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208camcc2200433 c 4500 | |
001 | 000045812665 | |
005 | 20230912100359 | |
007 | ta | |
008 | 141013s2014 ggkd b 001c kor | |
020 | ▼a 9788918024240 ▼g 93350 | |
035 | ▼a (KERIS)BIB000013556609 | |
040 | ▼a 211040 ▼c 211040 ▼d 211009 | |
082 | 0 4 | ▼a 351 ▼2 23 |
085 | ▼a 351 ▼2 DDCK | |
090 | ▼a 351 ▼b 2014z4 | |
245 | 2 0 | ▼a (현대 국가의) 행정학 / ▼d 정용덕 [외]공저 |
250 | ▼a 제2판 | |
260 | ▼a 파주 : ▼b 法文社, ▼c 2014 | |
300 | ▼a xxiii, 917 p. : ▼b 도표 ; ▼c 27 cm | |
500 | ▼a 공저자: 김근세, 김윤권, 김종성, 라휘문, 손희준, 엄석진, 오성수, 유영철, 유현종, 윤영근, 임동완, 최천근, 최태현, 하태수 | |
504 | ▼a 참고문헌(p. 859-912)과 색인수록 | |
700 | 1 | ▼a 정용덕, ▼e 저 ▼0 AUTH(211009)94781 |
700 | 1 | ▼a 김근세, ▼e 저 ▼0 AUTH(211009)62177 |
700 | 1 | ▼a 김윤권, ▼e 저 ▼0 AUTH(211009)101121 |
700 | 1 | ▼a 김종성, ▼e 저 ▼0 AUTH(211009)59101 |
700 | 1 | ▼a 라휘문, ▼e 저 ▼0 AUTH(211009)82706 |
700 | 1 | ▼a 손희준, ▼e 저 ▼0 AUTH(211009)26705 |
700 | 1 | ▼a 엄석진, ▼e 저 ▼0 AUTH(211009)135365 |
700 | 1 | ▼a 오성수, ▼e 저 ▼0 AUTH(211009)105629 |
700 | 1 | ▼a 유영철, ▼e 저 ▼0 AUTH(211009)89754 |
700 | 1 | ▼a 유현종, ▼e 저 |
700 | 1 | ▼a 윤영근, ▼e 저 |
700 | 1 | ▼a 임동완, ▼g 林東浣, ▼d 1973-, ▼e 저 ▼0 AUTH(211009)56300 |
700 | 1 | ▼a 최천근, ▼e 저 |
700 | 1 | ▼a 최태현, ▼e 저 ▼0 AUTH(211009)141639 |
700 | 1 | ▼a 하태수, ▼e 저 ▼0 AUTH(211009)47457 |
900 | 1 0 | ▼a 나휘문,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51 2014z4 | 등록번호 11172486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현대인들은 국가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으며 살아가고 있다. 그리고 국가 운영에서 행정은 가장 핵심적인 제도적 장치가 되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현대 국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행정학 이론들을 재해석하고 새롭게 구성하려는 것이 이 책이 목적이다.
<머리말>
현대인들은 국가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으며 살아가고 있다. 그리고 국가 운영에서 행정은 가장 핵심적인 제도적 장치가 되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현대 국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행정학 이론들을 재해석하고 새롭게 구성하려는 것이 이 책이 목적이다.
21세기가 막 시작되던 2001년 초에 출간된 초판에서도 지적했듯이, 국가와 행정의 역할은 나라별로 그리고 시대별로 차이가 있다. 서구 나라들의 경우, ‘최소국가’와 ‘신공공관리’ 패러다임이 1970년대 말 이후 한 세대를 풍미했다. 그러나 2008년 미국 발(發) 경제위기를 계기로 세계 여러 나라들이 국가와 행정의 역할과 운영 방식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하고 있는 중이다 (Jung, et al., 2010). 국가 역할에 대한 재고가 과거 20세기에 있었던 ‘큰 정부’로의 회귀를 의미하는 것인지는 불분명하다. 분명한 것이 있다면, 그것은 현재 지구인들이 불확실성의 시대에 살고 있으며, 앞으로 국가와 행정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암중모색하고 있다는 사실뿐이다. 한국의 경우, 국가 형성과 산업화 단계에서 국가와 행정이 매우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그러나 후기민주주의 그리고 전지구화의 시대에 새로운 국가의 역할과 그것에 걸맞은 새로운 행정 패러다임을 제도화해야 할 시점이다.
현실 세계의 국가와 행정은 학문 세계의 관련 이론과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변화한다. 초판이 나온 이후 현실 세계의 변화와 더불어 국가이론과 행정이론 모두에서 많은 변화가 있었다. 이와 같은 변화에 부응하여 이 책의 개정판을 내야 한다는 지적(知的) 압박이 있었다. 지난 10여 년 동안에 전개된 현실과 이론의 변화에 대한 지적 관찰과 정리는 매우 벅찬 작업이다. 다양한 분야를 전공하는 열다섯 명의 행정학자들이 참여하여 개정판을 집필하게 된 이유이다. 집필자들은 모두 현대 국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행정학을 연구하고 강의해 온 학자들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라휘문(지은이)
○ 성균관대학교 철학사, 행정학석사, 행정학박사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방세제실 책임연구원 / 기획조정실장 ○ 9급 공무원시험 출제위원 ○ 정부혁신관리위원회 위원 ○ UCLA Visiting Scholar ○ 국민권익위원회 자체평가위원회 위원 ○ 경기도 경영평가위원회 위원 ○ 경기도 행정혁신자문위원회 위원장 ○ 경기도 사회단체보조금심사위원회 위원 ○ 경기도 선진화위원회 위원 ○ 서울특별시 경영평가위원회 위원 ○ (현) (사)자치제도연구소 소장 ○ (현) 지방자치발전위원회 자문위원 ○ (현) 경인행정학회 회장 ○ (현) 성결대학교 행정학부 부교수
정용덕(지은이)
미국 남가주대(USC)에서 행정학을 공부했다. 성균관대 및 서울대 교수, 영국 런던정경대(LSE) 연구교수, 독일 베를린자유대(FU) 객원교수, 그리고 현재는 서울대 명예교수 겸 금강대 석좌교수로 있다. 한국행정학회 회장, 한국사회과학협의회 회장, 한국행정연구원 원장으로 봉사했다. 「현대 국가의 행정학」 (2001/2014), 「한일 국가기구 비교연구」 (2002), 「공공갈등과 정책조정리더십」 (편저, 2011),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and Policy at the Crossroad (편저, 1994), Collaborative Governance in the United State and Korea (편저, 2009), The Korean State, Public Administration, and Development (2014) 등의 책이 있다.
김윤권(지은이)
서울대에서 행정학 박사학위(“중국 국무원의 변화와 그 요인에 관한 연구: 역사적 신제도주의 시각의 적용을 중심으로”)를 취득하고, 현재 한국행정연구원에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제도론, 조직론, 인적자원관리론, 중국행정·정책 등이다. 저서로는 「글로벌 리더 국가의 빛과 그림자」 (편저, 2013), 「중국의 행정과 공공정책」 (편저, 2008) 등이 있으며, 논문은 “정부3.0의 이론적 연구” (2016), “정부 조직개편의 로직과 기능별 개편전략” (2013) 등이 있다.
최천근(지은이)
2010년 플로리다주립대(Florida State University)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한성대학교 행정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박사학위 논문 제목은 “Exploring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Police Performance in U.S. Cities”다. 주요 관심 분야는 조직관리, 성과평가, 지방행정이다.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한국행정학회보>, <한국정책학회보>, <한국정책과학학회보>, <한국지방자치학회보>, <한국거버넌스학회보>, IRPA 등에 논문을 게재했다.
엄석진(지은이)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 및 한국행정연구소 겸무연구원. 서울대학교 농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와 행정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대한민국 공군에서 계획 및 보급 장교, LG CNS Entrue Consulting Partners에서 컨설턴트로 실무 경력을 쌓았고 미국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의 National Center for Digital Government에서 Doctoral Fellow, 한국행정연구원 초청연구원, 순천향대학교 행정학과 전임강사를 역임하였다. 2017년 서울행정학회 학술상을 수상하였으며, 미국 Digital Government Society가 주관하는 DG.O 2020 Conference의 Program Co-Chair (2019-2020)로 활동하였다. 주요 연구 관심 분야는 정부의 디지털 혁신과 지능정보시대의 민주주의, 한국 행정의 역사적 변화와 연속성, 행정이론 간의 충돌과 논쟁 등이다. 주요 연구 실적으로는 “Can social media increase government responsiveness? A case of Seoul, Korea”(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2018: 공저), “The use of smart work in government: empirical analysis of Korean experiences”(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2016: 공저), 「일본 국가기구의 변화와 연속성」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5: 공저) 등이 있다(sjum21@snu.ac.kr).
김근세(지은이)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행정학과 교수(현) 미국 Syracuse University 행정학 박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석사 성균관대학교 행정학사
김종성(지은이)
충남대 자치행정학과 교수
손희준(지은이)
청주대학교 사회과학부 정치행정학전공 교수 청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소장 (전) 한국지방재정학회장 (전) 경실련 지방자치위원회 위원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박사
오성수(지은이)
한양대 행정학과 교수
유영철(지은이)
명지전문대 행정학과 교수
유현종(지은이)
보건복지부 서기관
윤영근(지은이)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수석연구원
임동완(지은이)
단국대 행정학과 교수
최태현(지은이)
서울대학교에서 법학(학사)과 행정학(석사)을 공부하고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에서 정책계획학(공공관리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집단의사결정, 거버넌스, 정책결정을 연구하는 한편, 공공성, 행정윤리, 정책서사에도 관심을 두고 연구 범위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과학적 지식이 생산되는 방식을 쉽게 이해하도록 돕고 싶어 『모두를 위한 사회 연구』를 썼습니다. 제도와 마음의 공공성을 주제로 쓴 논문으로 2019년 한국행정학회 학술상(논문 부문)을 수상했습니다. 현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연구하며 교육하고 있습니다.
하태수(지은이)
경기대 행정학과 교수

목차
목차 제1편 행정학의 기초이론 제1장 행정 및 행정학의 의의 = 3 제1절 서론 = 3 제2절 관련 용어들 = 4 제3절 행정의 의의 = 8 제4절 행정학의 의의 = 13 제5절 공공성과 행정학 연구 = 20 제2장 행정학의 발달 = 26 제1절 서론 = 26 제2절 행정학 발전의 동인 = 28 제3절 미국 행정(학)의 '무국가성'과 한국 행정(학) 발전에 미친 영향 = 53 제3장 국가이론 개관 = 69 제1절 국가의 요소와 개념 = 69 제2절 국가이론들 = 81 제4장 행정학 연구의 목적, 이론유형, 접근방법 = 103 제1절 행정학 연구의 목적 = 103 제2절 행정이론의 유형 = 104 제3절 행정학의 접근방법 = 108 제4절 이 책의 접근방법 및 구성 = 118 제2편 행정환경론 제1장 서론 = 125 제1절 서론 = 125 제2장 현대 국가의 역할과 형태 = 128 제1절 국가 형태와 국가 역할 = 128 제2절 국가의 형태, 목적, 개입의 정도 = 131 제3절 발전국가의 특성 = 136 제3장 국가 규모의 변화와 그 원인 = 138 제1절 서론 = 138 제2절 국가 규모의 변화 = 139 제3절 국가 규모 변화의 원인 = 150 제4절 최적 정부규모 = 160 제4장 국정의 행정주도 = 162 제1절 서론 = 162 제2절 행정주도 현상의 원인과 제도화 = 168 제5장 신행정국가의 대두 = 177 제1절 서론 = 177 제2절 신행정국가 대두의 원인 = 178 제3절 신행정국가의 특성 = 188 제6장 새로운 제도설계와 한국 발전국가 = 198 제1절 국가, 시장, 공동체간 관계의 재설정 = 198 제2절 발전국가의 특성과 미래 = 204 제3편 핵심행정부론 제1장 서론 = 215 제1절 서론 = 215 제2장 핵심행정부의 통제 주체 = 221 제1절 행정수반에 의한 통제 = 223 제2절 내각에 의한 통제 = 226 제3절 관료제에 의한 통제 = 229 제4절 분할결정 = 233 제5절 결론 = 236 제3장 핵심행정부의 의사결정 = 238 제1절 서론 = 238 제2절 다원주의의 시각 = 243 제3절 시장자유주의의 시각 = 259 제4절 엘리트주의의 시각 = 270 제5절 마르크스주의의 시각 = 289 제6절 신다원주의의 시각 = 300 제7절 탈근대주의의 시각 = 301 제8절 결론 = 309 제4장 한국 핵심행정부의 의사결정 = 311 제1절 한국 핵심행정부의 범위 = 311 제2절 한국 핵심행정부의 통제 주체 = 312 제3절 한국 핵심행정부의 의사결정 = 315 제4절 결론 = 320 제4편 행정기구론 제1장 서론 = 327 제1절 서론 = 327 제2절 접근방법 및 범위 = 328 제2장 다원주의 국가의 행정기구 = 332 제1절 서론 = 332 제2절 이론적 배경: 다원주의 모형과 정책 = 335 제3절 다원주의 국가기능별 행정기구 = 344 제4절 결론 = 364 제3장 개인주의 국가의 행정기구 = 366 제1절 서론 = 366 제2절 이론적 배경: 합리적 선택으로서의 행정기구 형성 = 368 제3절 결론 = 385 제4장 엘리트주의 국가의 행정기구 = 391 제1절 서론 = 391 제2절 국가자율성의 결정 요인 = 393 제3절 국가능력의 제도적 특성에 대한 이론적 배경 = 395 제4절 국가기구에 대한 엘리트주의적 이해 = 407 제5절 결론 = 432 제5장 마르크스주의 국가의 행정기구 = 435 제1절 서론 = 435 제2절 이론적 배경 = 438 제3절 자본주의 국가기구의 유형화 = 446 제4절 결론 = 452 제6장 준정부기구와 준비정부기구 = 456 제1절 서론 = 456 제2절 다원주의 국가의 준(비)정부기구 = 460 제3절 개인주의 국가의 준(비)정부기구 = 469 제4절 엘리트주의 국가의 준(비)정부기구 = 478 제5절 마르크스주의 국가의 준(비)정부기구 = 484 제7장 결론 = 494 제5편 관료제와 인적자원관리론 제1장 서론 = 505 제1절 인적자원관리의 의의 = 505 제2절 접근법 = 506 제2장 국가와 관료제 = 508 제1절 관료제의 의의와 발전 = 508 제2절 국가의 특성과 관료제 = 512 제3절 한국 국가관료제의 특성 = 522 제3장 인사행정제도 = 528 제1절 의의 = 528 제2절 다원주의 = 529 제3절 엘리트주의 = 539 제4절 시장자유주의 = 551 제6편 국정관리론 제1장 서론 = 559 제2장 거버넌스의 새로운 개념들 = 563 제1절 새로운 거버넌스 개념의 대두 = 563 제2절 신거버넌스의 의의 = 569 제3장 국가 내부에서의 거버넌스 = 575 제1절 서론 = 575 제2절 전통적 정부 모형 = 576 제3절 새로운 거버넌스 모형들 = 581 제4절 종합 및 비교 = 593 제5절 대안의 선정 = 597 제4장 문화와 거버넌스 = 601 제1절 서론 = 601 제2절 문화의 유형과 국정관리 방식 = 602 제3절 문화와 국정관리 개혁의 실제 = 631 제5장 국가 - 사회간 관계에서의 거버넌스 = 634 제1절 서론 = 634 제2절 국가 - 사회간 관계의 특성과 거버넌스 = 638 제3절 각 모형별 거버넌스 능력 = 659 제4절 한국의 거버넌스 능력 = 662 제6장 공공리더십 = 665 제1절 의의 및 요건 = 665 제2절 거버넌스와 리더십 = 671 제3절 선택과 종합 = 676 제7편 중앙 - 지방관계와 지방행정론 제1장 서론 = 687 제1절 서론 = 687 제2장 지방분권과 자치행정 = 691 제1절 다원주의 = 691 제2절 시장자유주의 = 700 제3절 마르크스주의 = 704 제4절 엘리트주의 = 708 제3장 중앙 - 지방간의 기능배분 = 713 제1절 다원주의 = 713 제2절 시장자유주의의 관점 = 722 제3절 마르크스주의의 관점 = 729 제4절 엘리트주의의 관점 = 733 제5절 비판적 국가이론 = 740 제8편 공공정책론 제1장 공공정책의 의의와 유형 = 745 제1절 서론 = 745 제2절 공공정책의 필요성 = 747 제3절 공공정책의 유형 = 751 제2장 공공정책의 과정 및 수단 = 753 제1절 정책과정의 단계 = 753 제2절 공공정책, 권력, 그리고 정책 기획 = 754 제3절 공공정책의 수단 = 764 제3장 예산정책 = 769 제1절 서론 = 769 제2절 다원주의 국가의 재정자원 동원 및 배분 = 770 제3절 시장자유주의 국가의 재정자원 동원 및 배분 = 785 제4절 마르크스주의 국가의 재정자원 동원 및 배분 = 799 제5절 결론 = 808 제4장 규제정책 = 811 제1절 서론 = 811 제2절 다원주의 국가의 규제정책 = 818 제3절 시장자유주의 국가의 규제정책 = 838 제4절 마르크스주의 국가의 규제정책 = 849 제5절 결론 = 856 참고문헌 = 859 찾아보기 = 913 저자소개 = 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