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954camcc2200265 c 4500 | |
001 | 000045812846 | |
005 | 20141014135024 | |
007 | ta | |
008 | 141013s2014 ulk b 001c kor | |
020 | ▼a 9791130300993 ▼g 93350 | |
035 | ▼a (KERIS)BIB000013551136 | |
040 | ▼a 222001 ▼c 222001 ▼d 222001 ▼d 222001 ▼d 222001 ▼d 211009 | |
082 | 0 4 | ▼a 352.34 ▼2 23 |
085 | ▼a 352.34 ▼2 DDCK | |
090 | ▼a 352.34 ▼b 2014z1 | |
100 | 1 | ▼a 권기헌 ▼g 權祈憲 ▼0 AUTH(211009)45085 |
245 | 1 0 | ▼a 정책학의 논리 : ▼b Lasswell 정책학의 현대적 재조명 = ▼x The logic of policy science : re-illuminating the Lasswell paradigm of policy science / ▼d 권기헌 |
246 | 3 1 | ▼a Logic of policy science : ▼b re-illuminating the Lasswell paradigm of policy |
250 | ▼a 제2판 | |
260 | ▼a 서울 : ▼b 박영사, ▼c 2014 | |
300 | ▼a xxi, 297 p.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p. 279-289)과 색인수록 | |
600 | 1 0 | ▼a Lasswell, Harold D. ▼q (Harold Dwight), ▼d 1902-1978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52.34 2014z1 | Accession No. 11172467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권기헌(지은이)
한국외국어대 행정학과 졸업(행정학 학사) 서울대 행정대학원 졸업(행정학 석사) 미국 하버드대 졸업(정책학 석사, 정책학 박사) 제26회 행정고시 합격 상공부 미주통상과 근무 미국 시라큐스 맥스웰 대학원 초빙교수 행정고시 및 외무고시 출제위원 역임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장 역임 제23대 한국정책학회 회장 역임 국무총리 정부업무평가위원 역임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장 역임 現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 교수성균관대학교 국제정보정책전자정부연구소장 수 상 국무총리상 수상(제26회 행정고시 연수원 수석) 미국정책학회(APPAM)선정 박사학위 최우수논문 선정 한국행정학회 학술상 수상 미국 국무성 풀브라이트 학자(Fulbright Scholarship) 선정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정보체계론, 나남)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정책학의 논리, 박영사)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선정(정책학, 박영사) 주요저서 ≪정책학의 향연≫ ≪정책학의 콘서트≫ ≪행정학 콘서트≫ ≪정책학 강의≫ ≪행정학 강의≫ ≪정책학의 지혜≫ ≪정의로운 국가란 무엇인가≫ ≪대한민국 비정상의 정상화≫ ≪정부혁명 4.0≫ ≪정의로운 공공기관 혁신≫ ≪포기하지마! 넌 최고가 될거야≫ ≪E-Government & E-Strategy≫ ≪정책분석론≫ ≪정책학의 논리≫ ≪미래예측학: 미래예측과 정책연구≫ ≪전자정부론: 전자정부와 국정관리≫ ≪정보체계론: 정보사회와 국가혁신≫ ≪정보사회의 논리≫ ≪전자정부와 행정개혁≫ ≪과학기술과 정책분석≫ ≪정보정책론≫ ≪창조적 지식국가론≫ ≪정보의 신화, 개혁의 논리≫ ≪디지털 관료 키우기≫ ≪POLICY SCIENCE: Effective Policy Making under the Turbulenc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able of Contents
머리말 제1장 Lasswell 정책학의 현대적 재조명: 정책이론의 정향 및 과제 제1절 문제의식 및 논의의 틀 제2절 Lasswell정책학의 현대적 재조명: 정책이론의 목적, 정향, 그리고 과제 1. Lasswell 정책학의 목적구조 2. Maslow(1954)의 욕구 5단계 3. 정책학의 이념구조 4. Lasswell 정책학의 현대적 재조명 5. 정책학의 이론적 과제: 다섯 가지 과제 6. 정책학의 이론적 정향: 규범, 역량, 방법 제2장 정책학의 이상가치: 민주주의 정책학 제1절 인간의 존엄성 제2절 근본문제의 추구 제3절 맥락지향적 연구 제4절 학문통섭적 접근 제3장 정책학의 상위목료: 국가경쟁력과 삶의 질, 그리고 정책역량 제1절 정책학의 상위목료: 국가경쟁력과 삶의 질 제2절 정책역량 1. 국가자율성과 국가역량 2. 국가역량, 관리역량, 그리고 정책역량 3. 정책역량과 정책품질 제3절 정책역량 강화를 위한 도구적 수단들 제4절 정책역량 강화를 위한 도구지향적 정책기반Ⅰ : 관리역량 1. 정책학과 혁신관리 2. 정책학과 성과관리 3. 정책학과 갈등관리 4. 정책학과 지식관리 제5절 정책역량 강화를 위한 도구지향적 정책기반Ⅱ: 인프라역량 1. 정책학과 전자정부 2. 정책학과 사회자본 제4장 정책학의 연구지향: 민주주의 정책학과 탈식증주의의 접목 제1절 정책학과 신제도주의 이론 1. 신제도주의 이론의 의의 2. 신제도주의 이론의 개관 3. 신제도주의의 이론적 유형 4. 정책학 관점에서의 신제도주의 제2절 정책학과 정책네트워크 이론 1. 정책네트워크 이론 개관 2. 정책학 관점에서의 정책네트워크 제3절 정책학과 숙의적 정책분석 1. 정보사회의 정책이념 2. 참여성과 숙의성 3. 숙의민주주의 4. 정책학 관점에서의 숙의적 정책분석 제4절 정책학의 이론 및 방법론적 과제 제5장 정책학의 행동지향: 정책윤리와 정책토론 제1절 정책학과 정책윤리: 정책윤리의 실패 제2절 정책학과 정책분석의 기준 1. Dunn(2004)의 분석기준 2. E. Suchman(1969) 3. 정책분석 기준에 대한 수정 4. 정책분석 기준으로서의 정책규범 제3절 정책분석가의 윤리 1. 명확한 근거의 제시 2. 타당성의 확보 3. 개방적 관점 제4절 정책분석가의 역할 유형 1. 객관적 기술자 모형 2. 고객 옹호자 모형 3. 쟁점 창도자 모형 4. 정책토론 옹호자 모형 제5절 정책토론과 개방적 사고의 중요성 제6절 실천적 이성과 정책토론의 중요성 제6장 정책학의 통치원리, 거버넌스 제1절 행정학 이론의 발달과 거버넌스의 재조명 1. 행정이론의 발달과 거버넌스 2. 행정이념의 변천과 거버넌스 제2절 거버넌스와 뉴 거버넌스에 대한 이론 1. 거버넌스의 개념 2. 거버넌스 접근의 다양성 3. 거버넌스 이론 유형 4. 거버넌스 개념의 공통요소 5. 뉴 거버넌스 제3절 정책학과 거버넌스: 연계구조 1. 정책내용의 소망성과 거버넌스 2. 정책과정의 합리성과 거버넌스 3. 정책품질과 거버넌스 4. 갈등관리와 거버넌스 5. 요약 및 결론 제4절 정책학의 거버넌스적 재조명 제7장 요약 및 결론: 논점 및 함의 제1절 주장과 논점: 정책이론의 정향과 과제 1. 정책학의 목적구조 2. 정책학의 이념구조 3. Lasswell 정책학의 현대적 재조명 4. 정책이론의 정향과 과제 5. 정책이론의 방법론적 통합과 과제 제2절 에필로그: 미래 정책학의 이상과 도전 참고문헌 인명색인 사항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