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072camcc2200337 c 4500 | |
001 | 000045812919 | |
005 | 20141013141620 | |
007 | ta | |
008 | 141013s2014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68661747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3576460 | |
040 | ▼a 211032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72.2101 ▼2 23 |
085 | ▼a 372.2101 ▼2 DDCK | |
090 | ▼a 372.2101 ▼b 2014 | |
100 | 1 | ▼a Smidt, Sandra, ▼d 1943- |
245 | 1 0 | ▼a 브루너, 유아교육이론의 새 지평 / ▼d Sandra Smidt 지음 ; ▼e 강현석 [외]옮김 |
246 | 1 9 | ▼a Introducing Bruner : ▼b a guide for practitioners and students in early years education |
260 | ▼a 서울 : ▼b 시그마프레스, ▼c 2014 | |
300 | ▼a xv, 251 p. : ▼b 삽화 ; ▼c 23 cm | |
500 | ▼a 옮긴이: 정정희, 김필성, 전호재 | |
504 | ▼a 참고문헌(p. 246-248)과 색인수록 | |
600 | 1 0 | ▼a Bruner, Jerome S. ▼q (Jerome Seymour) |
650 | 0 | ▼a Early childhood education |
700 | 1 | ▼a 강현석, ▼e 역 ▼0 AUTH(211009)94962 |
700 | 1 | ▼a 정정희, ▼e 역 ▼0 AUTH(211009)116406 |
700 | 1 | ▼a 김필성, ▼e 역 |
700 | 1 | ▼a 전호재, ▼e 역 ▼0 AUTH(211009)118771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2.2101 2014 | Accession No. 11172459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제롬 브루너의 주요 개념을 소개하며 그의 학문 세계를 탐험하게 하는 이 책은 브루너의 폭넓고 획기적인 조기 교수학습에 대한 신조가 일상의 용어를 통해 풀이되는 모습을 보여 주고, 그의 아이디어와 20세기와 21세기 다른 사상가들의 아이디어와의 연관성을 드러낸다.
또한 어린아이들을 연구하고 유아교육 및 아동교육에 관심을 두는 사람들이 브루너에게서 무엇을 배울 수 있는지 살펴보고, 도움이 되는 용어해설을 포함한다. 유아교육 분야의 주요 인물의 생애와 연구에 대한 통찰은 아이들의 학습과 발달에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 흥미로운 읽을거리이다.
유아교육 실천가와 유아교육을 공부하는 학생을 위한 안내서
거의 한 세기에 걸쳐 이어진 연구로 교육 분야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제롬 브루너의 주요 개념을 소개하며 그의 학문 세계를 탐험하게 하는 이 책은 브루너의 폭넓고 획기적인 조기 교수학습에 대한 신조가 일상의 용어를 통해 풀이되는 모습을 보여 주고, 그의 아이디어와 20세기와 21세기 다른 사상가들의 아이디어와의 연관성을 드러낸다.
이 책은 브루너의 주요 개념을 소개하고 이어서 그 개념이 교수학습에 미친 영향에 대해 논의한다. 논의된 개념은 이해하기 쉽도록 어린 시절 실생활 환경에서 가져온 예를 통해 설명되며 다음을 포함한다.
- 아이들이 언어를 습득하는 과정과 방법
- 아이들이 내러티브를 통해서 그들의 세계를 이해하게 되는 과정과 방법
- 학습에 있어 놀이의 중요성
- 문화와 맥락의 중요성
- 기억의 역할
- 아이들에게 가르쳐야 하는 것 : 나선형 교육과정
- 아이들을 가르치는 방법 : 비계와 상호작용
이 책은 또한 어린아이들을 연구하고 유아교육 및 아동교육에 관심을 두는 사람들이 브루너에게서 무엇을 배울 수 있는지 살펴보고, 도움이 되는 용어해설을 포함한다. 유아교육 분야의 주요 인물의 생애와 연구에 대한 통찰은 아이들의 학습과 발달에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 흥미로운 읽을거리이다.
제롬 브루너(1915년 생)
하버드대학교에서 1937년 석사, 1941년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인지문제를 연구한 심리학자로 알려져 있으며, 1960년대 미국의 학문중심 교육과정 개혁운동을 이끈 선구자이다. 과거 지식의 구조, 표현양식, 나선형 교육과정, 탐구-발견학습으로 유명하다. 1960~1970년대 인지혁명에 큰 기대를 걸었으나 인간 심리를 ‘정보 처리’로 접근하는 방식에 비판적 거리를 두고 ‘의미 구성’의 관점으로 인간행동 연구를 촉구하였다. 1980년대 이후 내러티브 사고양식을 제창하면서 지식과 마음과 문화의 관련성을 내러티브 인식론을 통해 접근하며, 특히 이야기 만들기를 통한 인간 경험, 삶의 이해를 제안하고 있으며, 이러한 연장선상에서 새로운 교육학, 인간과학의 새 지평을 개척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Table of Contents
옮긴이의 글 감사의 글 소개하는 글 들어가는 글 제롬 브루너의 시대와 초기 삶 제롬 브루너의 마음을 탐구한 시기 마음과 의미 재기 넘치는 놀라운 아이들 의사소통하기에서 말하기로 이름 부르기와 지시하는 것을 학습하기 요청하는 것과 질문하는 것 배우기 교수학 : 교수와 학습 내러티브 이야기 만들기 마지막 말 용어해설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