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정보통신기술과 행정

정보통신기술과 행정 (10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최영훈, 저 김동원, 저 김두현, 저 김석주, 저 김선경, 저 명승환, 저 서진완, 저 송충근, 저 윤상오, 저 이강춘, 저 이태영, 저 정익재, 저 정진우, 저 한세억, 저
서명 / 저자사항
정보통신기술과 행정 / 최영훈 [외]
발행사항
서울 :   대영문화사,   2014  
형태사항
441 p. : 삽화, 도표 ; 26 cm
ISBN
9788976444691
일반주기
저자: 김동원, 김두현, 김석주, 김선경, 명승환, 서진완, 송충근, 윤상오, 이강춘, 이태영, 정익재, 정진우, 한세억  
서지주기
참고문헌(p. 407-435)과 색인수록
000 01121camcc2200397 c 4500
001 000045812834
005 20141014151253
007 ta
008 141013s2014 ulkad b 001c kor
020 ▼a 9788976444691 ▼g 93350
035 ▼a (KERIS)BIB000013543015
040 ▼d 222001 ▼d 211009
082 0 4 ▼a 351.0285 ▼2 23
085 ▼a 351.0285 ▼2 DDCK
090 ▼a 351.0285 ▼b 2014
245 0 0 ▼a 정보통신기술과 행정 / ▼d 최영훈 [외]
260 ▼a 서울 : ▼b 대영문화사, ▼c 2014
300 ▼a 441 p. : ▼b 삽화, 도표 ; ▼c 26 cm
500 ▼a 저자: 김동원, 김두현, 김석주, 김선경, 명승환, 서진완, 송충근, 윤상오, 이강춘, 이태영, 정익재, 정진우, 한세억
504 ▼a 참고문헌(p. 407-435)과 색인수록
700 1 ▼a 최영훈, ▼e
700 1 ▼a 김동원, ▼e
700 1 ▼a 김두현, ▼e
700 1 ▼a 김석주, ▼e▼0 AUTH(211009)39556
700 1 ▼a 김선경, ▼e
700 1 ▼a 명승환, ▼e▼0 AUTH(211009)34004
700 1 ▼a 서진완, ▼e▼0 AUTH(211009)58551
700 1 ▼a 송충근, ▼e
700 1 ▼a 윤상오, ▼e
700 1 ▼a 이강춘, ▼e
700 1 ▼a 이태영, ▼e
700 1 ▼a 정익재, ▼e
700 1 ▼a 정진우, ▼e▼0 AUTH(211009)82260
700 1 ▼a 한세억, ▼e▼0 AUTH(211009)119155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0285 2014 등록번호 11172468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정진우(지은이)

현재 인제대학교 행정학과 부교수 전 한국정보화진흥원 선임연구원국무조정실 국가정보화평가위원회 위원기획재정부 공공기관경영평가단 위원한국행정학회 편집이사 역임 [주요 관심 분야] 전자정부, 조직관리, 민원서비스 개선 등(jw0611@inje.ac.kr)

한세억(지은이)

서울대학교 행정학박사를 취득하였으며, 현재 동아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지역정보화학회장(2015~2016)을 역임하였으며, 삼성전자, 한국정보문화진흥원, 대통령소속 국가전산망조정위원회사무국,한국능률협회매니지먼트등공․사조직을경험하였다.행정․입법고시출제 및 채점위원, 중앙정부(국무조정실/과학기술정보통신부/행정안전부/국민권익위원회 등) 및 지방정부(부산시/제주도/자치구 등), 공공기관(한국정보화진흥원/한국자산관리공사/한국남부발전 등)과 기업에서 자문 및 특강(창조성/혁신/정부3.0/규제개혁/청렴)강사로 활동하였다. 최근 인공지능 및 정보기술전략․계획분야 강사(NCS)로 활동 중이며, 인공지능정부 구현을 돕는 솔루션개발 및 서비스회사 도우리에이아이를 창업하였다. ▫주요 연구업적 ∙학술지논문, “AI기반 청렴성 증강모델: 탐색적 접근과 실천과제(2021)” 외 80편 ∙학술대회 발표논문, “AI 기반 정책결정 증강모델: 개념적 접근과 구현과제(2021)” 외 138편 ∙「모든 직장인을 위한 인공지능(2022)」 외 저서 24권 ∙연구보고서, &lt베트남 전자정부 역량 강화를 위한 공공행정컨설팅&gt 외 37권 ∙정보화계획수립(ISP) 및 정보화컨설팅보고서, &lt울산광역시 남구 지역정보화계획&gt 외 7권 ▫정보화 관련 수상 ∙2002, 정보화촉진 국무총리 표창 ∙2016, 행정안전부장관 표창 ∙2018, 정보화역기능예방 국무총리 표창 ▫학내 봉사활동 ∙법무․감사실장(2013~2016) ∙사회복지대학원장(2016~2019) ∙사회과학대학장(2018~2019) ∙인공지

서진완(지은이)

인천대학교 행정학과 교수인 저자는 행정과 정부, 전자정부 분야의 전문가로서 학문적 관심을 지속적으로 보여온 활동 이외에도, 대학 내에서는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춘 파격적인 강의를 진행하는 교수로 알려져 있다. 그 결과 5년 연속 최우수 강의교수로 선정된 바 있다. 검색사이트에서 그의 이름을 쳐보면, 강의와 저술 활동 이외의 연관검색어 하나가 눈에 띌 것이다. 가족과의 여행이 바로 그것이다. '아빠와 아들의 성장여행' 산티아고 여행기(길 위의 공부, 2011)에서는 커가면서 부모와 점점 멀어지는 사춘기 아들과의 소통에 대해 고민하고 해답을 찾아보려고 했던 그다. 서진완 교수의 풍부한 지식과 학생들과의 특별한 소통방식은 그가 했던 다양한 여행 경험에 기인한 바가 크다.

최영훈(지은이)

현재 광운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전 한국지역정보화학회 회장한국행정학회 한국전자정부연구회장 [주요 관심 분야] 과학기술(정보통신기술) 관리 및 정책, 거시현상에 대한 복잡계적 사고의 적용(cyhoon@kw.ac.kr)

윤상오(지은이)

2017년 현재 단국대학교 공공관리학과 교수이다. 한양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전산원(現 한국정보화진흥원) 선임연구원을 거쳤으며, 네브라스카주립대학교 Global Digital Governance Lab. 방문교수를 역임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전자정부, 정보화정책 등이며 주요 저서로는『빅데이터와 위험정보사회』(공저),『빅데이터 시대의 기회와 위험』(공저),『스마트 시대의 위험과 대응방안』(공저), 『같은 방향, 다른 행로: 중앙부처간 갈등과 협력사례』(공저), 『정보통신기술과 행정』(공저) 등이 있다.

명승환(지은이)

미국 Syracuse University에서 정책학(Social Science)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인하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관세청 자체평가위원, 정보통신부 자체평가위원, 국무총리실 자체평가위원, 한국지역정보화학회 회장, 전자정부연구회 회장, 정책분석평가학회보 편집위원장,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2018년 한국정책학회 회장으로 활동하였다. 현재는 인하대학교 산업보안거버넌스 전공주임, 융합보안e거버넌스 연구소 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스마트전자정부론(4판, 2020), 행정학개론(2010), 사이버 거버넌스(2002), 정보사회와 현대조직(2004) 등이 있다.

김동원(지은이)

현재 인천대학교 행정학과 교수식품의약품안전처 자체평가위원 및 규제심의위원전국시도의회의장협회 정책위원한국인사행정학회 이사 및 편집위원 [주요 관심 분야]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인사행정, 조직관리, 인력정책, 이민정책(kdw@incheon.ac.kr)

김두현(지은이)

현재 한국정보화진흥원 개인정보보호사업부 부장정부업무평가(국정과제) 전문위원교육과학기술부 장관정책보좌관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연구위원기획예산처 공무원 [주요 관심 분야] 정보화정책, 정책평가, 개인정보 보호 등(duhyunkim@hanmail.net)

김석주(지은이)

현재 선문대학교 행정학과 교수전자정부지원사업 심의위원(한국정보화진흥원)지역정보화사업협의회 심의위원(안전행정부) 전 한국지역정보화학회 회장한국정책학회 지식정보위원장정보화수준평가위원(국무총리실)정보화예산 심의위원(기획재정부)행정고시 출제 및 채점위원국가직 7,9급 행정학 시험출제 위원 [주요 관심 분야] 전자정부, 전자민주주의, 전자정부와 행정조직 혁신 등(ksj@sunmoon.ac.kr)

김선경(지은이)

현재 충남대학교 행정학과 부교수충남대학교 대학원 부원장한국정부학회 편집위원중소기업청 자체평가위원충청남도 인사위원회위원대전광역시 생활권발전협의회 자문위원 [주요 관심 분야] 전자정부, 도시 및 지방행정, 도시관리, 정보정책(kimsk@cnu.ac.kr)

송충근(지은이)

현재 전남대학교 행정학과 교수한국거버넌스학회 이사 [주요 관심 분야] 정부지식관리, ICT4D & 지식도시, 정책분석평가, 과학기술정책(solipy@hanmail.net)

이강춘(지은이)

현재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정책연구소 부연구위원한국기술혁신학회 운영위원장 [주요 관심 분야] 과학기술정책, 정보화정책(kay@kofst.or.kr)

이태영(지은이)

현재 한국지역정보개발원(KLID) 책임연구원 전 부패방지위원회 전문위원한국지역정보화학회 연구위원장경기도 제안심사위원회 위원국가보훈처 정책연구용역 심의위원한국전자정부포럼 감사 [주요 관심 분야] 공직부패, 지역정보화, Q방법론, 공공데이터 개방을 통한 지역일자리 창출 등(lty@klid.or.kr)

정익재(지은이)

현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주요 관심 분야] 정보관리, 미디어분석, 위험안전정책(chungij@gmail.com)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머리말 = 3
제1부 전자정부의 개념적 이해
 제1장 전자정부란 무엇인가? = 19
  제1절 전자정부란 무엇인가? = 19
 제2장 전자정부의 행정 이념 = 31
  제1절 전자정부의 행정 이념을 둘러싼 쟁점 = 31
  제2절 전자정부의 이념적 쟁점의 이해를 위한 정의적 고민: 관점과 정의의 변화 = 32
  제3절 전자정부의 행정 이념에 관한 기존 논의들 = 37
  제4절 전자정부의 행정 이념으로서 지능성과 다양성 = 41
제2부 전자정부와 행정변화
 제3장 전자정부와 행정조직 혁신 = 49
  제1절 전자정부와 행정조직 혁신의 의의 = 50
  제2절 정보통신기술과 리엔지니어링 = 57
  제3절 리엔지니어링의 절차와 전제 조건 = 60
 제4장 전자정부와 인사행정 = 76
  제1절 인사행정의 환경 변화 및 정보통신기술의 필요성 = 76
  제2절 인사정보 시스템의 개념 = 78
  제3절 인사정보 시스템의 활용 = 82
  제4절 한국 정부의 인사정보 시스템 = 90
  제5절 인사정보 시스템의 도입 효과 = 92
  제6절 인사정보 시스템의 성공적 구현을 위한 요건 = 97
  제7절 스마트 워크를 통한 일하는 방식의 혁명 = 104
  제8절 결론 = 107
 제5장 전자정부와 재정관리 = 109
  제1절 재정정보시스템의 의의 = 109
  제2절 우리나라의 재정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 현황 = 112
  제3절 외국의 재정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 현황 = 126
  제4절 재정정보시스템에 대한 진단 = 132
  제5절 재정정보시스템의 개선 방안 = 135
  제6절 결론 = 138
 제6장 전자정부 관점에서의 정책 결정 = 140
  제1절 정책 결정 과정과 정보기술의 개념적 관계 = 141
  제2절 합리적 정책 결정의 의미와 현실적 제약 요인 = 145
  제3절 이론과 현실의 괴리: 시스템적 사고의 한계 = 148
  제4절 전자정부 관점에서의 정책결정모형 = 152
 제7장 전자정부에서 시민 참여 = 160
  제1절 전자정부에서 시민 참여의 개념적 논의 = 160
  제2절 전자정부에서 시민 참여의 이론적 논의 = 165
  제3절 전자정부에서 시민 참여의 주요 정보기술과 고려 사항 = 176
  제4절 전자정부에서 시민 참여의 구현 사례 = 181
  제5절 전자정부에서 시민 참여의 한계와 향후 방향 = 184
 제8장 전자정부와 행정 서비스의 제공 = 189
  제1절 전자정부에서 행정 서비스 제공의 의미와 중요성 = 189
  제2절 전자적 행정 서비스: 사이버공간과 새로운 행정 서비스의 제공 방식 = 193
  제3절 전자적 행정 서비스의 유형 분류와 서비스 내용 = 201
  제4절 전자적 행정 서비스의 제공과 보편성 = 214
  제5절 전자적 행정 서비스 제공의 기본 방향 = 221
  제6절 전자적 행정 서비스의 전달 모형 = 225
 제9장 정보통신기술과 지역 개발 = 229
  제1절 지역 개발 패러다임 변화 = 229
  제2절 텔레센터와 사이버 커뮤니티 = 231
  제3절 ICT4D의 접근 철학 = 233
  제4절 정보통신기술과 지역 개발(ICT4D) 사례 = 240
  제5절 텔레센터의 과제와 전망 = 266
 제10장 전자정부에서의 부패 = 271
  제1절 전자정부 관점에서 부패의 의의 = 271
  제2절 정보통신기술과 부패의 관계에서 본 전자부패 = 272
  제3절 전자부패 확산의 시나리오 = 278
  제4절 전자정부의 부패 취약성 = 286
 제11장 전자정부의 성과관리 및 평가 = 294
  제1절 성과관리의 의의 = 294
  제2절 전자정부의 성과관리 = 298
  제3절 전자정부 성과관리와 전자정부 평가 = 302
  제4절 해외 주요국의 전자정부 성과관리 및 평가 현황 = 305
  제5절 우리나라 전자정부 성과관리 및 평가 현황과 개선 방안 = 315
 제12장 정보자원관리 = 327
  제1절 정보자원관리의 의의 = 327
  제2절 정보화 설계도의 종류 및 특징 = 329
  제3절 정보자원관리 추진 경과 = 333
  제4절 정보자원관리 주요 사례 = 341
  제5절 정보자원관리의 주요 성과 및 향후 과제 = 344
 제13장 정보보안 = 346
  제1절 서론 = 346
  제2절 정보보안에 대한 정책 시각의 다양성 = 347
  제3절 정보보안 대응전략의 논리적 배경 = 348
  제4절 결론 = 361
제3부 전자정부의 성찰과 미래
 제14장 전자정부 구현 노력의 성찰 = 365
  제1절 전자정부에 대한 성찰적 접근 = 365
  제2절 전자정부의 본질과 논의의 한계 = 367
  제3절 전자정부의 실태: 진단과 성찰 = 369
  제4절 전자정부의 진화와 적응 = 383
  제5절 결론 = 389
 제15장 전자정부의 향후 연구 쟁점 = 392
  제1절 행정과 정보통신기술 변화에 대한 실증분석을 토대로 한 전자정부의 재정의 = 393
  제2절 행정과 정보통신기술의 수요-기술 상호작용과 그 영향: 민활성 = 394
  제3절 정부 부문에서 기술 도입사 분석 = 397
  제4절 전자정부 시대의 새로운 헌법? = 398
  제5절 인간 본성과 전자정부의 구현 = 400
  제6절 전자정부 맥락에서의 공무원-국민 관계 = 401
  제7절 전자정부와 대표관료제 = 402
  제8절 전자정부 구현과 추진 체계의 중복 및 정책 갈등 = 404
  제9절 전자정부의 메타포 = 406
참고문헌 = 407
찾아보기 = 436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