: 생사를 건 교육 전쟁 4.미국 남부의 중요성 제3부 전진의 순간: 현존하는 미래 5.자아의 소멸과 사이버 문화의 주관성 6.''섹스×테크놀로지=미래" 제4부 분석의 순간: 반지성주의와 복잡한 대화 7.''건전하고 중요한 것'': 간학문성, 박식함, 자기 반성, 그리고 지성 8.''아마 그럴 수도 있지요'': 복잡한 대화로서의 교육과정 제5부 종합의 순간: 자기 동화와 사회 재건 9.교육과정과 교수에서 사적이고 공적인 영역의 재건 10.미국의 공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