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12338 | |
005 | 20180302155609 | |
007 | ta | |
008 | 140210s2014 ulkd b 001c kor | |
020 | ▼a 9788976444684 ▼g 93350 | |
035 | ▼a (KERIS)BIB000013403139 | |
040 | ▼a 211014 ▼d 211009 ▼c 211009 | |
082 | 0 4 | ▼a 351 ▼2 23 |
085 | ▼a 351 ▼2 DDCK | |
090 | ▼a 351 ▼b 2014z3 | |
245 | 2 0 | ▼a (새) 행정학 : ▼b 2.0 / ▼d 이종수 외 |
260 | ▼a 서울 : ▼b 대영문화사, ▼c 2014 ▼g (2017 7쇄) | |
300 | ▼a 614 p. : ▼b 도표 ; ▼c 26 cm | |
500 | ▼a 공저자: 윤영진, 곽채기, 이재원 외 10인 | |
504 | ▼a 참고문헌(p. 594-602)과 색인수록 | |
700 | 1 | ▼a 이종수, ▼e 저 ▼0 AUTH(211009)103776 |
700 | 1 | ▼a 윤영진, ▼e 저 ▼0 AUTH(211009)22253 |
700 | 1 | ▼a 곽채기, ▼e 저 ▼0 AUTH(211009)34603 |
700 | 1 | ▼a 이재원, ▼e 저 ▼0 AUTH(211009)98913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51 2014z3 | Accession No. 11172450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51 2014z3 | Accession No. 11178694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행정학을 처음 접하는 사람이 행정에 대한 이해를 쉽게 하도록 현상으로서의 행정을 체계적으로 소개한다. 행정의 개념, 구조, 기능, 담당자, 그리고 행정의 환경을 다루었으며, 행정학의 서론적인 내용으로서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접근방법 등을 논하였다.
특히 저자들은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행정학의 지식 영역을 식별했는데, 대표적인 사례가 조직설계와 인적자원관리 부문에 있다. 정부활동의 수단, 정부가 공급하는 공공서비스, 그리고 정부의 규제활동에 대한 지식 역시 공공부문뿐 아니라 민간부문 전체로 확산되어 있다.
새로운 관점과 체계를 교과서로 정립하기 위한 의욕은 신설된 장과 각 장별 내용에 주로 반영됐으며 전체의 형식 체계는 기존과 유사하다. 이 책의 전체 장은 세 편으로 구성했는데 제1편 행정학의 맥락과 이론, 제2편 행정의 내부와 관리, 제3편 행정의 관계와 활동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윤영진(지은이)
서울대학교 경제학과(경제학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행정학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행정학 박사) 미국 American University 풀브라이트 객원교수 한국지방재정학회 회장 한국사회서비스학회 회장 대구광역시 재정계획심의위원회 위원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디지털 예산회계기획단 자문위원장 기획예산처 재정정책자문위원회 위원 행정자치부 지방자치단체회계기준심의위원회 위원 기획재정부 공공기관운영위원회 위원 함께하는 시민행동 공동대표 좋은예산센터 이사장(현) 계명대학교 교수(현) [주요 저서] 행정개혁실천론(공저, 법문사, 2008) 새행정학(공저, 대영문화사, 2008) 복지재정과 시민참여(공저, 나남, 2007) 행정이론(공저, 대영문화사, 2002)
곽채기(지은이)
동국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동국대학교 교무부총장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분권발전 분과위원장 前 전남대학교 교수
이종수(지은이)
서울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 취득 UC. Berkeley Research Associate 日本 中央大學校 政策文化硏究所 招聘硏究員 한국행정학회 회장 역임 서울행정학회 회장 역임 한국행정사연구회 회장 역임 한국정치학회 이사 행정고시, 사법고시, 외무고시 출제위원 한성대학교 행정학과 명예교수(현) [저서 및 역서] 정부는 공정한가(대영문화사, 2012) 새 행정윤리(대영문화사, 2012) 새 미래의 행정(대영문화사, 2010) 행정학사전(대영문화사, 2009, 개정판) 행정학 외래어사전(한성대학교출판부, 2009) 새행정학(대영문화사, 2012, 6정판) 새인사행정론(대영문화사, 2011, 개정6판) 정부혁신의 미래 비전(한국행정연구원, 2006) 정부혁신의 메커니즘과 전략(대영문화사, 2005) 일본의 행정개혁(도서출판 한울, 2002) 한국행정론(대영문화사, 1998) 지방자치 이렇게 해야 한다(한겨레신문사, 1995) 행정과 가치(법문사, 1988) 외
이재원(지은이)
현. 부경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서울대 경제학과(경제학사) 서울대 행정대학원(행정학석사) 서울대 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박사)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한국사회서비스학회 회장 한국지방재정학회 부회장

Table of Contents
목차 『새행정학 2.0』초판 머리말 = 3 『새행정학』초판 머리말 = 6 제1편 행정학의 맥락과 이론 제1장 행정이란 무엇인가? = 23 제1절 행정과 행정학 = 24 1. 행정의 개념 = 24 2. 정부 역할 변화 행정학 = 25 3. 직무 기술로서 행정학 = 27 제2절 행정학의 핵심 영역으로서 정부 = 28 1. 정부의 개념과 형태 = 28 2. 정부의 구조 = 29 제3절 행정의 담당자 = 33 1. 국가공무원과 지방공무원 = 33 2. 경력직 공무원과 특수경력직 공무원 = 34 제2장 행정의 환경 = 36 제1절 행정과 환경의 상호작용 = 37 1. 개방체제로서 행정과 환경에 대한 지식의 중요성 = 37 2. 행정에 영향을 미치는 사건과 주요 행위자 = 38 3. 급변하는 행정의 거시환경 = 39 제2절 행정의 일반환경 = 43 1. 정치적 환경 = 43 2. 경제적 환경 = 48 3. 법적 환경 = 49 4. 사회적 환경 = 50 5. 글로벌 환경 = 51 제3장 행정학의 이론과 접근 방법 = 53 제1절 행정학의 유래와 변화 과정 = 54 1. 행정학의 기원으로서 독일의 관방학 = 54 2. 프랑스와 영국의 행정학 = 56 3. 미국의 행정학 = 57 4. 한국에서 근대 행정학의 도입과 전개 과정 = 67 제2절 전통적인 행정학의 접근 방법 = 69 1. 구조ㆍ제도적 접근 = 69 2. 행태적 접근 = 73 3. 행정환경적 접근 = 74 4. 가치주의 접근 = 76 제3절 정부의 역할에 대한 시각 = 78 1. 이념에 따른 정부관: 보수와 진보 = 78 2. 자본주의의 발전과 정부관의 변천 = 81 3. 큰 정부와 작은 정부 = 84 제4절 현대 행정학의 주요 패러다임 = 87 1. 신공공관리론 = 87 2. 탈신공공관리론 = 92 3. 뉴 거버넌스론 = 94 4. 신공공서비스론 = 99 제5절 행정환경의 변화에 따른 다양한 시도들 = 102 1. 딜레마 이론 = 102 2. 시차 이론 = 103 3. 사회적 자본 연구 = 104 제4장 행정의 가치와 윤리 = 106 제1절 행정의 가치 = 107 1. 행정가치의 의미 = 107 2. 본질적 행정가치 = 107 3. 수단적 행정가치 = 113 제2절 행정윤리와 부패 = 117 1. 행정윤리의 의미 = 117 2. 행정윤리의 철학적 기초 = 118 3. 행정윤리의 다양한 속성 = 120 4. 공무원 부패 = 124 제3절 행정윤리와 이해 충돌의 방지 = 128 1. 이해 충돌의 의미와 유형 = 128 2. 이해 충돌의 영향 = 129 3. 이해 충돌의 방지 = 130 4. 미국의 이해 충돌 방지제도 = 130 제4절 공직윤리의 관리 = 133 1. 공직윤리 관리의 필요성 = 133 2. 강령 = 134 3. 윤리법 = 138 4. 신뢰적자와 윤리적 정부 = 141 제2편 행정의 내부와 관리 제5장 행정과 정부조직 = 147 제1절 정부조직 이해의 기초 = 148 1. 정부조직의 개념과 조직환경 = 148 2. 관료제로서 정부조직 = 151 3. 행정학과 정부조직이론 = 152 제2절 정부조직의 구조 = 156 1. 조직구조의 의의 = 156 2. 조직구조의 기본 단위와 기능의 구조화 = 158 3. 조직구조의 기본 변수 = 159 4. 조직의 구성 부분 = 161 제3절 정부 조직구조의 설계 = 162 1. 조직구조 설계 원리의 의의 = 162 2. 조직의 원리와 조직구조의 설계 = 162 3. 조직의 상황에 따른 조직구조의 설계 = 166 4. 정부조직 개편을 위한 컨설팅으로서 조직진단 = 168 제4절 조직구조의 설계모형 = 171 1. 기계적 구조체계와 유기적 구조체계 = 171 2. 조직구조의 유형 = 173 3. 기타 조직구조의 유형 = 178 제5절 중앙정부의 조직개편 = 181 1. 역대 중앙정부의 주요 조직개편 = 181 2. 박근혜 행정부의 조직개편과 정부 운영 패러다임: '정부3.0' = 184 제6장 행정조직의 관리 = 186 제1절 조직인과 조직관리 = 187 1. 조직인과 조직관리의 의의 = 187 2. 인간관과 조직관리 = 188 3. 조직인의 동기와 관리 = 190 제2절 관리자의 리더십과 변화관리 = 197 1. 리더십의 이해 = 197 2. 자질론 = 198 3. 행태이론 = 198 4. 상황론 = 200 5. 기타 다양한 리더십 유형 = 201 6. 조직의 변화관리 = 203 제3절 조직의 의사전달, 의사결정, 갈등관리 = 205 1. 의사전달 = 205 2. 조직의 의사결정 = 209 3. 갈등관리 = 213 제4절 조직의 목표와 성과의 관리 = 216 1. 조직목표의 본질과 기능 = 216 2. 조직목표의 유형과 변동 = 219 3. 행정조직의 목표 모호성 = 221 4. 조직목표의 달성과 효과성 평가모형 = 223 5. 성과 중심의 관리: 목표관리제와 성과관리제 = 226 제7장 인사행정과 인적자원관리 = 235 제1절 인사행정제도 = 236 1. 인사행정의 의의 = 236 2. 인사행정의 제도 기반 = 238 3. 인사행정기구 = 243 제2절 공직구조 = 247 1. 공직구조의 설계 = 247 2. 공직의 분류 = 250 3. 직무분석과 직무평가 = 254 제3절 임용관리 = 255 1. 인력기획 = 255 2. 신규채용 = 257 3. 인사이동 = 262 4. 퇴직관리 = 264 제4절 성과관리 = 266 1. 목표관리제 = 266 2. 교육훈련 = 267 3. 경력개발제도 = 271 4. 성과평가 = 273 제5절 사기관리 = 279 1. 공직 동기부여 = 279 2. 고충처리 및 제안제도 = 281 3. 보수 = 282 4. 복리후생 = 288 제6절 공무원의 행동규범 = 290 1. 공무원의 신분 보장 = 290 2.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 = 293 3. 공무원단체의 구성과 운영 = 294 제8장 예산과 재정관리 = 298 제1절 예산과 재정관리 이해의 기초 = 299 1. 예산과 회계연도 = 299 2. 예산의 종류 = 301 3. 정부가 동원하는 공공재원 = 304 4. 분야별 지출 = 309 5. 예산의 기능 = 310 제2절 예산의 원칙과 정부회계 = 311 1. 예산의 원칙 = 311 2. 예산서의 형식 = 314 3. 정부회계 = 316 제3절 예산 과정 = 318 1. 예산의 편성 = 318 2. 예산의 심의 = 321 3. 예산의 집행 = 323 4. 결산 = 325 제4절 정부 예산에 대한 다양한 이론들 = 326 1. 정부의 재정 기능과 예산 원칙론 = 326 2. 정부 예산에 대한 미시적 이론 = 327 3. 시민운동과 가치예산 = 330 제5절 예산제도의 지향 가치와 제도 개편 = 333 1. 예산제도의 지향 가치 = 333 2. 미국의 예산제도 개편 = 336 3. 주요 국가들의 결과지향적 예산개혁에서 공통적 특징 = 344 4. 한국의 예산개혁과 지향 가치의 변화 = 346 제6절 재정건전성과 성과관리 = 347 1. 재정건전성 관리 = 347 2. 재정사업의 성과 및 효율성 관리 = 349 제9장 정책과 정책관리 = 355 제1절 정책 이해의 기초 = 356 1. 정책의 개념과 성격 = 356 2. 정책 유형 = 359 3. 정책의 영향 요인 = 361 4. 정책 이해의 목적: 지식 축적 = 364 5. 정책 이해의 대상: 의도한 결과와 예기치 못한 결과 = 365 6. 정책 이해의 접근 방식 = 368 제2절 정책형성과 기획 = 370 1. 정책 과정의 참여자 = 370 2. 정책 네트워크 모형 = 372 3. 정책의제 설정 = 374 4. 정책문제의 인지와 대안분석 = 377 5. 정책결정모형 = 379 6. 전략적 기획 = 384 제3절 정책집행 = 387 1. 정책집행의 의의 = 387 2. 정책순응과 정책불응 = 388 3. 정책집행의 접근 방법 = 388 4. 정책집행의 유형 = 390 5. 정책집행 수단과 정책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391 제4절 정책평가 = 392 1. 정책평가의 의의 = 392 2. 정책평가의 유형과 절차 = 392 3. 정책평가의 구성 논리와 방법 = 393 4. 정책평가 제도들 = 396 제5절 정책변동과 정책갈등 = 399 1. 정책변동 = 399 2. 정책갈등의 개념과 특징 = 400 3. 정책갈등의 원인 = 402 4. 정책갈등의 유형 = 403 5. 정책갈등 관리 = 406 제10장 지방자치와 지방정부 = 408 제1절 지방자치와 분권 = 409 1. 지방자치의 의의와 유형 = 409 2. 중앙집권과 지방분권 = 413 3. 지방분권의 추진 = 415 제2절 중앙ㆍ지방정부 간 관계 = 418 1. 정부간 관계모형 = 418 2. 중앙ㆍ지방 간 갈등 = 421 3. 지방자치단체 간 갈등 = 424 제3절 지방자치단체의 운영체제 = 425 1. 계층구조와 구역 = 425 2. 지방자치단체 기관 구성 = 428 3. 지방선거와 지방정치 = 430 4. 지방자치단체의 자치권 = 432 제4절 지방 거버넌스 = 435 1. 지방 거버넌스의 의의 = 435 2. 주민 참여와 민관 협력 = 436 3. 거버넌스 관리 역량의 제고 = 438 제5절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 439 1. 지방자치단체의 세입과 세출 현황 = 439 2. 지방세입의 구성 = 442 3. 포괄보조와 정부간 재정 관계 = 445 4. 지방재정관리제도 = 447 5. 지방재정 위기와 대응 과제 = 448 제3편 행정의 관계와 활동 제11장 행정의 활동 수단 = 455 제1절 행정활동 수단의 의의 = 456 1. 행정활동 수단에 대한 관심 = 456 2. 행정의 활동 수단들 = 457 제2절 행정 수단의 주요 특징과 유형 = 460 1. 행정 수단의 특징 = 460 2. 자원을 기준으로 한 행정 수단의 유형 구분 = 462 제3절 행정 수단의 선택과 실제 = 464 1. 행정 수단의 선택 기준 = 464 2. 행정활동의 수단과 주체 = 466 3. 행정활동의 수단과 방법 = 469 제12장 시민사회와 시민단체, 그리고 정부 = 472 제1절 시민사회와 시민단체의 의의 = 473 1. 시민사회 = 473 2. 시민단체 = 474 3. 시민단체의 활동과 이념 분포 = 476 4. 외국의 시민단체 = 477 제2절 시민단체에 대한 해석과 사회자본의 역할 = 479 1. 시민단체 해석을 위한 네 가지 관점 = 479 2. 사회자본과 시민단체 = 481 제3절 정부와 시민사회 = 485 1. 정책 거버넌스의 주체로서 시민단체 = 485 2. 정부-시민사회의 관계 특성 = 485 3. 정부와 시민단체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제도 = 488 제13장 전자정부 = 490 제1절 전자정부의 의의와 전개 과정 = 491 1. 전자정부의 의의 = 491 2. 전자정부와 국민생활 = 493 3. 정부3.0과 전자정부 = 494 제2절 전자정부의 지식관리 = 496 1. 지식관리와 조직 운영의 효율화 = 496 2. 스마트워크와 근무 형태의 유연화 = 498 3. 빅데이터를 활용한 정책 과정의 합리성 제고 = 502 4. 민주주의와 전자정부 = 505 제3절 정보화정책의 주요 쟁점 = 508 1. 지역정보화 = 508 2. 정보 격차 해소 = 509 3. 정보화 역기능에 대응 = 511 4. 정보문화의 조성 = 512 제14장 정부규제 = 514 제1절 정부규제의 의의와 유형 = 515 1. 정부규제의 의의 = 515 2. 규제의 유형 = 517 제2절 정부규제의 효과 = 521 1. 규제기준의 적용과 합리성 = 521 2. 규제의 재분배 효과 = 525 3. 규제의 역설 = 527 제3절 정부규제의 개혁 = 528 1. 규제개혁의 의의와 단계 = 528 2. 규제개혁의 대상 = 530 3. 규제개혁의 수단: 규제영향분석 = 531 제4절 정부규제 관리의 실제 = 532 1. 규제개혁 체계 = 532 2. 신설ㆍ강화 규제심사제도 = 533 3. 기존 규제개혁 프로그램 = 536 4. 정부규제 개혁에 대한 평가 = 537 제15장 공공서비스 = 539 제1절 공공서비스의 의의와 유형 = 540 1. 공공서비스의 의의 = 540 2. 공공서비스 논의의 배경으로서 정부실패 = 543 3. 공공서비스의 유형 = 546 제2절 공공서비스의 공급 방식 = 549 1. 공공서비스 공급 방식의 유형 = 549 2. 공공서비스 공급과 민간위탁 = 551 3. 사회서비스 공급에서 공급자 방식과 수요자 중심 방식 = 555 제3절 공공서비스 공급의 혁신 = 558 1. 공공서비스 공급의 가치 지향 변화 = 558 2. 공공서비스의 품질 혁신 = 560 3. 성과에 대한 평가와 책임 강화 = 563 4. 공동생산 = 565 제4절 공공서비스의 성과관리 = 566 1. 공공서비스 성과의 성격과 체계 = 566 2. 결과 지향적 구체적 성과평가로 전환 = 567 3. 통합성과관리 체제로서 BSC = 568 4. 성과계약 = 569 제16장 행정개혁 = 571 제1절 행정개혁의 인식 기초 = 572 1. 시대적 정부관의 변천 = 572 2. 행정개혁의 준거로서 경영 = 573 제2절 정부혁신의 성격과 동기 = 577 1. 정부혁신의 성격 = 577 2. 정부혁신의 촉진 요인 = 578 3. 혁신에 대한 저항과 극복 = 579 제3절 주요 국가의 행정개혁 추세와 내용 = 581 1. 영국의 행정개혁 = 581 2. 미국의 행정개혁 = 583 3. 뉴질랜드의 행정개혁 = 585 제4절 한국의 행정개혁과 정부혁신 = 586 1. 역대 정부의 정부조직 개편 = 586 2. 정부 기능의 변천 = 587 3. 큰 정부와 작은 정부 논쟁과 정부개혁 = 588 4. 김대중ㆍ노무현 행정부의 신공공관리주의 혁신 = 590 5. 박근혜 행정부의 '정부3.0' = 591 6. 시대별 정부관과 사회정책 변화 = 591 참고 문헌 = 594 찾아보기 = 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