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681camcc2200241 c 4500 | |
001 | 000045812337 | |
005 | 20141007172958 | |
007 | ta | |
008 | 140813s2014 ggk b 000c kor | |
020 | ▼a 9788993952551 ▼g 13320 | |
035 | ▼a (KERIS)BIB000013540653 | |
040 | ▼a 241026 ▼c 241026 ▼d 211009 | |
082 | 0 4 | ▼a 303.3409519 ▼2 23 |
085 | ▼a 303.340953 ▼2 DDCK | |
090 | ▼a 303.340953 ▼b 2014 | |
100 | 1 | ▼a 최익용 ▼0 AUTH(211009)119226 |
245 | 2 0 | ▼a (대한민국 5천 년) 역사리더십을 말한다 / ▼d 최익용 지음 |
246 | 3 | ▼a 대한민국 오천 년 역사리더십을 말한다 |
260 | ▼a 고양 : ▼b 옥당, ▼c 2014 | |
300 | ▼a 435 p. ; ▼c 22 cm | |
504 | ▼a 참고문헌: p. 425-435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3.340953 2014 | 등록번호 11172450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03.340953 2014 | 등록번호 12123113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3.340953 2014 | 등록번호 11172450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03.340953 2014 | 등록번호 12123113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고조선의 단군에서 대한민국의 이명박 대통령에 이르기까지, 당대를 이끈 핵심 리더십은 무엇인가? 앞으로 미래를 대비할 리더십의 실체는 무엇인가? 5천 년 역사에서 한국형 리더십의 미래를 밝힌다. 리더십 컨설턴트로 활동하고 있는 저자 최익용이 5천 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한반도에서 끊임없이 강력한 힘을 발휘해온 우리 민족의 리더십을 집중적으로 탐구한 책이다.
오늘날 대한민국이 겪고 있는 위기의 가장 큰 원인이 역사의식 결여와 리더십 부재에 있다고 본 저자는 리더십의 관점에서 우리 역사를 바라보면서 역사 속 수많은 사건들 속에서 리더십이 어떤 힘을 발휘했는지 살펴보고, 우리 민족 고유의 리더십 원형을 찾아내며, 이를 통해 우리 사회의 역할 모델을 제시한다.
대한민국 5천 년 역사에서 배우는 한국형 리더십의 미래
고조선의 단군에서 대한민국의 이명박 대통령에 이르기까지, 당대를 이끈 핵심 리더십은 무엇인가? 앞으로 미래를 대비할 리더십의 실체는 무엇인가? 5천 년 역사에서 한국형 리더십의 미래를 밝힌다!
저자에 따르면, 우리 민족에게는 반만년의 역사를 통해 체화된 고유의 유전자가 있다. 저자는 이를 8가지 리더십 DNA로 분류하고, 오늘날에 적용 가능한 한국형 리더십의 표준을 제시한다.
단군조선은 어떻게 2천 년 이상 존속할 수 있었을까?
고구려가 수·당과의 대결에서 승리하고 동아시아의 패자가 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강력한 내·외치로 넓은 영토를 확보하고 문화 강국의 면모를 갖추었으면서도 백제는 왜 나당 연합군에게 무릎 꿇을 수밖에 없었을까?
삼국 중 가장 힘이 약하고 지정학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있었던 신라가 삼국통일이라는 위업을 달성할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일까?
조직과 개인의 운명을 결정짓는 힘, 리더십!
5천 년 역사 속에서 대한민국 리더십의 미래를 밝힌다!
리더십 컨설턴트로 활동하고 있는 저자 최익용이 5천 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한반도에서 끊임없이 강력한 힘을 발휘해온 우리 민족의 리더십을 집중적으로 탐구한 《대한민국 5천 년 역사리더십을 말한다》를 출간했다. 오늘날 대한민국이 겪고 있는 위기의 가장 큰 원인이 역사의식 결여와 리더십 부재에 있다고 본 저자는 리더십의 관점에서 우리 역사를 바라보면서 역사 속 수많은 사건들 속에서 리더십이 어떤 힘을 발휘했는지 살펴보고, 우리 민족 고유의 리더십 원형을 찾아내며, 이를 통해 우리 사회의 역할 모델을 제시한다.
이 책은 총 7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에서 역사리더십의 개념을 설명하고, 2부에서 5천 년 역사 속에서 리더십 DNA 8가지를 도출하여 그것이 우리 역사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 3부에서 패거리주의,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실종, 집단기억상실증과 망각증후군 등 우리 역사에서 청산해야 할 나쁜 습성을 고찰함으로써 오늘의 리더들에게 필요한 덕목이 무엇인지 되짚어본다.
4부에서는 세종대왕, 이순신, 정약용, 유관순, 박정희 등 우리에게 널리 알려진 리더들의 리더십을 재조명하는 한편, 널리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우리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숨겨진 리더들도 발굴해낸다. 김춘추에게 왕위를 양보하여 신라 통일의 기틀을 마련한 ‘알천’, 조선 최초의 필리핀어 통역가였던 홍어 장수 ‘문순득’, 어부의 몸으로 울릉도와 독도를 지켜낸 ‘안용복’, 순국선열과 무명용사 등이 그들이다.
또한 5부에서 고조선부터 현재까지 왕과 대통령의 핵심 리더십을 평가하고, 6부와 7부에서 역사에서 얻은 교훈을 바탕으로 우리가 만들어가야 할 미래에 대해 논한다. 그리고 각 부마다 ‘역사 다시 보기’를 두어, 한글 창제의 숨은 주역으로 평가받고 있는 신미대사, 고려의 강화도 천도, 한민족의 대외정벌과 쿠데타의 역사 등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전하고 있다.
이 책의 가장 큰 성과는 5천 년 역사 속에서 우리 민족의 내면에 체화體化된 8가지 리더십 유전자를 찾아냈다는 것과 고조선부터 대한민국까지 왕조별로 리더들의 핵심 리더십을 평가하고 각 나라의 리더십의 특징을 정리해냈다는 점이다.
이 책의 두 가지 성과
1. 8가지 리더십 유전자를 찾아내다
저자는 먼저 ‘콘셉트에 의한 사고conceptual thinking’로 ‘역사’와 ‘리더십’이라는 각각의 개념에서 ‘역사리더십’이라는 단일 개념을 만들어냈다. 그리고 이러한 역사리더십을 가능케 하는 8가지 리더십 유전자를 포착해냈다. 이 8가지 DNA는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 우리 삶의 거의 모든 측면에 강력한 힘을 발휘하고 있다.
그가 찾아낸 리더십 8대 DNA는 대한민국의 건국이념이자 교육이념인 ‘홍익인간 사상’, 단결력의 근원인 ‘민족주의’, 독창적인 ‘문화 창조력’, 민주적인 제도를 만들고 토론 문화의 근간이 된 ‘민주주의 사상’, 어떤 일이든 폭발적인 도약이 가능케 하는 ‘신명’의 민족성, 고난과 핍박에도 끝까지 저항하는 ‘은근과 끈기’, 단기간에 인적 자본을 양성해 경제대국으로 성장시킨 힘의 근간인 ‘교육열’, 국가가 위기에 처했을 때 나라를 지킨 ‘호국정신’ 등이다.
저자는 한국사람 누구에게나 존재하는 공통의 DNA인 이 8가지가 ‘홍익인간 사상’을 중심으로 수레바퀴를 이루어 삶이라는 수레바퀴를 굴려 가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고 설명한다. 이들 DNA들이 상호 결합.융합하면서 시너지 효과를 내고, 그것이 우리 민족의 몸속에 체화되면서 역사리더십을 이룬다는 것이다. 그는 이 리더십 8대 DNA가 대한민국 5천 년 역사를 이끌어온 힘이며, 앞으로 대한민국의 미래를 결정지을 힘이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2. 왕조별 리더들의 핵심 리더십을 평가하다
저자는 고조선부터 대한민국까지 왕조별 리더십의 특징과 각각의 리더들(왕, 대통령)의 핵심 리더십을 평가했다. 47명의 왕을 배출하고 2,096년 동안 존속한 고조선의 생존 비결과 고구려(28왕, 705년 존속), 백제(31왕, 672년 존속), 신라(56왕, 991년 존속)의 삼국 대결 구도에서 신라가 통일하게 된 이유, 발해(15왕, 229년 존속), 고려(34왕, 475년 존속), 조선(27왕, 519년 존속)의 설립과 멸망에 이르는 과정 등을 리더십의 관점에서 분석했다. 특히 이승만에서 박근혜까지 현대사의 리더들을 평가한 부분은 이목을 끌기에 충분하다. 이승만은 좋은 리더일까, 나쁜 리더일까? 박정희 대통령은 글로벌 리더일까, 불행한 리더일까? 저자가 밝혔듯이 리더십 측면에서의 단면 평가이기에 논란의 여지는 있다. 하지만 리더십 평가표를 살펴보면 리더십의 관점이라는 기준을 두고 이를 평가하려고 한 저자의 고민과 연구 흔적이 드러난다.
왕조의 리더십으로 볼 때 고구려는 대륙 정복의 기개와 상무정신으로 대표된다. 건국 이래로 멸망할 때까지 모든 왕이 국토 확장과 수호에 주력해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확보할 만큼 강력한 리더십을 보였고, 뛰어난 리더들이 계속적으로 나와 후대에까지 귀감이 되었다. 안원왕 이후 국운이 쇠락하기 시작하면서 연개소문이 무력정권을 수립하고, 이후 연개소문의 아들 남생이 당나라 장수가 되어 모국 고구려를 공격하여 망하게 만드는 비극을 겪었는데, 이는 나라를 지키고 외적을 물리치는 것보다 권력을 장악하는 데 주력했던 잘못된 리더십을 여실히 보여주며, 리더와 리더십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절감하게 한다.
신라는 중반기인 33대 성덕왕까지는 유능한 리더들이 왕위를 계승하여 통일의 기반을 조성하고 나라를 안정시켰으나, 이후 무능한 리더들이 왕위를 이으면서 훗날 통일신라가 몰락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신라의 삼국통일 과정은 노블레스 오블리주 리더십의 전형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신라는 사회적 지위가 높은 계층의 자제들로 구성된 6정停을 바탕으로 한 탄탄한 군사력과, 화랑도 정신으로 무장한 리더들의 솔선수범, 선덕여왕.문무왕 등 포용의 리더십을 갖춘 뛰어난 리더들의 국가 수호 의지가 있었기에 삼국 중 가장 힘이 약하고 지정학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있었음에도 삼국통일이라는 위업을 달성할 수 있었다.
대한제국은 리더십 부재가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 가장 분명하게 보여주는 시기다. 리더들의 무능으로 일본의 침략 야욕을 막아내지 못했고, 결국 일제는 친일파를 앞세워 1910년 한일합병을 단행하고, 한반도를 무력으로 강점했다. 이렇게 대한제국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고, 이후 국민들은 일제 강점기라는 치욕의 시간을 보내며 고통을 겪어야 했다.
리더십이 바로 서는 나라, 대한민국을 위하여
저자가 이 책의 집필을 생각한 것은 오래전부터였다. 저자는 35년의 군 생활과 10여 년의 대학 강의를 통해 많은 사람을 만나면서 리더십에 대해 느낀 바가 많았다. 리더십 부족으로 엄청난 잠재력을 가진 국민들이 역량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것을 접하며 안타까워했다. 또한 국가의 발전이 어려움에 직면하거나 사회가 혼란을 겪는 상황을 생생하게 체험하며 분노하기도 했다. 대한민국에 진정한 리더십이 절실함을 깨달은 저자는 새로운 리더십 모델을 제시하여 ‘리더십이 바로 서는 나라’ 대한민국을 만드는 데 기여하기를 바라며 이 책을 썼다.
우리나라는 지금 국내외적으로 대전환기의 한복판에 서 있다. 저자는 급변하는 국제 정세와 북한의 위협, 침체를 면치 못하는 세계 경제도 위기지만, 그보다 더 큰 위기는 우리 사회 속에 내재되어 있다고 말한다. 우리나라는 현재 도덕성 실종, 양극화 현상과 이념 분열 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으며, 각종 사건 사고가 계속되면서 불안감과 불신이 날로 커지고 있다. 진정한 리더의 역할이 무엇인지 다시 한 번 생각해보고, 국민 각자가 리더라는 마음가짐으로 스스로를 재무장하는 것이 이 위기를 극복할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역사 속에 현재가 있고, 미래가 담겨 있다. 역사를 아는 사람만이 미래의 역사를 지배할 수 있다. 이 책이 과거의 역사를 통해 미래를 살아나갈 지혜를 얻으려는 많은 사람에게 도움을 주고, 대한민국이 위기를 극복하고 새롭게 도약하는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최익용(지은이)
저자는 중동고, 국민대, 경희·세종대 대학원과 육군대학, 국방대학원 등에서 주경야독으로 평생 학습을 하며 강의와 저술활동에 매진하고 있다. 불광불급(不狂不及)의 열정으로 영혼을 다듬고, 잠재역량을 키워 민족혼, 한국혼의 뿌리를 찾는 책을 저술하면서 역사사랑, 나라사랑을 위해 혼신을 다해오고 있다. 이를 통해 박정희 대통령 훈장(대위), 노무현 대통령 훈장(대령), 총리·장관 등 30여 개의 훈·표창을 받았다. 저자는 경희대행정대학원·세종대·국립중앙경찰학교 겸임교수, 국민대 외래교수 강의를 통해 얻은 이론과 실제를 학문화하여 『리더다운 리더가 되는 길』(2006년 청와대 혁신도서 선정), 『이심전심 리더십』, 『리더십이란 무엇인가』, 『대한민국 리더십을 말한다』, 『대한민국 5천 년 역사리더십을 말한다』(2015년 문화관광체육부 우수도서 선정), 『이것이 인성이다』(2016년), 『국부론』(2018년)를 출판한 작가이기도 하다. E-MAIL:Ciy501019@hanmail.net

목차
목차 추천의 글|대한민국에 필요한 리더십의 원형을 발견하다 = 4 저자의 글|위기의 대한민국, 역사리더십에서 길을 찾다 = 8 1부 역사리더십이란 무엇인가 01 한국형 리더와 리더십 = 24 공감과 감동 수신하고 공부하는 리더 위기에서 더욱 빛을 발하는 리더십 인생을 바꾸는 리더십 훈련법 02 왜 역사리더십인가? = 35 역사와 리더십 역사의식과 국가정체성 조직의 흥망성쇠를 좌우하는 리더의 선택 역사에서 답을 얻다 역사 다시 보기 1. 한글 창제의 숨은 주역, 신미대사 = 44 신미대사의《원각선종석보》 신미대사의 한글 창제를 증명하는 정황들 2부 5천 년 역사 속에서 발견한 리더십 DNA 01 한국인의 내면에 체화된 8가지 리더십 유전자 = 52 대한민국 5천 년의 성장 동력 8대 DNA의 시너지 효과 02 리더십 DNA 1 홍익인간 사상 = 58 살아 있는 신화 대한민국의 절대정신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하라 03 리더십 DNA 2 민족주의 = 66 민족주의란 무엇인가? 한민족을 말하다 올바른 민족주의의 진화 04 리더십 DNA 3 문화 창조력 = 75 역사를 지탱해온 힘 문화 창조력이 미래다 일본 문명을 일구다 05 리더십 DNA 4 민주주의 사상 = 83 민주적 가치를 사랑하다 인본주의, 민주주의의 바탕이 되다 06 리더십 DNA 5 신명 = 94 흥의 문화가 만드는 시너지 패러다임을 바꾸는 힘 07 리더십 DNA 6 은근과 끈기 = 102 어려움을 참고 견디다 뉴프런티어를 향하여 08 리더십 DNA 7 교육열 = 107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의 교육법 교육은 미래의 성장 동력 빗나간 교육열 창의적 사고를 지닌 미래형 인간을 육성하라 09 리더십 DNA 8 호국정신 = 120 호국 리더십으로 승화된 한국의 종교 불교의 호국 리더십 기독교의 호국 리더십 한국의 종교 다원주의 역사 다시 보기 2. 한민족의 대외정벌 = 132 고조선의 대외정벌 고구려, 백제, 신라의 대외정벌 고려의 여진ㆍ일본 정벌 조선의 대마도ㆍ여진ㆍ후금ㆍ나선 정벌 대한민국의 해외파병 3부 역사 속에서 발견한 나쁜 습성 3가지 01 청산해야 할 우리의 나쁜 습성 = 148 나쁜 습관이 나쁜 운명을 만든다 불행한 역사에는 나쁜 리더가 있다 02 나쁜 습성 1 패거리주의 = 152 도덕적 기반을 무너뜨리는 패거리 문화 패거리 문화가 불러온 폐단과 해결책 03 나쁜 습성 2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실종 = 160 추락하는 한국의 국가 청렴도 역사 속의 노블레스 오블리주 리더의 조건 04 나쁜 습성 3 집단기억상실증과 망각증후군 = 171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사라진 간도와 연해주 중국의 동북공정과 되찾아야 할 우리 영토 역사 다시 보기 3. 고려가 강화도로 천도한 까닭은? = 180 정권 유지와 장기 항전 최우의 리더십 평가 4부 역사를 바꾼 리더들 01 세계사에 빛나는 글로벌 리더들 = 186 1. 전장을 진두지휘한 광개토대왕과 문무대왕 2. 해상왕 장보고와 외교왕 서희 3. 여민 리더십, 세종대왕과 이순신 4. 섬김의 리더십, 정약용과 허준 5. 살신성인의 리더십, 유관순, 윤동주, 안중근 6. 한국 경제혁명의 주역, 박정희와 정주영 02 우리 역사 속에 숨어 있는 리더들 = 217 1. 김춘추에게 왕위를 양보한 신라 왕족, 알천 2. 죽음으로 왕을 살린 고구려 충신, 밀우와 유유 3. 조선의 모험가, 홍어 장수 문순득 4. 울릉도와 독도를 지켜낸 신라 장군 이사부와 어부 안용복 5. 한국 근대화의 리더, 보빙사절단 6. 이름 없는 영웅, 순국선열과 무명용사 역사 다시 보기 4. 5천 년 역사의 주체, 민중 리더십 = 234 민중운동 리더십의 효시, 동학혁명 의병의 독립운동 3ㆍ1운동, 임시정부를 탄생시키다 6ㆍ10만세운동과 11ㆍ3광주학생항일운동 한국 민중 리더십의 승리, 4ㆍ19혁명 6월 민주항쟁, 민주주의의 열매를 맺다 5부 왕조의 흥망성쇠에서 배우는 리더십 01 나라 이름에 깃든 리더십 = 248 왕조 교체 시기는 사회 전반의 변혁기 나라 이름과 의미 02 고조선의 왕조 리더십 = 265 고조선 왕조의 핵심 리더십 평가 한국 리더십의 원류를 이루다 03 삼국의 왕조 리더십 = 270 1. 고구려 왕조의 리더십 고구려 왕조의 핵심 리더십 평가 국토 확장과 수호에 주력하다 연개소문의 등장과 고구려의 멸망 2. 백제 왕조의 리더십 백제 왕조의 핵심 리더십 평가 문화 강국에서 패망에 이르기까지 3. 신라 왕조의 리더십 신라 왕조의 핵심 리더십 평가 신라가 삼국을 통일할 수 있었던 이유 04 발해의 왕조 리더십 = 297 발해 왕조의 핵심 리더십 평가 고구려의 부활을 꿈꾸다 05 후삼국의 왕조 리더십 = 302 후고구려 왕조의 핵심 리더십 평가 후백제 왕조의 핵심 리더십 평가 군웅할거 시대, 통일 리더의 조건 06 고려의 왕조 리더십 = 307 고려 왕조의 핵심 리더십 평가 왕건의 통일 리더십 고구려 고토 회복을 꿈꾸다 이성계의 쿠데타가 발생하기까지 07 조선의 왕조 리더십 = 318 조선 왕조의 핵심 리더십 평가 문무를 겸비한 리더, 인의와 충용의 리더십 조선 왕조가 몰락한 이유 08 대한제국과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리더십 = 329 대한제국 설립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까지 일제 침략의 서곡, 강화도조약 명성황후 시해 사건과 강제로 맺은 을사늑약 계속되는 항일 독립운동과 8ㆍ15해방 나라를 팔아먹은 사람들 09 대한민국의 리더십 = 345 대한민국의 핵심 리더십 평가 시대가 바라는 대통령의 리더십 역사 다시 보기 5. 비극의 여인들, 공녀ㆍ환향녀ㆍ일본군 위안부 = 353 인간 진상품, 공녀 전쟁터에서 살아 돌아온 여인, 환향녀 일본군의 성노예, 위안부 6부 역사리더십의 교훈 01 역사리더십 종합평가 = 362 리더의 리더십이 사라질 때 리더의 리더십이 발휘될 때 02 한ㆍ중ㆍ일 삼국 관계, 균형을 잡아라 = 367 운명적인 삼각형 구도 누가 규칙 제정자가 될 것인가 03 대일본 전략 = 374 일본과 독일의 역사 인식 차이 영토 분쟁, 초일 리더십으로 극복하라 04 대중국 전략 = 381 부상하는 중국 중국, 어떻게 대할 것인가 05 통일을 향하여 = 387 북한의 운명 국민이 행복한 통일 역사 다시 보기 6. 우리 역사 속 쿠데타 = 392 위만의 쿠데타, 고조선의 왕조 교체 연개소문의 쿠데타, 고구려 멸망의 씨앗이 되다 고려의 쿠데타, 개창에서 멸망까지 조선의 쿠데타, 반정이 일군 역사 대한제국의 쿠데타, 개화론자들의 갑신정변 대한민국의 쿠데타, 군인들의 권력 장악 7부 대한민국 리더와 국민의 사명 01 리더의 도덕성과 사회적 책임 = 412 한국형 도덕 리더십의 필요성 진정한 리더의 자격 02 리더보다 더 리더 같은 팔로어, 국민 = 419 모든 국민이 호국 리더로 사는 나라 21세기는 국민 리더십 시대 참고문헌 = 425